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례 요한 (세례 요한):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 시대적 배경 == | == 시대적 배경 == | ||
약 2000년 전, 로마의 식민지였던 이스라엘은 무거운 세금과 에돔 출신 [[헤롯|헤롯왕]]의 학정(虐政)에 시달리고 있었다. 세리들은 정해진 세금 외에 더 많은 세금을 거두어 들였다. 로마의 정치세력과 결탁한 종교 지도자들의 타락은 백성들의 정신세계를 더욱 피폐하게 했다. 이에 그들은 자신들의 무거운 멍에를 벗겨주고 로마의 압제에서 | 약 2000년 전, 로마의 식민지였던 이스라엘은 무거운 세금과 에돔 출신 [[헤롯|헤롯왕]]의 학정(虐政)에 시달리고 있었다. 세리들은 정해진 세금 외에 더 많은 세금을 거두어 들였다. 로마의 정치세력과 결탁한 종교 지도자들의 타락은 백성들의 정신세계를 더욱 피폐하게 했다. 이에 그들은 자신들의 무거운 멍에를 벗겨주고 로마의 압제에서 해방시켜 줄 [[메시아]]의 출현을 간절히 기다렸다. 이 혼돈의 시기에 침례 요한이 등장했다. | ||
== 생애 == | == 생애 == | ||
| 36번째 줄: | 36번째 줄: | ||
헤로디아에게는 첫 결혼에서 낳은 '살로메'라는 딸이 있었다. 살로메가 계부 곧 헤롯의 연회에서 멋진 춤을 선보여 귀빈들을 즐겁게 해주자, 헤롯은 상으로 무슨 소원이든 들어주겠다고 맹세했다. 살로메는 자기 어머니 헤로디아가 지시한 대로 헤롯에게 요한을 처형해 달라고 요청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4장 |제목=마태복음 14:6-8 |인용문= 마침 헤롯의 생일을 당하여 헤로디아의 딸이 연석 가운데서 춤을 추어 헤롯을 기쁘게 하니 헤롯이 맹세로 그에게 무엇이든지 달라는 대로 주겠다 허락하거늘 그가 제 어미의 시킴을 듣고 가로되 침례 요한의 머리를 소반에 담아 여기서 내게 주소서 하니}}</ref> 헤롯은 괴로웠지만, 연회에 참여한 고관대작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맹세했기 때문에 살로메의 요청을 거절하지 못했다. 결국 그는 시위대 병사를 보내 요한을 참수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6장 |제목=마가복음 6:25-28 |인용문= 침례 요한의 머리를 소반에 담아 곧 내게 주기를 원하옵나이다 한대 왕이 심히 근심하나 자기의 맹세한 것과 그 앉은 자들을 인하여 저를 거절할 수 없는지라 왕이 곧 시위병 하나를 보내어 요한의 머리를 가져오라 명하니 그 사람이 나가 옥에서 요한을 목 베어 그 머리를 소반에 담아다가 여아에게 주니}}</ref> | 헤로디아에게는 첫 결혼에서 낳은 '살로메'라는 딸이 있었다. 살로메가 계부 곧 헤롯의 연회에서 멋진 춤을 선보여 귀빈들을 즐겁게 해주자, 헤롯은 상으로 무슨 소원이든 들어주겠다고 맹세했다. 살로메는 자기 어머니 헤로디아가 지시한 대로 헤롯에게 요한을 처형해 달라고 요청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4장 |제목=마태복음 14:6-8 |인용문= 마침 헤롯의 생일을 당하여 헤로디아의 딸이 연석 가운데서 춤을 추어 헤롯을 기쁘게 하니 헤롯이 맹세로 그에게 무엇이든지 달라는 대로 주겠다 허락하거늘 그가 제 어미의 시킴을 듣고 가로되 침례 요한의 머리를 소반에 담아 여기서 내게 주소서 하니}}</ref> 헤롯은 괴로웠지만, 연회에 참여한 고관대작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맹세했기 때문에 살로메의 요청을 거절하지 못했다. 결국 그는 시위대 병사를 보내 요한을 참수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6장 |제목=마가복음 6:25-28 |인용문= 침례 요한의 머리를 소반에 담아 곧 내게 주기를 원하옵나이다 한대 왕이 심히 근심하나 자기의 맹세한 것과 그 앉은 자들을 인하여 저를 거절할 수 없는지라 왕이 곧 시위병 하나를 보내어 요한의 머리를 가져오라 명하니 그 사람이 나가 옥에서 요한을 목 베어 그 머리를 소반에 담아다가 여아에게 주니}}</ref> | ||
== 엘리야의 사명과 침례 요한 == | == 엘리야의 사명과 침례 요한 == | ||
[[파일:Cornelis van Haarlem - The Preaching of Saint John the Baptist, 1602.jpg |섬네일 | 320px |코르넬리스 판하를럼(Cornelis van Haarlem), 1602, <침례 요한의 전도> 침례 요한은 예수 그리스도를 구원자로 증거했다.]] | [[파일:Cornelis van Haarlem - The Preaching of Saint John the Baptist, 1602.jpg |섬네일 | 320px |코르넬리스 판하를럼(Cornelis van Haarlem), 1602, <침례 요한의 전도>, 침례 요한은 예수 그리스도를 구원자로 증거했다.]] | ||
=== 메시아 증거 === | === 메시아 증거 === | ||
[[구약성경]]은 장차 출현하는 [[메시아]]의 길을 예비하는 선지자가 있을 것을 예언하고 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말라기#3장 |제목=말라기 3:1 |인용문= 만군의 여호와가 이르노라 보라 내가 내 사자를 보내리니 그가 내 앞에서 길을 예비할 것이요 또 너희의 구하는 바 주가 홀연히 그 전에 임하리니 곧 너희의 사모하는 바 언약의 사자가 임할 것이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40장 |제목=이사야 40:3-9 |인용문= 외치는 자의 소리여 가로되 너희는 광야에서 여호와의 길을 예비하라 사막에서 우리 하나님의 대로를 평탄케 하라 ... 아름다운 소식을 예루살렘에 전하는 자여 너는 힘써 소리를 높이라 두려워 말고 소리를 높여 유다의 성읍에 이르기를 너희 하나님을 보라 하라}}</ref> [[신약성경]]은 침례 요한이 메시아로 이 땅에 오시는 예수님의 길을 예비하기 위해 등장한 선지자라고 설명한다.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말라기#3장 말라기 3장 1절]에 메시아가 등장하기 전, "내 사자[엘리야]를 보내리니 그가 내 앞에서 길을 예비할 것"이라고 기록한 것은 예수님이 [[천국]] 복음을 전파하시기 전, 침례 요한이 백성들에게 회개의 침례를 베풀며 그리스도의 길을 예비할 것을 가리킨다. <br/> | [[구약성경]]은 장차 출현하는 [[메시아]]의 길을 예비하는 선지자가 있을 것을 예언하고 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말라기#3장 |제목=말라기 3:1 |인용문= 만군의 여호와가 이르노라 보라 내가 내 사자를 보내리니 그가 내 앞에서 길을 예비할 것이요 또 너희의 구하는 바 주가 홀연히 그 전에 임하리니 곧 너희의 사모하는 바 언약의 사자가 임할 것이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40장 |제목=이사야 40:3-9 |인용문= 외치는 자의 소리여 가로되 너희는 광야에서 여호와의 길을 예비하라 사막에서 우리 하나님의 대로를 평탄케 하라 ... 아름다운 소식을 예루살렘에 전하는 자여 너는 힘써 소리를 높이라 두려워 말고 소리를 높여 유다의 성읍에 이르기를 너희 하나님을 보라 하라}}</ref> [[신약성경]]은 침례 요한이 메시아로 이 땅에 오시는 예수님의 길을 예비하기 위해 등장한 선지자라고 설명한다.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말라기#3장 말라기 3장 1절]에 메시아가 등장하기 전, "내 사자[엘리야]를 보내리니 그가 내 앞에서 길을 예비할 것"이라고 기록한 것은 예수님이 [[천국]] 복음을 전파하시기 전, 침례 요한이 백성들에게 회개의 침례를 베풀며 그리스도의 길을 예비할 것을 가리킨다. <b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