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의 제사: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구약의 제사'''는 구약시대에 하나님께 [[예배]]하던 의식을 뜻한다. 제사(Sacrifice)는 죄로 인해 하나님과 멀어졌던 하나님의 백성이 [[죄 사함]]을 받고 하나님과 가까워지기 위해, 혹은 하나님께 감사를 표하기 위해 드려졌다. 주로 양이나 소, 염소 같은 짐승을 잡아 그 피를 흘려 번제물로 바쳤다. 성경에서는 이를 '희생'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EA%B0%9C%EC%97%AD%ED%95%9C%EA%B8%80%ED%8C%90/%EC%B0%BD%EC%84%B8%EA%B8%B0#46%EC%9E%A5 창세기 46:1] 이스라엘이 모든 소유를 이끌고 발행하여 브엘세바에 이르러 그 아비 이삭의 하나님께 희생을 드리니</ref><ref>[https://ko.wikisource.org/wiki/%EA%B0%9C%EC%97%AD%ED%95%9C%EA%B8%80%ED%8C%90/%EC%B6%9C%EC%95%A0%EA%B5%BD%EA%B8%B0#10%EC%9E%A5 출애굽기 10:25] 모세가 가로되 왕이라도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 드릴 희생과 번제물을 우리에게 주어야 하겠고</ref> | '''구약의 제사'''는 구약시대에 하나님께 [[예배]]하던 의식을 뜻한다. 제사(Sacrifice)는 죄로 인해 하나님과 멀어졌던 하나님의 백성이 [[죄 사함]]을 받고 하나님과 가까워지기 위해, 혹은 하나님께 감사를 표하기 위해 드려졌다. 주로 양이나 소, 염소 같은 짐승을 잡아 그 피를 흘려 번제물로 바쳤다. 성경에서는 이를 '희생'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EA%B0%9C%EC%97%AD%ED%95%9C%EA%B8%80%ED%8C%90/%EC%B0%BD%EC%84%B8%EA%B8%B0#46%EC%9E%A5 창세기 46:1] 이스라엘이 모든 소유를 이끌고 발행하여 브엘세바에 이르러 그 아비 이삭의 하나님께 희생을 드리니</ref><ref>[https://ko.wikisource.org/wiki/%EA%B0%9C%EC%97%AD%ED%95%9C%EA%B8%80%ED%8C%90/%EC%B6%9C%EC%95%A0%EA%B5%BD%EA%B8%B0#10%EC%9E%A5 출애굽기 10:25] 모세가 가로되 왕이라도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 드릴 희생과 번제물을 우리에게 주어야 하겠고</ref> | ||
모세 때부터는 율법에 따라 임명된 제사장이 [[성소]]에서 희생 제물을 바쳤고, 솔로몬 때부터는 예루살렘 성전에서 제사가 이루어졌다. 구약의 제사는 신약시대에 이르러 예수님의 [[십자가 고난|십자가 희생]]으로 말미암아 신령과 진정으로 드리는 [[예배]]로 변경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4장 |제목=요한복음 4:21-24 |저널= |인용문= 예수께서 가라사대 여자여 내 말을 믿으라 이 산에서도 말고 예루살렘에서도 말고 너희가 아버지께 예배할 때가 이르리라 ... 아버지께 참으로 예배하는 자들은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할 때가 오나니 곧 이때라 아버지께서는 이렇게 자기에게 예배하는 자들을 찾으시느니라 하나님은 영이시니 예배하는 자가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할지니라}}</ref> | 모세 때부터는 율법에 따라 임명된 제사장이 [[성소 (성막)| 성소]]에서 희생 제물을 바쳤고, 솔로몬 때부터는 예루살렘 성전에서 제사가 이루어졌다. 구약의 제사는 신약시대에 이르러 예수님의 [[십자가 고난|십자가 희생]]으로 말미암아 신령과 진정으로 드리는 [[예배]]로 변경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4장 |제목=요한복음 4:21-24 |저널= |인용문= 예수께서 가라사대 여자여 내 말을 믿으라 이 산에서도 말고 예루살렘에서도 말고 너희가 아버지께 예배할 때가 이르리라 ... 아버지께 참으로 예배하는 자들은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할 때가 오나니 곧 이때라 아버지께서는 이렇게 자기에게 예배하는 자들을 찾으시느니라 하나님은 영이시니 예배하는 자가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할지니라}}</ref> | ||
== 구약 제사의 기원과 역사 == | == 구약 제사의 기원과 역사 == | ||
[[파일:Cain and Abel offering up sacrifices.jpg |섬네일 | 300px |가인과 아벨의 제사]]인류의 시조 [[아담]]과 [[하와]]는 하나님의 금령을 어기고 선악과 먹는 죄를 범했다. 그로 인해 [[생명과]]를 빼앗기고 에덴동산에서 쫓겨났다. 하나님은 [[가인과 아벨]]의 제사를 통해 생명과를 회복하는 길에 대해 알려주셨다. | [[파일:Cain and Abel offering up sacrifices.jpg |섬네일 | 300px |가인과 아벨의 제사]]인류의 시조 [[아담]]과 [[하와 (이브) | 하와]]는 하나님의 금령을 어기고 선악과 먹는 죄를 범했다. 그로 인해 [[생명과]]를 빼앗기고 에덴동산에서 쫓겨났다. 하나님은 [[가인과 아벨]]의 제사를 통해 생명과를 회복하는 길에 대해 알려주셨다. | ||
아담과 하와의 두 아들 중 형인 [[가인과 아벨|가인]]은 자신의 의견대로 농산물로 제사했고, 아우 아벨은 순종하는 마음으로 어린양의 피를 흘려 제사를 드렸다. 하나님은 아벨의 제사를 받으시고 가인의 제사는 받지 않으심으로 당신이 합당하게 여기는 제사가 무엇인지 보여주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4장 |제목=창세기 4:1-5 |저널= |인용문= 아담이 그 아내 하와와 동침하매 하와가 잉태하여 가인을 낳고 이르되 내가 여호와로 말미암아 득남하였다 하니라 그가 또 가인의 아우 아벨을 낳았는데 아벨은 양 치는 자이었고 가인은 농사하는 자이었더라 세월이 지난 후에 가인은 땅의 소산으로 제물을 삼아 여호와께 드렸고 아벨은 자기도 양의 첫 새끼와 그 기름으로 드렸더니 여호와께서 아벨과 그 제물은 열납하셨으나 가인과 그 제물은 열납하지 아니하신지라 가인이 심히 분하여 안색이 변하니}}</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11장 |제목=히브리서 11:4 |저널= |인용문= 믿음으로 아벨은 가인보다 더 나은 제사를 하나님께 드림으로 의로운 자라 하시는 증거를 얻었으니 하나님이 그 예물에 대하여 증거하심이라 저가 죽었으나 그 믿음으로써 오히려 말하느니라}}</ref> | 아담과 하와의 두 아들 중 형인 [[가인과 아벨|가인]]은 자신의 의견대로 농산물로 제사했고, 아우 아벨은 순종하는 마음으로 어린양의 피를 흘려 제사를 드렸다. 하나님은 아벨의 제사를 받으시고 가인의 제사는 받지 않으심으로 당신이 합당하게 여기는 제사가 무엇인지 보여주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4장 |제목=창세기 4:1-5 |저널= |인용문= 아담이 그 아내 하와와 동침하매 하와가 잉태하여 가인을 낳고 이르되 내가 여호와로 말미암아 득남하였다 하니라 그가 또 가인의 아우 아벨을 낳았는데 아벨은 양 치는 자이었고 가인은 농사하는 자이었더라 세월이 지난 후에 가인은 땅의 소산으로 제물을 삼아 여호와께 드렸고 아벨은 자기도 양의 첫 새끼와 그 기름으로 드렸더니 여호와께서 아벨과 그 제물은 열납하셨으나 가인과 그 제물은 열납하지 아니하신지라 가인이 심히 분하여 안색이 변하니}}</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11장 |제목=히브리서 11:4 |저널= |인용문= 믿음으로 아벨은 가인보다 더 나은 제사를 하나님께 드림으로 의로운 자라 하시는 증거를 얻었으니 하나님이 그 예물에 대하여 증거하심이라 저가 죽었으나 그 믿음으로써 오히려 말하느니라}}</ref> |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이후 짐승을 희생시키는 제사 제도가 자자손손 대를 이어 전해졌고, 많은 믿음의 선진들이 제사를 행했다. [[노아]]도 홍수 후에 짐승의 희생으로 제사를 드렸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8장 |제목=창세기 8:20 |저널= |인용문= 노아가 여호와를 위하여 단을 쌓고 모든 정결한 짐승 중에서와 모든 정결한 새 중에서 취하여 번제로 단에 드렸더니}}</ref> [[아브라함]]도 같은 방식으로 제사를 드렸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5장 |제목=창세기 15:9-18 |저널= |인용문= 여호와께서 그에게 이르시되 나를 위하여 삼 년 된 암소와 삼 년 된 암염소와 삼 년 된 숫양과 산비둘기와 집비둘기 새끼를 취할지니라 아브람[아브라함의 옛 이름]이 그 모든 것을 취하여 그 중간을 쪼개고 그 쪼갠 것을 마주 대하여 놓고 그 새는 쪼개지 아니하였으며 ... 해가 져서 어둘 때에 연기 나는 풀무가 보이며 타는 횃불이 쪼갠 고기 사이로 지나더라 그날에 여호와께서 아브람으로 더불어 언약을 세워 가라사대 내가 이 땅을 애굽강에서부터 그 큰 강 유브라데까지 네 자손에게 주노니}}</ref> | 이후 짐승을 희생시키는 제사 제도가 자자손손 대를 이어 전해졌고, 많은 믿음의 선진들이 제사를 행했다. [[노아]]도 홍수 후에 짐승의 희생으로 제사를 드렸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8장 |제목=창세기 8:20 |저널= |인용문= 노아가 여호와를 위하여 단을 쌓고 모든 정결한 짐승 중에서와 모든 정결한 새 중에서 취하여 번제로 단에 드렸더니}}</ref> [[아브라함]]도 같은 방식으로 제사를 드렸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5장 |제목=창세기 15:9-18 |저널= |인용문= 여호와께서 그에게 이르시되 나를 위하여 삼 년 된 암소와 삼 년 된 암염소와 삼 년 된 숫양과 산비둘기와 집비둘기 새끼를 취할지니라 아브람[아브라함의 옛 이름]이 그 모든 것을 취하여 그 중간을 쪼개고 그 쪼갠 것을 마주 대하여 놓고 그 새는 쪼개지 아니하였으며 ... 해가 져서 어둘 때에 연기 나는 풀무가 보이며 타는 횃불이 쪼갠 고기 사이로 지나더라 그날에 여호와께서 아브람으로 더불어 언약을 세워 가라사대 내가 이 땅을 애굽강에서부터 그 큰 강 유브라데까지 네 자손에게 주노니}}</ref> | ||
짐승을 제물로 삼아 그 희생의 피로 제사드리는 형식은 모세 시대 [[모세의 율법|율법]]이 제정되면서 규례로 확립되었다. 이때부터 초대 대제사장인 아론이 속한 | 짐승을 제물로 삼아 그 희생의 피로 제사드리는 형식은 모세 시대 [[모세의 율법|율법]]이 제정되면서 규례로 확립되었다. 이때부터 초대 대제사장인 아론이 속한 레위 지파가 성소에서 봉사하며 모든 제사를 주관했다. | ||
;*멜기세덱의 제사 | ;*멜기세덱의 제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