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의 절기: 두 판 사이의 차이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49번째 줄: | 49번째 줄: | ||
===칠칠절(오순절)=== | ===칠칠절(오순절)=== | ||
[[파일:Prayer | [[파일:Prayer for the Holy Spirit-성령 간구.jpg |섬네일 | 270px |오순절을 기다리며 기도에 힘쓴 초대교회 성도들]] | ||
*'''날짜:''' 초실절(부활절)로부터 50일째 되는 날 | *'''날짜:''' 초실절(부활절)로부터 50일째 되는 날 | ||
*'''유래:''' 이스라엘 백성이 홍해를 건넌 지 40일째 되던 날, 모세는 하나님의 부르심에 따라 시내산에 올랐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9장|제목=출애굽기 19:1-7|저널=|인용문=이스라엘 자손이 애굽 땅에서 나올 때부터 제삼월 곧 그 때에 그들이 시내 광야에 이르니라 ... 모세가 하나님 앞에 올라가니 여호와께서 산에서 그를 불러 가라사대 너는 이같이 야곱 족속에게 이르고 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라 ... 모세가 와서 백성의 장로들을 불러 여호와께서 자기에게 명하신 그 모든 말씀을 그 앞에 진술하니}}</ref> 사흘 뒤 하나님이 시내산에 강림하셔서 언약을 반포하시고,<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9장|제목=출애굽기 19:16-23:33|저널=|인용문=}}</ref> 모세에게 율법과 계명을 기록한 돌판을 받으러 시내산에 다시 오르라고 하셨다. 모세는 홍해를 건넌 지 50일째 되는 날 시내산에 올라 40일간 머물며 하나님께로부터 [[십계명]] 돌판을 받았다.<ref name=":1">{{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4장|제목=출애굽기 24:12-18|저널=|인용문=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산에 올라 내게로 와서 거기 있으라 너로 그들을 가르치려고 내가 율법과 계명을 친히 기록한 돌판을 네게 주리라 ... 모세는 구름 속으로 들어가서 산 위에 올랐으며 사십 일 사십 야를 산에 있으니라}}</ref> 하나님은 모세가 십계명을 받으러 시내산에 올라가던 날을 칠칠절(七七節, Feast of Weeks)로 정해 기념하게 하셨다. | *'''유래:''' 이스라엘 백성이 홍해를 건넌 지 40일째 되던 날, 모세는 하나님의 부르심에 따라 시내산에 올랐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9장|제목=출애굽기 19:1-7|저널=|인용문=이스라엘 자손이 애굽 땅에서 나올 때부터 제삼월 곧 그 때에 그들이 시내 광야에 이르니라 ... 모세가 하나님 앞에 올라가니 여호와께서 산에서 그를 불러 가라사대 너는 이같이 야곱 족속에게 이르고 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라 ... 모세가 와서 백성의 장로들을 불러 여호와께서 자기에게 명하신 그 모든 말씀을 그 앞에 진술하니}}</ref> 사흘 뒤 하나님이 시내산에 강림하셔서 언약을 반포하시고,<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9장|제목=출애굽기 19:16-23:33|저널=|인용문=}}</ref> 모세에게 율법과 계명을 기록한 돌판을 받으러 시내산에 다시 오르라고 하셨다. 모세는 홍해를 건넌 지 50일째 되는 날 시내산에 올라 40일간 머물며 하나님께로부터 [[십계명]] 돌판을 받았다.<ref name=":1">{{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4장|제목=출애굽기 24:12-18|저널=|인용문=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산에 올라 내게로 와서 거기 있으라 너로 그들을 가르치려고 내가 율법과 계명을 친히 기록한 돌판을 네게 주리라 ... 모세는 구름 속으로 들어가서 산 위에 올랐으며 사십 일 사십 야를 산에 있으니라}}</ref> 하나님은 모세가 십계명을 받으러 시내산에 올라가던 날을 칠칠절(七七節, Feast of Weeks)로 정해 기념하게 하셨다. | ||
| 74번째 줄: | 74번째 줄: | ||
===초막절=== | ===초막절=== | ||
[[파일: | [[파일:초막절-the_Feast_of_Tabernacles.jpg |섬네일 | 270px |즐거이 초막절을 지키는 이스라엘 백성들]] | ||
*'''날짜:''' 성력 7월 15-22일 | *'''날짜:''' 성력 7월 15-22일 | ||
*'''유래:''' 모세는 두 번째 십계명을 받아 내려온 뒤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십계명을 보관할 성막 건축할 일과 성막 지을 재료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4장|제목=출애굽기 34:4-35|저널=|인용문=여호와께서는 언약의 말씀 곧 십계를 그 판들에 기록하셨더라 … 모세가 그 증거의 두 판을 자기 손에 들고 시내산에서 내려오니 … 여호와께서 시내산에서 자기에게 이르신 말씀을 다 그들에게 명하고}}</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5장|제목=출애굽기 35:4-19|저널=|인용문=모세가 이스라엘 자손의 온 회중에게 고하여 가로되 여호와의 명하신 일이 이러하니라 … 너희의 소유 중에서 너희는 여호와께 드릴 것을 취하되 무릇 마음에 원하는 자는 그것을 가져다가 여호와께 드릴지니 곧 금과 은과 놋과 청색 자색 홍색실과}}</ref> 백성들은 자원하는 마음으로 성막 재료를 봉헌했고, 그달 15일부터 7일간 금, 은, 포목, 목재 등 다양한 재료가 풍성히 모였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5장|제목=출애굽기 35:29-36:7|저널=|인용문=마음에 원하는 이스라엘 자손의 남녀마다 여호와께서 모세의 손을 빙자하여 명하신 모든 것을 만들기 위하여 물품을 가져다가 여호와께 즐거이 드림이 이러하였더라 … 백성이 아침마다 자원하는 예물을 연하여 가져오는 고로 … 모세가 명을 내리매 그들이 진중에 공포하여 가로되 무론 남녀하고 성소에 드릴 예물을 다시 만들지 말라 하매 백성들이 가져오기를 정지하니 있는 재료가 모든 일을 하기에 넉넉하여 남음이 있었더라}}</ref>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성막 재료 모은 일을 기념하기 위해 초막절(草幕節, Feast of Tabernacles)을 정하셨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9장|제목=민수기 29:11-38|저널=|인용문=칠월 십오일에는 너희가 성회로 모일 것이요 아무 노동도 하지 말 것이며 칠 일 동안 여호와 앞에 절기를 지킬 것이라}}</ref><ref name=":3">{{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16장|제목=신명기 16:13-15|저널=|인용문=너희 타작 마당과 포도주 틀의 소출을 수장한 후에 칠 일 동안 초막절을 지킬 것이요 절기를 지킬 때에는 너와 네 자녀와 노비와 네 성중에 거하는 레위인과 객과 고아와 과부가 함께 연락하되 …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 모든 물산과 네 손을 댄 모든 일에 복 주실 것을 인하여 너는 온전히 즐거워할지니라}}</ref> 농작물을 거두어 저장하는 시기에 지키는 절기라는 의미로 '수장절(收藏節, Feast of Ingathering)'이라고도 한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3장|제목=출애굽기 23:16|저널=|인용문=수장절을 지키라 이는 네가 수고하여 이룬 것을 연종에 밭에서부터 거두어 저장함이니라}}</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4장|제목=출애굽기 34:22|저널=|인용문=칠칠절 곧 맥추의 초실절을 지키고 가을에는 수장절을 지키라}}</ref> | *'''유래:''' 모세는 두 번째 십계명을 받아 내려온 뒤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십계명을 보관할 성막 건축할 일과 성막 지을 재료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4장|제목=출애굽기 34:4-35|저널=|인용문=여호와께서는 언약의 말씀 곧 십계를 그 판들에 기록하셨더라 … 모세가 그 증거의 두 판을 자기 손에 들고 시내산에서 내려오니 … 여호와께서 시내산에서 자기에게 이르신 말씀을 다 그들에게 명하고}}</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5장|제목=출애굽기 35:4-19|저널=|인용문=모세가 이스라엘 자손의 온 회중에게 고하여 가로되 여호와의 명하신 일이 이러하니라 … 너희의 소유 중에서 너희는 여호와께 드릴 것을 취하되 무릇 마음에 원하는 자는 그것을 가져다가 여호와께 드릴지니 곧 금과 은과 놋과 청색 자색 홍색실과}}</ref> 백성들은 자원하는 마음으로 성막 재료를 봉헌했고, 그달 15일부터 7일간 금, 은, 포목, 목재 등 다양한 재료가 풍성히 모였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5장|제목=출애굽기 35:29-36:7|저널=|인용문=마음에 원하는 이스라엘 자손의 남녀마다 여호와께서 모세의 손을 빙자하여 명하신 모든 것을 만들기 위하여 물품을 가져다가 여호와께 즐거이 드림이 이러하였더라 … 백성이 아침마다 자원하는 예물을 연하여 가져오는 고로 … 모세가 명을 내리매 그들이 진중에 공포하여 가로되 무론 남녀하고 성소에 드릴 예물을 다시 만들지 말라 하매 백성들이 가져오기를 정지하니 있는 재료가 모든 일을 하기에 넉넉하여 남음이 있었더라}}</ref>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성막 재료 모은 일을 기념하기 위해 초막절(草幕節, Feast of Tabernacles)을 정하셨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9장|제목=민수기 29:11-38|저널=|인용문=칠월 십오일에는 너희가 성회로 모일 것이요 아무 노동도 하지 말 것이며 칠 일 동안 여호와 앞에 절기를 지킬 것이라}}</ref><ref name=":3">{{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16장|제목=신명기 16:13-15|저널=|인용문=너희 타작 마당과 포도주 틀의 소출을 수장한 후에 칠 일 동안 초막절을 지킬 것이요 절기를 지킬 때에는 너와 네 자녀와 노비와 네 성중에 거하는 레위인과 객과 고아와 과부가 함께 연락하되 …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 모든 물산과 네 손을 댄 모든 일에 복 주실 것을 인하여 너는 온전히 즐거워할지니라}}</ref> 농작물을 거두어 저장하는 시기에 지키는 절기라는 의미로 '수장절(收藏節, Feast of Ingathering)'이라고도 한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3장|제목=출애굽기 23:16|저널=|인용문=수장절을 지키라 이는 네가 수고하여 이룬 것을 연종에 밭에서부터 거두어 저장함이니라}}</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4장|제목=출애굽기 34:22|저널=|인용문=칠칠절 곧 맥추의 초실절을 지키고 가을에는 수장절을 지키라}}</re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