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레미야 (성경):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Etorp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6번째 줄: 16번째 줄:
==기록자 예레미야==
==기록자 예레미야==
본서의 기록자는 선지자 예레미야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1장 |제목=예레미야 1:1-3 |저널= |인용문= 베냐민 땅 아나돗의 제사장 중 힐기야의 아들 예레미야의 말이라 아몬의 아들 유다 왕 요시야의 다스린 지 십삼 년에 여호와의 말씀이 예레미야에게 임하였고 요시야의 아들 유다 왕 여호야김 시대부터 요시야의 아들 유다 왕 시드기야의 제십일 년 말까지 임하니라 이해 오월에 예루살렘이 사로잡히니라 }}</ref> 예레미야는 요시야왕 제13년에 사역을 시작해서 여호아하스, 여호야김, 여호야긴 시대와 유다의 마지막 왕인 시드기야 제11년까지 약 40년간 활동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39장 |제목=예레미야 39:1-2 |저널= |인용문= 유다 왕 시드기야의 구 년 시월에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과 그 모든 군대가 와서 예루살렘을 에워싸고 치더니 시드기야의 제십일 년 사월 구 일에 성이 함락되니라 예루살렘이 함락되매}}</ref> 당시 유다 백성의 우상숭배는 극에 달해 있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44장 |제목=예레미야 44:22-23 |저널= |인용문= 여호와께서 너희 악행과 가증한 소위를 더 참으실 수 없으셨으므로 너희 땅이 오늘과 같이 황무하며 놀램과 저줏거리가 되어 거민이 없게 되었나니 너희가 분향하여 여호와께 범죄하였으며 여호와의 목소리를 청종치 아니하고 여호와의 법과 율례와 증거대로 행치 아니하였으므로 이 재앙이 오늘과 같이 너희에게 미쳤느니라}}</ref> 예레미야는 회개와 하나님의 심판을 선포하며 바벨론(신바빌로니아왕국)에 항복해야 한다고 하나님의 뜻을 전했다. 사람들은 그를 매국노라 비난하고 외면했다.  
본서의 기록자는 선지자 예레미야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1장 |제목=예레미야 1:1-3 |저널= |인용문= 베냐민 땅 아나돗의 제사장 중 힐기야의 아들 예레미야의 말이라 아몬의 아들 유다 왕 요시야의 다스린 지 십삼 년에 여호와의 말씀이 예레미야에게 임하였고 요시야의 아들 유다 왕 여호야김 시대부터 요시야의 아들 유다 왕 시드기야의 제십일 년 말까지 임하니라 이해 오월에 예루살렘이 사로잡히니라 }}</ref> 예레미야는 요시야왕 제13년에 사역을 시작해서 여호아하스, 여호야김, 여호야긴 시대와 유다의 마지막 왕인 시드기야 제11년까지 약 40년간 활동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39장 |제목=예레미야 39:1-2 |저널= |인용문= 유다 왕 시드기야의 구 년 시월에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과 그 모든 군대가 와서 예루살렘을 에워싸고 치더니 시드기야의 제십일 년 사월 구 일에 성이 함락되니라 예루살렘이 함락되매}}</ref> 당시 유다 백성의 우상숭배는 극에 달해 있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44장 |제목=예레미야 44:22-23 |저널= |인용문= 여호와께서 너희 악행과 가증한 소위를 더 참으실 수 없으셨으므로 너희 땅이 오늘과 같이 황무하며 놀램과 저줏거리가 되어 거민이 없게 되었나니 너희가 분향하여 여호와께 범죄하였으며 여호와의 목소리를 청종치 아니하고 여호와의 법과 율례와 증거대로 행치 아니하였으므로 이 재앙이 오늘과 같이 너희에게 미쳤느니라}}</ref> 예레미야는 회개와 하나님의 심판을 선포하며 바벨론(신바빌로니아왕국)에 항복해야 한다고 하나님의 뜻을 전했다. 사람들은 그를 매국노라 비난하고 외면했다.  
<br />예레미야는 거짓 선지자들의 방해<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27장 |제목=예레미야 27:9-10 |저널= |인용문= 너희는 너희 선지자나 너희 복술이나 너희 꿈꾸는 자나 너희 술사나 너희 요술객이 너희에게 이르기를 너희가 바벨론 왕을 섬기지 아니하리라 하여도 듣지 말라 그들은 너희에게 거짓을 예언하여서 너희로 너희 땅에서 멀리 떠나게 하며 또 나로 너희를 몰아내게 하며 너희를 멸하게 하느니라}}</ref>와 핍박, 많은 고난을 겪었다. 또한 기우는 국운과 예정된 예루살렘의 멸망을 생각하며 눈물이 마르지 않았기에 '눈물의 선지자', '고독의 선지자'라고도 불렸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9장 |제목=예레미야 9:1 |저널= |인용문= 어찌하면 내 머리는 물이 되고 내 눈은 눈물 근원이 될꼬 그렇게 되면 살륙당한 딸 내 백성을 위하여 주야로 곡읍하리로다}}</ref> 기원전 586년경, 바벨론의 3차 침공으로 예루살렘이 함락되는 과정을 지켜봤고<ref>{{웹 인용 |url=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76253&cid=50762&categoryId=51365 |제목=유다  |웹사이트= |저널=교회용어사전 |출판사=생명의말씀사 |날짜= |연도=|저자=가스펠서브 |쪽= |시리즈= |isbn= |인용문=유다는 예루살렘 성전을 중심으로 역사상 부침을 계속하다가 B.C.586년경 바벨론에 의해 멸망한다(대하 36:15-21). }}</ref> 성안의 참상을 애도하며 예레미야 애가를 지었다.
<br />예레미야는 거짓 선지자들의 방해<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27장 |제목=예레미야 27:9-10 |저널= |인용문= 너희는 너희 선지자나 너희 복술이나 너희 꿈꾸는 자나 너희 술사나 너희 요술객이 너희에게 이르기를 너희가 바벨론 왕을 섬기지 아니하리라 하여도 듣지 말라 그들은 너희에게 거짓을 예언하여서 너희로 너희 땅에서 멀리 떠나게 하며 또 나로 너희를 몰아내게 하며 너희를 멸하게 하느니라}}</ref>와 핍박, 많은 고난을 겪었다. 또한 기우는 국운과 예정된 예루살렘의 멸망을 생각하며 눈물이 마르지 않았기에 '눈물의 선지자', '고독의 선지자'라고도 불렸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9장 |제목=예레미야 9:1 |저널= |인용문= 어찌하면 내 머리는 물이 되고 내 눈은 눈물 근원이 될꼬 그렇게 되면 살륙당한 딸 내 백성을 위하여 주야로 곡읍하리로다}}</ref> 기원전 586년경, 바벨론의 3차 침공으로 예루살렘이 함락되는 과정을 지켜봤고<ref>{{웹 인용 |url=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76253&cid=50762&categoryId=51365 |제목=유다  |웹사이트= |저널=교회용어사전 |출판사=생명의말씀사 |날짜= |연도=|저자=가스펠서브 |쪽= |시리즈= |isbn= |인용문=유다는 예루살렘 성전을 중심으로 역사상 부침을 계속하다가 B.C. 586년경 바벨론에 의해 멸망한다(대하 36:15-21). }}</ref> 성안의 참상을 애도하며 예레미야 애가를 지었다.


==작성 배경==
==작성 배경==
[[파일:Jeremiah lamenting.jpg |섬네일 |400px |예루살렘의 파괴를 슬퍼하는 예레미야 선지자. 렘브란트(Rembrandt)의 유화로 암스테르담 국립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파일:Jeremiah lamenting.jpg |섬네일 |400px |예루살렘의 파괴를 슬퍼하는 예레미야 선지자. 렘브란트(Rembrandt)의 유화로 암스테르담 국립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북 이스라엘을 멸망시킨 앗수르(아시리아)는 점점 세력이 약해지고, 애굽(이집트)과 바벨론이 세력을 키웠다. 전쟁터에서 남 유다 왕 요시야를 죽인 애굽 왕 느고는 요시야를 이어 왕이 된 여호아하스를 폐위시키고, 그의 형제 엘리아김(여호야김)을 왕으로 세웠다. 여호야김이 바벨론을 3년 동안 섬기다가 반역하자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네부카드네자르 2세)이 예루살렘을 침공해, 왕족과 귀족을 포로로 잡아갔다. 여호야김이 재위 11년 만에 사망하고 그의 아들 여호야긴이 왕위에 올랐으나 바벨론은 그도 잡아가고 시드기야를 유다 왕으로 세웠다.<br>
북 이스라엘을 멸망시킨 앗수르(아시리아)는 점점 세력이 약해지고, 애굽(이집트)과 바벨론이 세력을 키웠다. 전쟁터에서 남 유다 왕 요시야를 죽인 애굽 왕 느고는 요시야를 이어 왕이 된 여호아하스를 폐위시키고, 그의 형제 엘리아김(여호야김)을 왕으로 세웠다. 여호야김이 바벨론을 3년 동안 섬기다가 반역하자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네부카드네자르 2세)이 예루살렘을 침공해, 왕족과 귀족을 포로로 잡아갔다. 여호야김이 재위 11년 만에 사망하고 그의 아들 여호야긴이 왕위에 올랐으나 바벨론은 그도 잡아가고 시드기야를 유다 왕으로 세웠다. <br>
당시 유다는 하나님의 뜻에 불순종해 멸망한 북 이스라엘처럼 악행이 만연했다. 예레미야는 유다의 죄를 지적하며, 유다는 바벨론에 점령당할 것이기에 바벨론에 항복해야 한다고 하나님의 뜻을 전했다. 그러나 유다인들은 그를 매국노 취급하며 그 말을 무시했다. 결국 유다는 바벨론에게 완전히 멸망했다.
당시 유다는 하나님의 뜻에 불순종해 멸망한 북 이스라엘처럼 악행이 만연했다. 예레미야는 유다의 죄를 지적하며, 유다는 바벨론에 점령당할 것이기에 바벨론에 항복해야 한다고 하나님의 뜻을 전했다. 그러나 유다인들은 그를 매국노 취급하며 그 말을 무시했다. 결국 유다는 바벨론에게 완전히 멸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