외경: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File:The Apocrypha Resvised Standard version.jpg|섬네일|200px|외경 표지]] | [[File:The Apocrypha Resvised Standard version.jpg|섬네일|200px|1957년에 발행된 외경 표지]] | ||
'''외경'''(外經, Apocrypha)이란 [[구약성경]]으로 인정받지 못한 책 또는 그러한 책의 수집본으로, 기원전 3세기부터 기원후 1세기 사이에 쓰여진 15권(혹은 14권)의 책을 가리킨다. 저자가 확실치 않고 히브리어 구약성경에는 없었으나 헬라어 번역 성서에는 첨가되었다. | '''외경'''(外經, Apocrypha)이란 [[구약성경]]으로 인정받지 못한 책 또는 그러한 책의 수집본으로, 기원전 3세기부터 기원후 1세기 사이에 쓰여진 15권(혹은 14권)의 책을 가리킨다. 저자가 확실치 않고 히브리어 구약성경에는 없었으나 헬라어 번역 성서에는 첨가되었다. | ||
==외경이란== | ==외경이란== | ||
외경은 정경(正經, Canon)에 대비되는 말로, 전거가 확실하지 않아 구약성경에 포함되지 않은 문헌들을 말한다. 문자 그대로 풀이하면 '경전 이외의 책'을 말한다. 영적·도덕적 부분이나 역사적 수준 등으로 볼 때 정경과 같은 권위를 부여하기가 어려워 정경으로 선정되지 않은 책들이다. 말라기 선지자 이후부터 1세기경 사이에 기록됐다. <br> | 외경은 정경(正經, Canon)에 대비되는 말로, 전거가 확실하지 않아 구약성경에 포함되지 않은 문헌들을 말한다. 문자 그대로 풀이하면 '경전 이외의 책'을 말한다. 영적·도덕적 부분이나 역사적 수준 등으로 볼 때 정경과 같은 권위를 부여하기가 어려워 정경으로 선정되지 않은 책들이다. [[말라기]] 선지자 이후부터 1세기경 사이에 기록됐다. <br> | ||
외경에 해당하는 헬라어 '아포크리파'는 '일반인들에게 공개되지 않은 것', '숨겨진 책'이라는 의미다. '감추어진', '숨겨진'이란 뜻을 지닌 형용사 '아포크리포스(ἀπόκρυφος)'에서 유래되었다.<ref>[https://biblehub.com/greek/614.htm "ἀπόκρυφος,"] <i>Bible Hub</i></ref><br> | 외경에 해당하는 헬라어 '아포크리파'는 '일반인들에게 공개되지 않은 것', '숨겨진 책'이라는 의미다. '감추어진', '숨겨진'이란 뜻을 지닌 형용사 '아포크리포스(ἀπόκρυφος)'에서 유래되었다.<ref>[https://biblehub.com/greek/614.htm "ἀπόκρυφος,"] <i>Bible Hub</i></ref><br> | ||
일반적으로 정경은 [[교회]]가 '성령의 감동으로 쓰여진 책'이라고 공식적으로 인정한 구약 39권, 신약 27권 총 66권의 성경전서를 가리킨다. 한편, 유대인은 구약성경만을 정경으로 인정하고 로마 가톨릭은 외경 몇 권에 정경의 권위를 부여해 함께 보고 있다. | 일반적으로 정경은 [[교회]]가 '성령의 감동으로 쓰여진 책'이라고 공식적으로 인정한 구약 39권, 신약 27권 총 66권의 성경전서를 가리킨다. 한편, 유대인은 구약성경만을 정경으로 인정하고 로마 가톨릭은 외경 몇 권에 정경의 권위를 부여해 함께 보고 있다. | ||
| 39번째 줄: | 39번째 줄: | ||
| 세 젊은이의 노래 || 풀무 불에 던져진 다니엘의 세 친구가 기도하며 구원을 노래하는 장면이다. || [[다니엘 (성경) |다니엘서]] 3장 23절과 24절 사이에 추가됨 | | 세 젊은이의 노래 || 풀무 불에 던져진 다니엘의 세 친구가 기도하며 구원을 노래하는 장면이다. || [[다니엘 (성경) |다니엘서]] 3장 23절과 24절 사이에 추가됨 | ||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 ||
| 수산나 이야기 || 바벨론 포로 당시 수산나라는 정결한 처녀가 간음의 누명을 쓰고 기소되었으나, 다니엘의 지혜로 석방된다는 이야기다. 헬라어 번역본에서는 다니엘서 1장에, 불가타역에서는 13장에 덧붙여진 내용이다. || 다니엘서에 13장으로 덧붙여짐 | | 수산나 이야기 || [[바벨론 포로 (바빌론 유수)|바벨론 포로]] 당시 수산나라는 정결한 처녀가 간음의 누명을 쓰고 기소되었으나, 다니엘의 지혜로 석방된다는 이야기다. 헬라어 번역본에서는 다니엘서 1장에, 불가타역에서는 13장에 덧붙여진 내용이다. || 다니엘서에 13장으로 덧붙여짐 | ||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 ||
| 벨과 용 || 다니엘이 지혜로 바벨론의 두 [[우상]]인 벨과 뱀을 무찌른다는 내용이다. || 다니엘서에 | | 벨과 용 || 다니엘이 지혜로 바벨론의 두 [[우상]]인 벨과 뱀을 무찌른다는 내용이다. || 다니엘서에 14장으로 덧붙여짐 | ||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 ||
| 제1에스드라서 || '에스드라'는 '에스라'의 헬라어 표현이다. [[에스라 (성경)|에스라]], [[역대하]], [[느헤미야 (성경)|느헤미야]]를 번역한 뒤 스룹바벨의 전설을 덧붙였다. 바사의 통치자 [[고레스 (키루스 2세)|고레스]]와 다리오가 유대인들에게 관대했던 것을 헬라의 왕 프톨레미에게 보이려는 목적이었다. || rowspan="3" | 공동번역 성서에 포함되지 않음 | | 제1에스드라서 || '에스드라'는 '에스라'의 헬라어 표현이다. [[에스라 (성경)|에스라]], [[역대하]], [[느헤미야 (성경)|느헤미야]]를 번역한 뒤 스룹바벨의 전설을 덧붙였다. 바사의 통치자 [[고레스 (키루스 2세)|고레스]]와 다리오가 유대인들에게 관대했던 것을 헬라의 왕 프톨레미에게 보이려는 목적이었다. || rowspan="3" | 공동번역 성서에 포함되지 않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