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eenship (그린십) 프로젝트: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그림 | 대만타이중-국립-타이중-과기-대학교-환경정화.jpg |너비= 320px |정렬=오른쪽섬네일 |타이틀= 대만 국립 타이중 과학기술대학교 캠퍼스 정화}}
{{그림 | 대만타이중-국립-타이중-과기-대학교-환경정화.jpg |너비= 320px |정렬=오른쪽섬네일 |타이틀= 대만 국립 타이중 과학기술대학교 캠퍼스 정화}}
'''Greenship(그린십) 프로젝트'''는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대학생봉사단 [[ASEZ (하나님의 교회 대학생봉사단)|ASEZ]]의 주요 활동 중 하나로, 개인과 사회, 국가, 세계를 연결해 세계시민으로서 환경 의무를 실천하는 프로젝트다. 환경 문제는 한 개인이나 단체, 국가로는 해결하기 어렵기에 전 세계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해 환경보호를 실천하자는 취지다. 그린십 프로젝트는 미래의 주역인 대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연대하고, 스스로 구심점이 되어 각계의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낸다는 데 의의가 있다. ASEZ는 2021년 11월 기준 168개국 정부기관, 국제기구와 시민단체 226곳, 개인 5만 6168명과 협력하고 있다.  
'''Greenship(그린십) 프로젝트'''는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대학생봉사단 [[ASEZ (하나님의 교회 대학생봉사단)|ASEZ]]의 주요 활동 중 하나로, 개인과 사회, 국가, 세계를 연결해 세계시민으로서 환경 의무를 실천하는 프로젝트다. 환경 문제는 한 개인이나 단체, 국가로는 해결하기 어렵기에 전 세계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해 환경보호를 실천하자는 취지다. 그린십 프로젝트는 미래의 주역인 대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연대하고, 스스로 구심점이 되어 각계의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낸다는 데 의의가 있다. ASEZ는 2025년 3월 기준 65개국 정부기관, 국제기구와 시민단체 196곳, 개인 7만 2747명과 협력하고 있다.  
{{ASEZ}}
{{ASEZ}}
==활동 취지==
==활동 취지==
7번째 줄: 7번째 줄:
기상이변으로 지구촌 곳곳이 몸살을 앓고 있다. 유럽은 40도가 넘는 폭염에 시달리고,<ref>[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europe/1050631.html "40℃ 훌쩍 넘긴 남유럽 '이례적 폭염'…"인간이 부른 기후변화 탓""], 《한겨레》, 2022. 7. 12.</ref> 아시아와 오세아니아는 홍수로 큰 피해를 입었다.<ref>[https://www.ytn.co.kr/_ln/0104_202207042007277275 "홍수로 지쳐가는 방글라데시·호주...기상이변 '라니냐' 원인"], 《YTN》, 2022. 7. 4.</ref> 미국을 비롯해 세계 각지에서 극심한 가뭄이 이어지는 중 발생한 대형 산불은 엄청난 규모의 삼림을 태웠다.<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53733 "지구촌 산불, 15년새 남한 면적 42배 숲 태웠다…기후변화의 저주"], 《중앙일보》, 2022. 3. 8.</ref><ref>[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415271&ref=A "사라진 '산불 시즌'…탄소 못 줄이면 피해면적 16배"], 《KBS NEWS》, 2022. 3. 15.</ref> 한국의 겨울철 대형 산불과 가뭄, 여름철 국지성 폭우 등도 기상이변과 무관하지 않다.<ref>[https://www.ajunews.com/view/20220714084903404 "역대 최고 기온, 때이른 열대야…이상기후 현실화"], 《아주경제》, 2022. 7. 14.</ref> 기상이변으로 인한 극단적인 기후 현상은 더 이상 뉴스에서만 볼 수 있는 다른 나라 이야기가 아니라 전 세계 누구나 예외 없이 체감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br>
기상이변으로 지구촌 곳곳이 몸살을 앓고 있다. 유럽은 40도가 넘는 폭염에 시달리고,<ref>[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europe/1050631.html "40℃ 훌쩍 넘긴 남유럽 '이례적 폭염'…"인간이 부른 기후변화 탓""], 《한겨레》, 2022. 7. 12.</ref> 아시아와 오세아니아는 홍수로 큰 피해를 입었다.<ref>[https://www.ytn.co.kr/_ln/0104_202207042007277275 "홍수로 지쳐가는 방글라데시·호주...기상이변 '라니냐' 원인"], 《YTN》, 2022. 7. 4.</ref> 미국을 비롯해 세계 각지에서 극심한 가뭄이 이어지는 중 발생한 대형 산불은 엄청난 규모의 삼림을 태웠다.<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53733 "지구촌 산불, 15년새 남한 면적 42배 숲 태웠다…기후변화의 저주"], 《중앙일보》, 2022. 3. 8.</ref><ref>[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415271&ref=A "사라진 '산불 시즌'…탄소 못 줄이면 피해면적 16배"], 《KBS NEWS》, 2022. 3. 15.</ref> 한국의 겨울철 대형 산불과 가뭄, 여름철 국지성 폭우 등도 기상이변과 무관하지 않다.<ref>[https://www.ajunews.com/view/20220714084903404 "역대 최고 기온, 때이른 열대야…이상기후 현실화"], 《아주경제》, 2022. 7. 14.</ref> 기상이변으로 인한 극단적인 기후 현상은 더 이상 뉴스에서만 볼 수 있는 다른 나라 이야기가 아니라 전 세계 누구나 예외 없이 체감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br>


{{그림 |ASEZ-남아공-케이프타운벨빌-제5408차-지구환경정화운동-벨빌스테이션일대.jpg|너비= 320px |정렬=오른쪽섬네일 |타이틀= Mother's Street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벨빌역 일대를 정화한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 회원들}}
{{그림 |ASEZ-남아공-케이프타운벨빌-제5408차-지구환경정화운동-벨빌스테이션일대.jpg |너비= 320px |정렬=오른쪽섬네일 |타이틀= Mother's Street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벨빌역 일대를 정화한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 회원들}}


인류의 삶을 위협하는 기후변화를 더 이상 두고 볼 수 없는 각국 정부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탄소중립 이행을 선언하고 여러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탄소중립이란 온실가스 배출을 최대한 줄이고, 남은 온실가스를 흡수하거나 제거해 실질적 배출량을 '0(Zero)'으로 만드는 것이다. 온실가스는 지구가 태양으로부터 받은 열이 우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 지구의 온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배출량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것이 이산화탄소다.<ref>[http://www.climate.go.kr/home/09_monitoring/ghg/gas_rad "온실가스 연관정보 - 온실가스 복사강제력"], 《기상청 종합 기후변화감시정보》</ref> 산업혁명 이후 인간의 활동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급격히 늘면서 지구 온도가 오르는 지구온난화 현상이 계속되고, 기상이변이 나타나고 있다.<br>  
인류의 삶을 위협하는 기후변화를 더 이상 두고 볼 수 없는 각국 정부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탄소중립 이행을 선언하고 여러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탄소중립이란 온실가스 배출을 최대한 줄이고, 남은 온실가스를 흡수하거나 제거해 실질적 배출량을 '0(Zero)'으로 만드는 것이다. 온실가스는 지구가 태양으로부터 받은 열이 우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 지구의 온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배출량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것이 이산화탄소다.<ref>[http://www.climate.go.kr/home/09_monitoring/ghg/gas_rad "온실가스 연관정보 - 온실가스 복사강제력"], 《기상청 종합 기후변화감시정보》</ref> 산업혁명 이후 인간의 활동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급격히 늘면서 지구 온도가 오르는 지구온난화 현상이 계속되고, 기상이변이 나타나고 있다.<br>  
20번째 줄: 20번째 줄:
{{그림 | 아르헨티나-코르도바-간담회-단체사진-20190116.jpg |너비= 320px |정렬=오른쪽섬네일 |타이틀= 한국과 아르헨티나 회원들이 코르도바 주의회 임시총재를 만나 간담회를 가졌다.}}
{{그림 | 아르헨티나-코르도바-간담회-단체사진-20190116.jpg |너비= 320px |정렬=오른쪽섬네일 |타이틀= 한국과 아르헨티나 회원들이 코르도바 주의회 임시총재를 만나 간담회를 가졌다.}}


ASEZ는 세계 각국에서 MOU 체결, 간담회 개최, 지지서명운동 등을 통해 각계각층과 그린십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2021년 11월 기준 168개국 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국제기구와 시민단체 226곳, 각국 회원과 시민 등 개인 5만 6168명을 연결했다. 미래학자 [https://www.millennium-project.org/about-us/planning-committee/jerome-glenn/ 제롬 글렌] 등 세계적인 전문가와 대학 총장, 교수, 지방자치단체장 등이 자문위원을 맡고 있으며, [https://www.un.org/sg/en/formersg/ban.shtml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https://www.nobelprize.org/prizes/chemistry/1988/huber/facts/ 로버트 후버] 노벨 화학상 수상자, [https://gggi.org/staff/frank-rijsberman/ 프랭크 라이스베르만]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 사무총장 등 유명인사들이 ASEZ 활동에 지지서명을 했다.<ref>[https://sports.donga.com/3/all/20190812/96938646/1 "하나님의 교회 ASEZ, 전국서 환경보호 팔 걷어"], 《스포츠동아》, 2019. 8. 12.</ref><br>
ASEZ는 세계 각국에서 MOU 체결, 간담회 개최, 지지서명운동 등을 통해 각계각층과 그린십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2025년 3월 기준 65개국 정부기관, 국제기구와 시민단체 196곳, 각국 회원과 시민 등 개인 약 7만 3000명을 연결했다. 미래학자 [https://www.millennium-project.org/about-us/planning-committee/jerome-glenn/ 제롬 글렌] 등 세계적인 전문가와 대학 총장, 교수, 지방자치단체장 등이 자문위원을 맡고 있으며, [https://www.un.org/sg/en/formersg/ban.shtml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https://www.nobelprize.org/prizes/chemistry/1988/huber/facts/ 로버트 후버] 노벨 화학상 수상자, [https://gggi.org/staff/frank-rijsberman/ 프랭크 라이스베르만]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 사무총장 등 유명인사들이 ASEZ 활동에 지지서명을 했다.<ref>[https://sports.donga.com/3/all/20190812/96938646/1 "하나님의 교회 ASEZ, 전국서 환경보호 팔 걷어"], 《스포츠동아》, 2019. 8. 12.</ref><br>
한국에서는 2021년 6월 광운대·고려대·성균관대·서울과학기술대·서울여대·인덕대 6개 대학 ASEZ 동아리가 한국철도공사 광운대역과 '안전하고 깨끗한 광운대역 만들기'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앞서 광운대역 인근에서 정화활동을 계속해 온 ASEZ는 이 활동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친환경 교통수단인 철도 이용 활성화를 돕기로 했다.<ref>[http://www.igangbuk.com/news/bbs/board.php?bo_table=hangsa&wr_id=4764 "ASEZ, 코로나19 방역과 새봄맞이 환경보호 앞장"], 《서울강북신문》, 2021. 3. 30.</ref> 철도는 자동차, 항공기에 비해 에너지 소비량,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적어 녹색 교통수단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는 2021년 6월 광운대·고려대·성균관대·서울과학기술대·서울여대·인덕대 6개 대학 ASEZ 동아리가 한국철도공사 광운대역과 '안전하고 깨끗한 광운대역 만들기'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앞서 광운대역 인근에서 정화활동을 계속해 온 ASEZ는 이 활동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친환경 교통수단인 철도 이용 활성화를 돕기로 했다.<ref>[http://www.igangbuk.com/news/bbs/board.php?bo_table=hangsa&wr_id=4764 "ASEZ, 코로나19 방역과 새봄맞이 환경보호 앞장"], 《서울강북신문》, 2021. 3. 30.</ref> 철도는 자동차, 항공기에 비해 에너지 소비량,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적어 녹색 교통수단으로 알려져 있다.


27번째 줄: 27번째 줄:


===포럼·세미나 개최===
===포럼·세미나 개최===
{{그림 | ASEZ-기후변화대응-토크콘서트-페루-전대법관.jpg|너비= 320px |정렬=오른쪽섬네일 |타이틀= 기후변화대응 토크콘서트에 참여한 회원들이 두베를리 로드리게스 티네오 페루 대법관의 강연을 듣고 있다.}}
{{그림 | ASEZ-기후변화대응-토크콘서트-페루-전대법관.jpg |너비= 320px |정렬=오른쪽섬네일 |타이틀= 기후변화대응 토크콘서트에 참여한 회원들이 두베를리 로드리게스 티네오 페루 대법관의 강연을 듣고 있다.}}
{{그림 | ASEZ-제롬 글렌과 함께하는 ASEZ 1차 간담회(3).jpg |너비= 320px |정렬=오른쪽섬네일 |타이틀= 2019년 5월 새예루살렘 판교성전에서 간담회를 가진 제롬 글렌 밀레니엄프로젝트 대표와 ASEZ 회원들}}
{{그림 | ASEZ-제롬 글렌과 함께하는 ASEZ 1차 간담회(3).jpg |너비= 320px |정렬=오른쪽섬네일 |타이틀= 2019년 5월 새예루살렘 판교성전에서 간담회를 가진 제롬 글렌 밀레니엄프로젝트 대표와 ASEZ 회원들}}


36번째 줄: 36번째 줄:


===캠페인 전개===
===캠페인 전개===
ASEZ는 다양한 캠페인을 전개해 시민들이 환경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갖고 일상에서 환경보호를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다. 2021년 11월까지 환경의식 증진 캠페인을 386회 실시했고, 174개 대학 3만 9503명이 참여했다.<br>
ASEZ는 다양한 캠페인을 전개해 시민들이 환경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갖고 일상에서 환경보호를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다. 2025년 3월까지 기후변화대응 활동을 597회 실시했고, 241개 대학 83만 262명이 참여했다.<br>
2021년에는 3월 22일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0917 세계 물의 날]과 6월 5일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01974 세계 환경의 날]을 맞아 '의류 소비'에 초점을 맞춘 'The Cost' 캠페인을 시행했다. ASEZ는 카드뉴스와 영상을 통해 의류 사지 않기, 물려 입기, 고쳐 입기에 동참하자고 홍보했다. 3월 22일부터 한 달간 진행한 물의 날 캠페인을 통해 의류 8341벌과 신발 2396켤레를 사지 않거나 고쳐 씀으로써 4100만L의 물을 절약하는 효과를 거뒀다.<ref>[https://asez.org/ko/thecost2/ "ASEZ 물의 날 캠페인 'The Cost' 진행"], 《ASEZ 웹사이트》</ref><ref>[https://asez.org/ko/notice/world-water-day/ "ASEZ 물의 날 캠페인"], 《ASEZ 웹사이트》</ref> 6월 1일부터 한 달 동안 이어진 환경의 날 캠페인으로 의류 2793벌을 물려 입거나 재활용했으며, 세탁기와 건조기 사용을 총 1637회 줄였다. 이를 통해 저감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6만 8958kg으로, 나무 1만 448그루를 심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거뒀다.<ref>[https://asez.org/ko/worldenvironmentday_ko/ "ASEZ 세계 환경의 날 캠페인 'The Cost'"], 《ASEZ 웹사이트》</ref><ref>[https://watv.org/ko/environment-day-campaign/ "대학생봉사단 ASEZ, 환경의 날 캠페인 전개"],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웹사이트》</ref>
2021년에는 3월 22일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0917 세계 물의 날]과 6월 5일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01974 세계 환경의 날]을 맞아 '의류 소비'에 초점을 맞춘 'The Cost' 캠페인을 시행했다. ASEZ는 카드뉴스와 영상을 통해 의류 사지 않기, 물려 입기, 고쳐 입기에 동참하자고 홍보했다. 3월 22일부터 한 달간 진행한 물의 날 캠페인을 통해 의류 8341벌과 신발 2396켤레를 사지 않거나 고쳐 씀으로써 4100만L의 물을 절약하는 효과를 거뒀다.<ref>[https://asez.org/ko/thecost2/ "ASEZ 물의 날 캠페인 'The Cost' 진행"], 《ASEZ 웹사이트》</ref><ref>[https://asez.org/ko/notice/world-water-day/ "ASEZ 물의 날 캠페인"], 《ASEZ 웹사이트》</ref> 6월 1일부터 한 달 동안 이어진 환경의 날 캠페인으로 의류 2793벌을 물려 입거나 재활용했으며, 세탁기와 건조기 사용을 총 1637회 줄였다. 이를 통해 저감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6만 8958kg으로, 나무 1만 448그루를 심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거뒀다.<ref>[https://asez.org/ko/worldenvironmentday_ko/ "ASEZ 세계 환경의 날 캠페인 'The Cost'"], 《ASEZ 웹사이트》</ref><ref>[https://watv.org/ko/environment-day-campaign/ "대학생봉사단 ASEZ, 환경의 날 캠페인 전개"],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웹사이트》</ref>


===환경정화===
===환경정화===
{{그림 | ASEZ-미국NH-맨체스터-NY뉴윈저-제5706차정화운동-알라드-거리.jpg|너비= 320px |정렬=오른쪽섬네일 |타이틀= 미국 뉴햄프셔주 맨체스터 알라드 거리 정화}}
{{그림 | ASEZ-미국NH-맨체스터-NY뉴윈저-제5706차정화운동-알라드-거리.jpg |너비= 320px |정렬=오른쪽섬네일 |타이틀= 미국 뉴햄프셔주 맨체스터 알라드 거리 정화}}
 
ASEZ 회원들은 갈수록 확대되는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환경보호 활동 반경을 넓히며, 대중과 지역사회의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낸다. 지방자치단체 등과 연계해 지역사회 환경정화 활동을 지속하며, 자신들이 속한 대학교에서도 주인의식을 갖고 '그린 캠퍼스 정화활동'을 펼치고 있다.


ASEZ 회원들은 갈수록 확대되는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환경보호 활동 반경을 넓히며, 대중과 지역사회의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낸다. 지방자치단체 등과 연계해 지역사회 환경정화 활동을 지속하며, 자신들이 속한 대학교에서도 주인의식을 갖고 '그린 캠퍼스 정화활동'을 펼치고 있다. 2018년부터 2021년 11월까지 그린 캠퍼스 정화활동에 참여한 대학생은 81개국 6000여 명에 달한다.<br>
2022년 1월 남아프리카공화국 프리토리아 회원 60여 명은 츠와네 공과대학 인근 오브레이 마틀라칼라 거리에서 환경정화 활동을 펼쳤다.<ref>[https://asez.org/ko/matlakala-street-cleanup/ "남아공 프리토리아 거리정화활동 "Let’s Make Safe Pretoria""], 《ASEZ 웹사이트》</ref> 회원들은 두 그룹으로 나눠 대학교 울타리 주변을 청소하고 거리 옆에 무단 투기된 쓰레기를 수거했다. 이날 수거한 쓰레기는 쓰레기 봉지 150개 분량에 달했다.<ref>[https://africanewz.co.za/asez-spreading-some-love-in-a-warm-cloudy-day/ "ASEZ | Spreading some love in a warm cloudy day!,"] ''Africa Newz'', Jan. 17. 2022.</ref> 한국에서도 2022년 한양대, 한국외대, 단국대, 동국대, 명지대, 경기대, 경남도립거창대, 경북대, 공주대, 목포대, 부산대, 성신여대, 수원대, 순천향대, 안동대, 원광대, 장안대, 전주대, 창원대, 포항대 등에서 정화활동을 실시했다.<ref>[https://asez.org/ko/gyeongnam_cleanup_kor/ "경남도립거창대학 ASEZ, 캠퍼스 환경 정화활동 진행"], 《ASEZ 웹사이트》</ref><ref>[http://www.kbsm.net/news//view.php?idx=348659 "하나님의 교회 대학생들, 신록 우거진 캠퍼스 일대 환경정화"], 《경북신문》, 2022. 5. 5.</ref><ref>[http://www.envsports.co.kr/read.php3?aid=165292327310007004 "ASEZ, "캠퍼스 인근 거리, 우리 손으로 정화해요""], 《환경스포츠신문》, 2022. 5. 19.</ref><ref> [http://www.iksannews.com/default/index_view_page.php?part_idx=266&idx=57138 "원광대학교 ASEZ, 신동 일대서 그린캠퍼스 정화활동"], 《익산신문》, 2022. 4. 4.</ref><br>
2022년 1월 남아프리카공화국 프리토리아 회원 60여 명은 츠와네 공과대학 인근 오브레이 마틀라칼라 거리에서 환경정화 활동을 펼쳤다.<ref>[https://asez.org/ko/matlakala-street-cleanup/ "남아공 프리토리아 거리정화활동 "Let’s Make Safe Pretoria""], 《ASEZ 웹사이트》</ref> 회원들은 두 그룹으로 나눠 대학교 울타리 주변을 청소하고 거리 옆에 무단 투기된 쓰레기를 수거했다. 이날 수거한 쓰레기는 쓰레기 봉지 150개 분량에 달했다.<ref>[https://africanewz.co.za/asez-spreading-some-love-in-a-warm-cloudy-day/ "ASEZ | Spreading some love in a warm cloudy day!,"] ''Africa Newz'', Jan. 17. 2022.</ref> 한국에서도 2022년 한양대, 한국외대, 단국대, 동국대, 명지대, 경기대, 경남도립거창대, 경북대, 공주대, 목포대, 부산대, 성신여대, 수원대, 순천향대, 안동대, 원광대, 장안대, 전주대, 창원대, 포항대 등에서 정화활동을 실시했다.<ref>[https://asez.org/ko/gyeongnam_cleanup_kor/ "경남도립거창대학 ASEZ, 캠퍼스 환경 정화활동 진행"], 《ASEZ 웹사이트》</ref><ref>[http://www.kbsm.net/news//view.php?idx=348659 "하나님의 교회 대학생들, 신록 우거진 캠퍼스 일대 환경정화"], 《경북신문》, 2022. 5. 5.</ref><ref>[http://www.envsports.co.kr/read.php3?aid=165292327310007004 "ASEZ, "캠퍼스 인근 거리, 우리 손으로 정화해요""], 《환경스포츠신문》, 2022. 5. 19.</ref><ref> [http://www.iksannews.com/default/index_view_page.php?part_idx=266&idx=57138 "원광대학교 ASEZ, 신동 일대서 그린캠퍼스 정화활동"], 《익산신문》, 2022. 4. 4.</ref><br>
ASEZ가 2021년 11월까지 전 세계에서 진행한 지역사회 환경정화 활동은 928회에 이르며, 4만 50여 명이 참여했다. 2022년 5월 한국에서는 ASEZ 회원 20여 명이 전주 [https://tour.jeonju.go.kr/board/view.jeonju?boardId=BBS_0000003&menuCd=DOM_000000101006002000&paging=ok&startPage=1&categoryCode1=A11&dataSid=9758 오송제 생태공원] 일대 2km 환경정화를 실시했다. 오송제 생태공원은 오리나무가 군락을 이루는 도심 속 생태 보고로, 저수지를 둘러싼 산책로를 걸으며 아름다운 자연을 만끽할 수 있어 시민들의 사랑을 받는 곳이다. 코로나19 방역 조치가 완화되고 방문객들이 늘면서 각종 쓰레기 양도 증가했다. 회원들은 일회용 마스크, 폐비닐, 캔, 플라스틱, 담배꽁초 등 50L 봉투 12개 분량의 쓰레기를 수거했다.<ref>[http://www.jt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42738 "하나님의 교회 대학생봉사단, ‘환경사랑 지구사랑’ 실천"], 《전북투데이》, 2022. 5. 24.</ref><br>   
ASEZ가 2015년부터 2025년 3월까지 전개한 육상생태계 정화활동 참여자는 53개국 7만여 명에 달한다. 2022년 5월 한국에서는 ASEZ 회원 20여 명이 전주 [https://tour.jeonju.go.kr/board/view.jeonju?boardId=BBS_0000003&menuCd=DOM_000000101006002000&paging=ok&startPage=1&categoryCode1=A11&dataSid=9758 오송제 생태공원] 일대 2km 환경정화를 실시했다. 오송제 생태공원은 오리나무가 군락을 이루는 도심 속 생태 보고로, 저수지를 둘러싼 산책로를 걸으며 아름다운 자연을 만끽할 수 있어 시민들의 사랑을 받는 곳이다. 코로나19 방역 조치가 완화되고 방문객들이 늘면서 각종 쓰레기 양도 증가했다. 회원들은 일회용 마스크, 폐비닐, 캔, 플라스틱, 담배꽁초 등 50L 봉투 12개 분량의 쓰레기를 수거했다.<ref>[http://www.jt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42738 "하나님의 교회 대학생봉사단, ‘환경사랑 지구사랑’ 실천"], 《전북투데이》, 2022. 5. 24.</ref><br>   
2021년 11월 미국 뉴저지주에서는 엘름우드파크시청과 시의회가 후원하고 경찰국이 함께 진행하는 주민보조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낙엽 제거 활동을 펼쳤다. 낙엽으로 인한 미끄럼 사고, 화재, 배수 불량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회원 35명이 노인 및 장애인 가정 12곳 앞에 수북이 쌓인 낙엽을 치웠다.<ref>[https://asez.org/ko/clenasfallenleaves/ "ASEZ 뉴저지 엘름우드 파크에서 낙엽 정화활동 진행"], 《ASEZ 웹사이트》</ref> ASEZ 뉴저지 회원들은 이 활동 외에도 2021년 4월 지구의 날맞이 환경정화 등 엘름우드파크에서 꾸준한 봉사를 실천해 귀감이 되어 왔다.<ref>[https://newjerseywmscog.com/asez-earth-day-cleanup-in-elmwood-park-nj/ "ASEZ Earth Day Cleanup in Elmwood Park, NJ,"] ''World Mission Society Church of God New Jersey''</ref> 이에 엘름우드파크 시장과 시의회가 2021년 9월 지역사회를 위해 헌신한 ASEZ에 감사패를 전달했다.<ref>[https://watvaward.org/ko/award/1541 "미국 뉴저지주 엘름우드파크 시장 및 시의회 감사패"], 《WATV 수상내역》</ref><br>
2021년 11월 미국 뉴저지주에서는 엘름우드파크시청과 시의회가 후원하고 경찰국이 함께 진행하는 주민보조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낙엽 제거 활동을 펼쳤다. 낙엽으로 인한 미끄럼 사고, 화재, 배수 불량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회원 35명이 노인 및 장애인 가정 12곳 앞에 수북이 쌓인 낙엽을 치웠다.<ref>[https://asez.org/ko/clenasfallenleaves/ "ASEZ 뉴저지 엘름우드 파크에서 낙엽 정화활동 진행"], 《ASEZ 웹사이트》</ref> ASEZ 뉴저지 회원들은 이 활동 외에도 2021년 4월 지구의 날맞이 환경정화 등 엘름우드파크에서 꾸준한 봉사를 실천해 귀감이 되어 왔다.<ref>[https://newjerseywmscog.com/asez-earth-day-cleanup-in-elmwood-park-nj/ "ASEZ Earth Day Cleanup in Elmwood Park, NJ,"] ''World Mission Society Church of God New Jersey''</ref> 이에 엘름우드파크 시장과 시의회가 2021년 9월 지역사회를 위해 헌신한 ASEZ에 감사패를 전달했다.<ref>[https://watvaward.org/ko/award/1541 "미국 뉴저지주 엘름우드파크 시장 및 시의회 감사패"], 《WATV 수상내역》</ref><br>
2021년 10월에는 아프리카 보츠와나 회원들이 올드 날레디 시장 근처 하천 정화에 나섰다. 해당 지역은 아이들이 맨발로 뛰어놀고 채소를 거래하는 시민들의 왕래가 잦은 곳인데, 하천에 각종 쓰레기가 방치돼 시민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었다. 정화운동에 참여한 오라빌레 모틀랄렝 명예 시의원은 회원들의 노력에 감사하며 '지역사회가 더 책임감을 가지고 환경을 건강하고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독려할 것'이라고 밝혔다.<ref>[https://asez.org/ko/greenbotswana/ "'그린 보츠와나 만들기', 가보로네 올드 날레디 하천 정화"], 《ASEZ 웹사이트》</ref><br>
2021년 10월에는 아프리카 보츠와나 회원들이 올드 날레디 시장 근처 하천 정화에 나섰다. 해당 지역은 아이들이 맨발로 뛰어놀고 채소를 거래하는 시민들의 왕래가 잦은 곳인데, 하천에 각종 쓰레기가 방치돼 시민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었다. 정화운동에 참여한 오라빌레 모틀랄렝 명예 시의원은 회원들의 노력에 감사하며 '지역사회가 더 책임감을 가지고 환경을 건강하고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독려할 것'이라고 밝혔다.<ref>[https://asez.org/ko/greenbotswana/ "'그린 보츠와나 만들기', 가보로네 올드 날레디 하천 정화"], 《ASEZ 웹사이트》</ref><br>


==각계 평가 및 수상 내역 ==
==각계 평가 및 수상 내역==
{{그림 |ASEZ-그린애플상-수상.jpg |너비= 320px |정렬=오른쪽섬네일 |타이틀= 'Greenship Network' 프로젝트로 2020 그린월드상 금상을 수상한 ASEZ}}
{{그림 |ASEZ-그린애플상-수상.jpg |너비= 320px |정렬=오른쪽섬네일 |타이틀= 'Greenship Network' 프로젝트로 2020 그린월드상 금상을 수상한 ASEZ}}


58번째 줄: 59번째 줄:


ASEZ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도 환경보호 메시지를 노래로 전하며,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77301 유엔사막화방지협약](UNCCD)과 한국 [https://www.forest.go.kr/kfsweb/kfs/idx/Index.do 산림청]이 공동 주관한 전 세계 비대면 합창대회에서 최고상인 UNCCD 사무총장상을 수상했다.<ref>[http://jmagazine.joins.com/monthly/view/336245 "하나님의 교회 ASEZ유엔사막화방지협약 사무총장상 수상"], 《월간중앙》, 2022. 6. 21.</ref> 대회는 세계 사막화 방지의 날과 UNCCD 창원이니셔티브 출범 10주년을 기념해 열렸다. ASEZ는 UNCCD 주제곡이자 대회 지정곡인 '대지의 선물(Born from the Land)'와 자유곡 '숲속으로'를 출품해 호평을 받았다. ASEZ 유튜브 공식채널에 올라온 출품 영상은 25만 회가 넘는 조회수를 기록하고 약 2만 5000회의 '좋아요'를 받으며 최종 수상이 결정됐다.<br>
ASEZ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도 환경보호 메시지를 노래로 전하며,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77301 유엔사막화방지협약](UNCCD)과 한국 [https://www.forest.go.kr/kfsweb/kfs/idx/Index.do 산림청]이 공동 주관한 전 세계 비대면 합창대회에서 최고상인 UNCCD 사무총장상을 수상했다.<ref>[http://jmagazine.joins.com/monthly/view/336245 "하나님의 교회 ASEZ유엔사막화방지협약 사무총장상 수상"], 《월간중앙》, 2022. 6. 21.</ref> 대회는 세계 사막화 방지의 날과 UNCCD 창원이니셔티브 출범 10주년을 기념해 열렸다. ASEZ는 UNCCD 주제곡이자 대회 지정곡인 '대지의 선물(Born from the Land)'와 자유곡 '숲속으로'를 출품해 호평을 받았다. ASEZ 유튜브 공식채널에 올라온 출품 영상은 25만 회가 넘는 조회수를 기록하고 약 2만 5000회의 '좋아요'를 받으며 최종 수상이 결정됐다.<br>
그 밖에도 ASEZ는 Greenship(그린십) 프로젝트로 대한민국에서 대전광역시 동구청장 표창장,<ref>[https://watvaward.org/ko/award/1537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동구청장 표창장"], 《WATV 수상내역》</ref> 김해시의회의장 표창장,<ref>[https://watvaward.org/en/award/1526?awardeeId=2046 "대한민국 경상남도 김해시의회의장 표창장"], 《WATV 수상내역》</ref> 대구광역시 동구청장 표창장<ref>[https://watvaward.org/ko/award/1520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동구청장 표창장"], 《WATV 수상내역》</ref> 등을 수상했고, 미국에서 대통령 자원봉사상 금상,<ref>[https://watvaward.org/ko/award/1396?awardeeId=1977 "미국 대통령 자원봉사상 금상"], 《WATV 수상내역》</ref> 뉴욕주의원 표창장,<ref>[https://watvaward.org/ko/award/1542 "미국 뉴욕주의원 표창장"], 《WATV 수상내역》</ref> 로스앤젤레스 제13지구 시의원 표창장<ref>[https://watvaward.org/ko/award/1488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제13지구 시의원 표창장"], 《WATV 수상내역》</ref> 등 다수의 상을 받았다.
그 밖에도 ASEZ는 Greenship(그린십) 프로젝트로 대한민국에서 대전광역시 동구청장 표창장,<ref>[https://watvaward.org/ko/award/1537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동구청장 표창장"], 《WATV 수상내역》</ref> 김해시의회의장 표창장,<ref>[https://watvaward.org/ko/award/1527 "대한민국 경상남도 김해시의회의장 표창장"], 《WATV 수상내역》</ref> 대구광역시 동구청장 표창장<ref>[https://watvaward.org/ko/award/1520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동구청장 표창장"], 《WATV 수상내역》</ref> 등을 수상했고, 미국에서 대통령 자원봉사상 금상,<ref>[https://watvaward.org/ko/award/1395 "미국 대통령 자원봉사상 금상"], 《WATV 수상내역》</ref> 뉴욕주의원 표창장,<ref>[https://watvaward.org/ko/award/1542 "미국 뉴욕주의원 표창장"], 《WATV 수상내역》</ref> 로스앤젤레스 제13지구 시의원 표창장<ref>[https://watvaward.org/ko/award/1488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제13지구 시의원 표창장"], 《WATV 수상내역》</ref> 등 다수의 상을 받았다.


==같이 보기==
==같이 보기==
64번째 줄: 65번째 줄:


==관련 영상==
==관련 영상==
*'''제롬 글렌과 함께하는 ASEZ 토크콘서트'''
*'''제롬 글렌과 함께하는 ASEZ 토크콘서트'''  
<youtube>S3xaIHiOjJg</youtube>
<youtube>S3xaIHiOjJg</youtube>
*'''ASEZ 전 세계 캠퍼스 정화 활동'''
*'''ASEZ 전 세계 캠퍼스 정화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