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언약: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섬네일|예수님은 유월절 성만찬 자리에서 새 언약을 세우셨다. '''새 언약'''(영어: New Covenant, 한자:...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새 언약'''(영어: New Covenant, 한자: 新約)의 문자적 의미는 ‘새로운 약속’이다. 기독교에서는 [[예수 그리스도]]가 인류 구원을 위해 새롭게 한 약속을 뜻한다. 이에 반해 모세 시대에 세워진 언약은 '오래전의 약속'이라는 의미로 [[옛 언약]](영어: Old Covenant, 한자:舊約)이라 불린다. 이러한 표현에서 [[신약성경]](New Testament)이나 [[구약성경]](Old Testament)이라는 용어가 나오게 되었다.<br>
'''새 언약'''(영어: New Covenant, 한자: 新約)의 문자적 의미는 ‘새로운 약속’이다. 기독교에서는 [[예수 그리스도]]가 인류 구원을 위해 새롭게 한 약속을 뜻한다. 이에 반해 모세 시대에 세워진 언약은 '오래전의 약속'이라는 의미로 [[옛 언약]](영어: Old Covenant, 한자:舊約)이라 불린다. 이러한 표현에서 [[신약성경]](New Testament)이나 [[구약성경]](Old Testament)이라는 용어가 나오게 되었다.<br>
새 언약은 구약성경 [[예레미야 (성경)|예레미야]]에 처음 등장한다. [[여호와]] 하나님은 새 언약을 세울 것이라 예언하셨다. 새 언약을 세운 분은 [[육체로 오신 하나님 (성육신)| 육체로 오신 하나님]], 곧 예수님이다. 예수님은 십자가 고난 전 제자들과 마지막으로 지킨 [[유월절]] 성만찬 자리에서 새 언약을 세우셨다. [[요한복음]]에는 ‘[[새 계명]]’이라고 기록되었다.  
새 언약은 구약성경 [[예레미야 (성경)|예레미야]]에 처음 등장한다. [[여호와]] 하나님은 새 언약을 세울 것이라 예언하셨다. 새 언약을 세운 분은 [[육체로 오신 하나님 (성육신)| 육체로 오신 하나님]], 곧 예수님이다. 예수님은 십자가 고난 전 제자들과 마지막으로 지킨 [[유월절]] 성만찬 자리에서 새 언약을 세우셨다. [[요한복음]]에는 ‘[[새 계명]]’이라고 기록되었다.  


==하나님이 세우신 새 언약==
==하나님이 세우신 새 언약==
91번째 줄: 89번째 줄:
| '''초실절''': 처음 익은 곡식을 요제로 드림<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3장|제목=레위기 23:10–11 |인용문=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이르라 너희는 내가 너희에게 주는 땅에 들어가서 너희의 곡물을 거둘 때에 위선 너희의 곡물의 첫 이삭 한 단을 제사장에게로 가져갈 것이요 제사장은 너희를 위하여 그 단을 여호와 앞에 열납되도록 흔들되 안식일 이튿날에 흔들 것이며 }}</ref>|| '''부활절''': 예수님 부활<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5장|제목=고린도전서 15:20|인용문=이제 그리스도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가 되셨도다}}</ref>
| '''초실절''': 처음 익은 곡식을 요제로 드림<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3장|제목=레위기 23:10–11 |인용문=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이르라 너희는 내가 너희에게 주는 땅에 들어가서 너희의 곡물을 거둘 때에 위선 너희의 곡물의 첫 이삭 한 단을 제사장에게로 가져갈 것이요 제사장은 너희를 위하여 그 단을 여호와 앞에 열납되도록 흔들되 안식일 이튿날에 흔들 것이며 }}</ref>|| '''부활절''': 예수님 부활<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5장|제목=고린도전서 15:20|인용문=이제 그리스도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가 되셨도다}}</ref>
|-
|-
| '''칠칠절''' 끝 날<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3장|제목=레위기 23:15–17 |인용문=안식일 이튿날 곧 너희가 요제로 단을 가져온 날부터 세어서 칠 안식일의 수효를 채우고 제 칠 안식일 이튿날까지 합 50일을 계수하여 새 소제를 여호와께 드리되 너희 처소에서 에바 10분 2로 만든 떡 두 개를 가져다가 흔들지니 이는 고운 가루에 누룩을 넣어서 구운 것이요 이는 첫 요제로 여호와께 드리는 것이며}}</ref> || '''오순절''' 성령 강림일<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2장|제목=사도행전 2:1–4|인용문=오순절날이 이미 이르매 ... 저희가 다 성령의 충만함을 받고 성령이 말하게 하심을 따라 다른 방언으로 말하기를 시작하니라}}</ref>
| '''칠칠절''' 새 소제 드림<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3장|제목=레위기 23:15–17 |인용문=안식일 이튿날 곧 너희가 요제로 단을 가져온 날부터 세어서 칠 안식일의 수효를 채우고 제 칠 안식일 이튿날까지 합 50일을 계수하여 새 소제를 여호와께 드리되 너희 처소에서 에바 10분 2로 만든 떡 두 개를 가져다가 흔들지니 이는 고운 가루에 누룩을 넣어서 구운 것이요 이는 첫 요제로 여호와께 드리는 것이며}}</ref> || '''오순절''' 성령 강림일<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2장|제목=사도행전 2:1–4|인용문=오순절날이 이미 이르매 ... 저희가 다 성령의 충만함을 받고 성령이 말하게 하심을 따라 다른 방언으로 말하기를 시작하니라}}</ref>
|-
|-
| '''나팔절''' 기도주간<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3장|제목=레위기 23:24|인용문=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이르라 7월 곧 그 달 1일로 안식일을 삼을지니 이는 나팔을 불어 기념할 날이요 성회라}}</ref><br>'''속죄일''' 통회기도<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3장|제목=레위기 23:27–28|인용문= 7월 10일은 속죄일이니 너희에게 성회라 너희는 스스로 괴롭게 하며 여호와께 화제를 드리고 이날에는 아무 일도 하지 말 것은 너희를 위하여 너희 하나님 여호와 앞에 속죄할 속죄일이 됨이니라}}</ref><br>'''초막절''' 7일 동안 성회<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3장|제목=레위기 23:34|인용문=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이르라 7월 15일은 초막절이니 여호와를 위하여 7일 동안 지킬 것이라}}</ref>|| '''나팔절''' 기도주간<br>'''속죄일''' 통회기도<br>'''초막절''' 7일 동안 전도대회<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7장|제목=요한복음 7:2, 37–39|인용문=유대인의 명절인 초막절이 가까운지라 ... 명절 끝 날 곧 큰 날에 예수께서 서서 외쳐 가라사대 누구든지 목마르거든 내게로 와서 마시라 나를 믿는 자는 성경에 이름과 같이 그 배에서 생수의 강이 흘러나리라 하시니 이는 그를 믿는 자의 받을 성령을 가리켜 말씀하신 것이라}}</ref>
| '''나팔절''' 기도주간<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3장|제목=레위기 23:24|인용문=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이르라 7월 곧 그 달 1일로 안식일을 삼을지니 이는 나팔을 불어 기념할 날이요 성회라}}</ref><br>'''속죄일''' 통회기도<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3장|제목=레위기 23:27–28|인용문= 7월 10일은 속죄일이니 너희에게 성회라 너희는 스스로 괴롭게 하며 여호와께 화제를 드리고 이날에는 아무 일도 하지 말 것은 너희를 위하여 너희 하나님 여호와 앞에 속죄할 속죄일이 됨이니라}}</ref><br>'''초막절''' 7일 동안 성회<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3장|제목=레위기 23:34|인용문=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이르라 7월 15일은 초막절이니 여호와를 위하여 7일 동안 지킬 것이라}}</ref>|| '''나팔절''' 기도주간<br>'''속죄일''' 통회기도<br>'''초막절''' 7일 동안 전도대회<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7장|제목=요한복음 7:2, 37–39|인용문=유대인의 명절인 초막절이 가까운지라 ... 명절 끝 날 곧 큰 날에 예수께서 서서 외쳐 가라사대 누구든지 목마르거든 내게로 와서 마시라 나를 믿는 자는 성경에 이름과 같이 그 배에서 생수의 강이 흘러나리라 하시니 이는 그를 믿는 자의 받을 성령을 가리켜 말씀하신 것이라}}</ref>
124번째 줄: 122번째 줄:
* [[제사장 반차]]
* [[제사장 반차]]
* [[새 언약 유월절]]
* [[새 언약 유월절]]


==외부 링크==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