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후의 만찬: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Behappy7942 (토론 | 기여) |
||
|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 |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 | ||
<최후의 만찬>은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1495년부터 2년여에 걸쳐 이탈리아 밀라노의 | <최후의 만찬>은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1495년부터 2년여에 걸쳐 이탈리아 밀라노의 산타 마리아 델레 그라치에(Santa Maria delle Grazie) 수도원 식당에 그린 벽화다. 이 작품은 다빈치의 독창성, 형식미, 숭고한 주제를 다루는 탁월한 방식 등으로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89262&cid=40942&categoryId=33440 르네상스] 전성기의 걸작으로 평가되고 있다. 영국의 미술사학자 곰브리치(Ernst Hans Josef Gombrich)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에 대해 "인간의 천재성이 만들어낸 위대한 기적들 중의 하나"라고 말했다.<ref>{{인용 |url= |제목=서양미술사 |웹사이트= |저널= |출판사=도서출판 예경 |날짜=1997. 5. 1. |연도= |저자=E. H. 곰브리치 저, 백승길, 이종숭 역 |쪽= |시리즈= |isbn=9788970840659 |인용문=<최후의 만찬>이야말로 인간의 천재성이 만들어낸 위대한 기적들 중의 하나인 것이다.}}</ref> 이밖에도 다수의 학자와 평론가들이 이 작품의 예술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 앤디 워홀을 비롯한 많은 팝아티스트들이 이미지를 차용해 패러디 할 정도로 시대를 초월해 가치를 인정하고 있다.<ref>{{웹 인용 |url=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515500027 |제목=르네상스 회화 걸작, 다빈치 '최후의 만찬'을 만나다 |웹사이트= |저널=서울신문 |출판사= |날짜=2016. 5. 15.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작품은 500년 전 탄생 순간부터 보는 이들의 감탄을 자아내며 수많은 모사의 대상이 됐다. 20세기 들어서도 앤디워홀을 비롯해 많은 팝아티스트들이 이미지를 차용해 패러디해 쓰기도 했다. }}</ref> 유네스코는 이 작품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했다.<ref>{{웹 인용 |url=https://whc.unesco.org/en/list/93/ |제목=Church and Dominican Convent of Santa Maria delle Grazie with "The Last Supper" by Leonardo da Vinci |웹사이트=UNESCO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 ||
[[파일:Leonardo da Vinci (1452-1519) - The Last Supper (1495-1498).jpg |섬네일 | 가운데 | 500px |<최후의 만찬>, 레오나르도 다빈치(Leonardo da Vinci, 1452-1519) 作.]] | [[파일:Leonardo da Vinci (1452-1519) - The Last Supper (1495-1498).jpg |섬네일 | 가운데 | 500px |<최후의 만찬>, 레오나르도 다빈치(Leonardo da Vinci, 1452-1519) 作.]] | ||
===주제와 장면=== | ===주제와 장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