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브라함 가정의 역사: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섬네일 | 350px |아브라함과 사라와 이삭 '''아브라함 가정의 역사'''는 구약성경 창세기의 한 기록이다. 아... |
편집 요약 없음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파일:아브라함 가족.jpg |섬네일 | 350px |아브라함과 사라와 이삭]] | [[파일:아브라함 가족.jpg |섬네일 | 350px |아브라함과 사라와 이삭]] | ||
'''아브라함 가정의 역사'''는 구약성경 [[창세기]]의 한 기록이다. [[아브라함]]의 두 아들 중 여종 [[하갈]]의 몸에서 난 장남 이스마엘 대신 본처 [[사라]]가 낳은 차남 [[이삭]]이 후사(後嗣)로 세워졌다. 아브라함 가정의 후사를 선정하는 과정을 통해 하나님의 후사가 되려면 어떤 믿음을 가져야 하는지 알 수 있다. 이삭이 아브라함의 후사가 된 결정적인 이유는 어머니 사라의 존재였다. 하나님이 약속하신 나라, 천국을 유업으로 받기 위해서도<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야고보서#2장 |제목=야고보서 2:5 |인용문= 자기를 사랑하는 자들에게 약속하신 나라를 유업으로 받게 아니하셨느냐}}</ref> 어머니의 존재가 필수적이다. | '''아브라함 가정의 역사'''는 [[구약성경]] [[창세기]]의 한 기록이다. [[아브라함]]의 두 아들 중 여종 [[하갈]]의 몸에서 난 장남 이스마엘 대신 본처 [[사라 (아브라함의 아내)|사라]]가 낳은 차남 [[이삭]]이 후사(後嗣)로 세워졌다. 아브라함 가정의 후사를 선정하는 과정을 통해 하나님의 후사가 되려면 어떤 믿음을 가져야 하는지 알 수 있다. 이삭이 아브라함의 후사가 된 결정적인 이유는 어머니 사라의 존재였다. 하나님이 약속하신 나라, 천국을 유업으로 받기 위해서도<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야고보서#2장 |제목=야고보서 2:5 |인용문= 자기를 사랑하는 자들에게 약속하신 나라를 유업으로 받게 아니하셨느냐}}</ref> 어머니의 존재가 필수적이다. | ||
==아브라함의 후사 문제== | ==아브라함의 후사 문제== | ||
[[아브라함]](Abraham)의 원래 이름은 아브람(Abram)이다. 하나님께서는 그에게 '열국(列國)의 아버지'라는 뜻의 아브라함으로 새 이름을 주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7장 |제목=창세기 17:5 |인용문= 이제 후로는 네 이름을 아브람이라 하지 아니하고 아브라함이라 하리니 이는 내가 너로 열국의 아비가 되게 함이니라}}</ref> 아브라함은 메소포타미아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89974&cid=50762&categoryId=51387/ 갈대아 우르]에서 태어나 [[가나안]]으로 이주했다. 당시 부족장이었던 그는 풍부한 재물과 가축을 소유하고 수백 명의 종을 부렸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3장 |제목=창세기 13:2 |인용문= 아브람에게 육축과 은금이 풍부하였더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4장 |제목=창세기 14:14 |인용문= 아브람이 집에서 길리고 연습한 자 삼백십팔 인을 거느리고}}</ref> <br /> | [[아브라함]](Abraham)의 원래 이름은 아브람(Abram)이다. 하나님께서는 그에게 '열국(列國)의 아버지'라는 뜻의 아브라함으로 새 이름을 주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7장 |제목=창세기 17:5 |인용문= 이제 후로는 네 이름을 아브람이라 하지 아니하고 아브라함이라 하리니 이는 내가 너로 열국의 아비가 되게 함이니라}}</ref> 아브라함은 메소포타미아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89974&cid=50762&categoryId=51387/ 갈대아 우르]에서 태어나 [[가나안]]으로 이주했다. 당시 부족장이었던 그는 풍부한 재물과 가축을 소유하고 수백 명의 종을 부렸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3장 |제목=창세기 13:2 |인용문= 아브람에게 육축과 은금이 풍부하였더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4장 |제목=창세기 14:14 |인용문= 아브람이 집에서 길리고 연습한 자 삼백십팔 인을 거느리고}}</ref> <br /> | ||
부족사회에서 상속자를 정하는 일은 가문의 계승을 위해 매우 중차대한 문제였다.<ref>{{웹 인용 |url=http://kcm.kr/dic_view.php?nid=39352 |제목=이스라엘 역사 |웹사이트=한국컴퓨터선교회 |저널= |출판사= |날짜=2007.10.26.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족장들은 단지 고독한 개인이 아니라 꽤 규모가 큰 씨족들의 추장들이었다. 이 시기의 팔레스틴은 수없이 많은 유목민 씨족들로 뒤섞여 있었으며, 이스라엘의 족장들은 이들 가운데 한 집단들을 대표하고 있었다. }}</ref> 구약성경 [[창세기]]는 아브라함과 그의 아내 [[사라]](Sarah, 사래<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7장 |제목=창세기 17:15-16 |인용문= 하나님이 또 아브라함에게 이르시되 네 아내 사래는 이름을 사래라 하지 말고 그 이름을 사라라 하라 내가 그에게 복을 주어 그로 열국의 어미가 되게 하리니 민족의 열왕이 그에게서 나리라}}</ref>)가 가정을 이루어 독자 이삭을 낳고 유업을 물려주기까지의 과정을 여러 장에 걸쳐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특이점은 아브라함의 후사를 선정하는 일에 하나님께서 친히 개입하신 점이다. | 부족사회에서 상속자를 정하는 일은 가문의 계승을 위해 매우 중차대한 문제였다.<ref>{{웹 인용 |url=http://kcm.kr/dic_view.php?nid=39352 |제목=이스라엘 역사 |웹사이트=한국컴퓨터선교회 |저널= |출판사= |날짜=2007.10.26.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족장들은 단지 고독한 개인이 아니라 꽤 규모가 큰 씨족들의 추장들이었다. 이 시기의 팔레스틴은 수없이 많은 유목민 씨족들로 뒤섞여 있었으며, 이스라엘의 족장들은 이들 가운데 한 집단들을 대표하고 있었다. }}</ref> [[구약성경]] [[창세기]]는 아브라함과 그의 아내 [[사라 (아브라함의 아내)|사라]](Sarah, 사래<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7장 |제목=창세기 17:15-16 |인용문= 하나님이 또 아브라함에게 이르시되 네 아내 사래는 이름을 사래라 하지 말고 그 이름을 사라라 하라 내가 그에게 복을 주어 그로 열국의 어미가 되게 하리니 민족의 열왕이 그에게서 나리라}}</ref>)가 가정을 이루어 독자 이삭을 낳고 유업을 물려주기까지의 과정을 여러 장에 걸쳐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특이점은 아브라함의 후사를 선정하는 일에 하나님께서 친히 개입하신 점이다. | ||
==아브라함의 후사 선정 과정== | ==아브라함의 후사 선정 과정== |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장남 이스마엘=== | ===장남 이스마엘=== | ||
이스마엘(Ishmael)은 아브라함이 86세에 얻은 장남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6장 |제목=창세기 16:16 |인용문= 하갈이 아브람에게 이스마엘을 낳을 때에 아브람이 팔십륙 세이었더라 }}</ref> 오랫동안 잉태하지 못한 본처 사라가 자신의 여종인 [[하갈]]을 아브라함에게 첩으로 주어 낳은 아들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6장 |제목=창세기 16:1-2 |인용문= 아브람의 아내 사래는 생산치 못하였고 그에게 한 여종이 있으니 애굽 사람이요 이름은 하갈이라 사래가 아브람에게 이르되 여호와께서 나의 생산을 허락지 아니하셨으니 원컨대 나의 여종과 동침하라 내가 혹 그로 말미암아 자녀를 얻을까 하노라 하매 아브람이 사래의 말을 들으니라}}</ref> 하나님이 종 엘리에셀을 아브라함의 후사로 허락하지 않으시며 내건 조건, '아브라함의 혈통을 물려받은 친아들이어야 한다'는 조건에 부합되는 인물이었다. 그러나 아브라함이 이스마엘을 후사로 세우려 했을 때, 하나님은 그도 아니라 하시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7장 |제목=창세기 17:18-19 |인용문= 아브라함이 이에 하나님께 고하되 이스마엘이나 하나님 앞에 살기를 원하나이다 하나님이 가라사대 아니라 }}</ref> 한 가지 조건을 더하셨다. | |||
{{인용문5 |내용= 네 아내 사라가 정녕 네게 아들을 낳으리니 너는 그 이름을 이삭이라 하라 내가 그와 내 언약을 세우리니 그의 후손에게 영원한 언약이 되리라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7장 창세기 17:19]}} | {{인용문5 |내용= 네 아내 사라가 정녕 네게 아들을 낳으리니 너는 그 이름을 이삭이라 하라 내가 그와 내 언약을 세우리니 그의 후손에게 영원한 언약이 되리라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7장 창세기 17:19]}} | ||
하나님이 추가로 요구하신 조건은 '아브라함의 아내 사라의 아들이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스마엘은 아브라함의 아들이지만, 어머니가 사라가 아니라는 이유로 후사가 되지 못했다. 후에 이삭이 태어나고 젖을 뗀 것을 축하하는 성대한 잔칫날, 이스마엘은 이삭을 괴롭히다 사라에게 발각되어 하갈과 함께 아브라함의 집에서 쫓겨나고 말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21장 |제목=창세기 21:8-21 |인용문= 아이가 자라매 젖을 떼고 이삭의 젖을 떼는 날에 아브라함이 대연을 배설하였더라 사라가 본즉 아브라함의 아들 애굽 여인 하갈의 소생이 이삭을 희롱하는지라 그가 아브라함에게 이르되 이 여종과 그 아들을 내어쫓으라 이 종의 아들은 내 아들 이삭과 함께 기업을 얻지 못하리라}}</ref> | 하나님이 추가로 요구하신 조건은 '아브라함의 아내 사라의 아들이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스마엘은 아브라함의 아들이지만, 어머니가 사라가 아니라는 이유로 후사가 되지 못했다. 후에 이삭이 태어나고 젖을 뗀 것을 축하하는 성대한 잔칫날, 이스마엘은 이삭을 괴롭히다 사라에게 발각되어 하갈과 함께 아브라함의 집에서 쫓겨나고 말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21장 |제목=창세기 21:8-21 |인용문= 아이가 자라매 젖을 떼고 이삭의 젖을 떼는 날에 아브라함이 대연을 배설하였더라 사라가 본즉 아브라함의 아들 애굽 여인 하갈의 소생이 이삭을 희롱하는지라 그가 아브라함에게 이르되 이 여종과 그 아들을 내어쫓으라 이 종의 아들은 내 아들 이삭과 함께 기업을 얻지 못하리라}}</ref> | ||
| 46번째 줄: | 46번째 줄: | ||
==아버지 하나님을 표상하는 아브라함== | ==아버지 하나님을 표상하는 아브라함== | ||
[[파일:The Rich Man in Hell, Seeing Lazarus Embraced by Abraham, from The Parable of the Rich Man and Lazarus MET DP836625.jpg |섬네일 |지옥에 간 부자와 천국에서 아브라함의 품에 안긴 나사로]] | [[파일:The Rich Man in Hell, Seeing Lazarus Embraced by Abraham, from The Parable of the Rich Man and Lazarus MET DP836625.jpg |섬네일 |지옥에 간 부자와 천국에서 아브라함의 품에 안긴 나사로]] | ||
아브라함 가정의 역사는 천국의 비밀과 관련 있다. 창세로부터 감추인 비밀을 드러내겠다고 하신 예수님은 아브라함이 아버지 하나님을 표상하는 인물임을 비유로 나타내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3장 |제목=마태복음 13:34-35 |저널= |인용문=예수께서 이 모든 것을 무리에게 비유로 말씀하시고 비유가 아니면 | 아브라함 가정의 역사는 천국의 비밀과 관련 있다. 창세로부터 감추인 비밀을 드러내겠다고 하신 예수님은 아브라함이 아버지 하나님을 표상하는 인물임을 비유로 나타내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3장 |제목=마태복음 13:34-35 |저널= |인용문=예수께서 이 모든 것을 무리에게 비유로 말씀하시고 비유가 아니면 아무것도 말씀하지 아니하셨으니 이는 선지자로 말씀하신바 내가 입을 열어 비유로 말하고 창세부터 감추인 것들을 드러내리라 함을 이루려 하심이니라 }}</ref> 부자와 나사로의 비유에서 죽은 나사로가 천국에 들어간 것을 '아브라함의 품에 들어갔다'고 표현한다. 지옥에 간 부자는 아브라함을 가리켜 '아버지'라 부른다. 천국에서 아버지라 불릴 수 있는 대상은 오직 하나님이므로,<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6장 |제목=마태복음 6:8-9 |인용문= 하나님 너희 아버지께서 아시느니라 그러므로 너희는 이렇게 기도하라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ref> 아브라함은 아버지 하나님을 표상하는 인물이다. | ||
{{인용문5 |내용= 거지[나사로]가 죽어 천사들에게 받들려 '''아브라함의 품'''에 들어가고 부자도 죽어 장사되매 저가 음부에서 고통 중에 눈을 들어 멀리 아브라함과 그의 품에 있는 나사로를 보고 불러 가로되 '''아버지 아브라함'''이여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16장 누가복음 16:19-24]}} | {{인용문5 |내용= 거지[나사로]가 죽어 천사들에게 받들려 '''아브라함의 품'''에 들어가고 부자도 죽어 장사되매 저가 음부에서 고통 중에 눈을 들어 멀리 아브라함과 그의 품에 있는 나사로를 보고 불러 가로되 '''아버지 아브라함'''이여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16장 누가복음 16:19-24]}} | ||
아브라함이 아버지 하나님을 표상하듯 아브라함의 후사는 하나님의 후사를 의미한다. 아브라함 가정의 역사는 단순히 한 개인의 가정사가 아니다. 장차 구원받을 하나님의 백성들에 대한 문제다. 하나님이 아브라함의 가정에 개입하여 상속자의 자격 여부를 직접 결정하신 이유도 하나님의 후사로서의 자격이 결정되는 중대한 뜻이 그 속에 담겨 있기 때문이다. | 아브라함이 아버지 하나님을 표상하듯 아브라함의 후사는 하나님의 후사를 의미한다. 아브라함 가정의 역사는 단순히 한 개인의 가정사가 아니다. 장차 구원받을 하나님의 백성들에 대한 문제다. 하나님이 아브라함의 가정에 개입하여 상속자의 자격 여부를 직접 결정하신 이유도 하나님의 후사로서의 자격이 결정되는 중대한 뜻이 그 속에 담겨 있기 때문이다. | ||
| 59번째 줄: | 59번째 줄: | ||
이삭과 같은 약속의 자녀가 갖추어야 할 자격은 아브라함의 후사 선정 과정에서 분명히 보여주었다. 이삭은 아버지가 자유자 아브라함이어야 한다는 조건만 아니라 어머니가 자유자 사라여야 한다는 조건을 충족함으로 상속자가 될 수 있었다. 어머니 사라는 이삭이 아브라함의 후사가 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는 하나님 후사의 자격이 주어지는 과정에 있어서도 하늘 어머니의 역할이 결정적임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 이삭과 같은 약속의 자녀가 갖추어야 할 자격은 아브라함의 후사 선정 과정에서 분명히 보여주었다. 이삭은 아버지가 자유자 아브라함이어야 한다는 조건만 아니라 어머니가 자유자 사라여야 한다는 조건을 충족함으로 상속자가 될 수 있었다. 어머니 사라는 이삭이 아브라함의 후사가 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는 하나님 후사의 자격이 주어지는 과정에 있어서도 하늘 어머니의 역할이 결정적임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 ||
{{인용문5 |내용= 위에 있는 예루살렘은 '''자유자'''니 곧 '''우리 어머니'''라 ... 그런즉 형제들아 우리는 계집종의 자녀가 아니요 '''자유하는 여자의 자녀'''니라|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갈라디아서#4장 갈라디아서 4:26-31]}} | {{인용문5 |내용= 위에 있는 예루살렘은 '''자유자'''니 곧 '''우리 어머니'''라 ... 그런즉 형제들아 우리는 계집종의 자녀가 아니요 '''자유하는 여자의 자녀'''니라|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갈라디아서#4장 갈라디아서 4:26-31]}} | ||
위에 있는 예루살렘은 하늘 예루살렘으로,<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1장 |제목=요한계시록 21:9-10 |저널= |인용문=일곱 대접을 가지고 마지막 일곱 재앙을 담은 일곱 천사중 하나가 나아와서 내게 말하여 가로되 이리 오라 내가 신부 곧 어린 양의 아내를 네게 보이리라 하고 성령으로 나를 데리고 크고 높은 산으로 올라가 하나님께로부터 하늘에서 내려오는 거룩한 성 예루살렘을 보이니 }}</ref> 그 실체는 신부이신 '''[[하늘 어머니]]'''(Heavenly Mother, God the Mother)다. 성경은 하나님의 후사인 성도들에게 어머니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려주며, 하나님의 후사는 자유자이신 어머니의 자녀라 강조한다. 자유자는 종과 상반된 개념으로서, 어디에도 속박되지 않는 자유로운 신분을 뜻한다. 아브라함 가정에서 하갈은 종이고 사라는 자유자다. 영적인 측면에서 볼 때 죄 사함 받지 못한 사람은 종의 입장에 있으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8장 |제목=요한복음 8:34 |저널= |인용문=예수께서 대답하시되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죄를 범하는 자마다 죄의 종이라 }}</ref> 진정한 자유자는 죄 없으신 하나님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8장 |제목=요한복음 8:32 |저널= |인용문=진리를 | 위에 있는 예루살렘은 하늘 예루살렘으로,<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1장 |제목=요한계시록 21:9-10 |저널= |인용문=일곱 대접을 가지고 마지막 일곱 재앙을 담은 일곱 천사중 하나가 나아와서 내게 말하여 가로되 이리 오라 내가 신부 곧 어린 양의 아내를 네게 보이리라 하고 성령으로 나를 데리고 크고 높은 산으로 올라가 하나님께로부터 하늘에서 내려오는 거룩한 성 예루살렘을 보이니 }}</ref> 그 실체는 신부이신 '''[[하늘 어머니]]'''(Heavenly Mother, God the Mother)다. 성경은 하나님의 후사인 성도들에게 어머니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려주며, 하나님의 후사는 자유자이신 어머니의 자녀라 강조한다. 자유자는 종과 상반된 개념으로서, 어디에도 속박되지 않는 자유로운 신분을 뜻한다. 아브라함 가정에서 하갈은 종이고 사라는 자유자다. 영적인 측면에서 볼 때 죄 사함 받지 못한 사람은 종의 입장에 있으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8장 |제목=요한복음 8:34 |저널= |인용문=예수께서 대답하시되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죄를 범하는 자마다 죄의 종이라 }}</ref> 진정한 자유자는 죄 없으신 하나님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8장 |제목=요한복음 8:32 |저널= |인용문=진리를 알지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4장 |제목=히브리서 4:14-15 |저널= |인용문=그러므로 우리에게 큰 대제사장이 있으니 승천하신 자 곧 하나님 아들 예수시라 ... 우리에게 있는 대제사장은 우리 연약함을 체휼하지 아니하는 자가 아니요 모든 일에 우리와 한결 같이 시험을 받은 자로되 죄는 없으시니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갈라디아서#5장 |제목=갈라디아서 5:1 |저널= |인용문=그리스도께서 우리로 자유케 하려고 자유를 주셨으니 그러므로 굳세게 서서 다시는 종의 멍에를 메지 말라 }}</ref> 자유자 아브라함과 사라 사이에서 태어난 이삭처럼, 성도들은 진정한 자유자이신 [[아버지 하나님]]과 [[어머니 하나님]]의 자녀들이다. | ||
{{인용문5 |내용= '''성령'''과 '''신부'''가 말씀하시기를 오라 하시는도다 듣는 자도 오라 할 것이요 목마른 자도 올 것이요 또 원하는 자는 값 없이 '''생명수'''를 받으라 하시더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2장 요한계시록 22:17]}} | {{인용문5 |내용= '''성령'''과 '''신부'''가 말씀하시기를 오라 하시는도다 듣는 자도 오라 할 것이요 목마른 자도 올 것이요 또 원하는 자는 값 없이 '''생명수'''를 받으라 하시더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2장 요한계시록 22:17]}} | ||
어머니 하나님은 마지막 때 성령, 곧 아버지 하나님과 함께 구원을 베푸신다. 아브라함 가정의 역사는 단순히 지나간 역사가 아니라 예언이다. 1차로 2000년 전 예수님께서 새 언약을 세우셨을 때, 옛 언약을 지키는 육적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의 후사가 되지 못하고 새 언약을 지키는 영적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의 후사가 됨으로 성취되었다. 2차로 재림 그리스도 [[안상홍|안상홍님]]께서 하늘 예루살렘 어머니를 증거하신 이 시대에 다시 이루어지고 있다. 아브라함과 사라의 몸에서 난 이삭이 후사가 된 것처럼, 오늘날에는 아버지 하나님과 어머니 하나님을 믿는 사람들이 하나님의 후사가 된다. | 어머니 하나님은 마지막 때 성령, 곧 아버지 하나님과 함께 구원을 베푸신다. 아브라함 가정의 역사는 단순히 지나간 역사가 아니라 예언이다. 1차로 2000년 전 예수님께서 새 언약을 세우셨을 때, 옛 언약을 지키는 육적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의 후사가 되지 못하고 새 언약을 지키는 영적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의 후사가 됨으로 성취되었다. 2차로 재림 그리스도 [[안상홍|안상홍님]]께서 하늘 예루살렘 어머니를 증거하신 이 시대에 다시 이루어지고 있다. 아브라함과 사라의 몸에서 난 이삭이 후사가 된 것처럼, 오늘날에는 아버지 하나님과 어머니 하나님을 믿는 사람들이 하나님의 후사가 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