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칠절: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문자열을 "'" 문자열로
태그: 모바일 편집 모바일 웹 편집
Great1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8번째 줄: 8번째 줄:
|예언성취 = 예수님이 부활 후 50일째에 성령을 부어주심
|예언성취 = 예수님이 부활 후 50일째에 성령을 부어주심
}}
}}
'''칠칠절'''(七七節, Feast of Weeks)은 성경에 기록된 [[하나님의 절기 |3차의 7개 절기]] 중 넷째 절기로 [[유월절]], [[무교절]], [[초실절]] 다음으로 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16장 |제목=신명기 16:16-17 |인용문=너희 중 모든 남자는 '''일년 삼차''' 곧 '''무교절과 칠칠절과 초막절'''에 네 하나님 여호와의 택하신 곳에서 여호와께 보이되}}</ref> 7개 절기를 3차로 구분할 때는 초실절과 칠칠절을 묶어서 칠칠절(또는 맥추절, 麥秋節)로 부르기도 한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3장 |제목=출애굽기 23:14-16 |저널= |인용문=너는 매년 삼차 내게 절기를 지킬지니라 너는 무교병의 절기를 지키라 ... 맥추절을 지키라 이는 네가 수고하여 밭에 뿌린 것의 첫 열매를 거둠이니라 수장절을 지키라 이는 네가 수고하여 이룬 것을 연종에 밭에서부터 거두어 저장함이니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4장 |제목=출애굽기 34:18-22 |저널= |인용문=너는 무교절을 지키되 ... 칠칠절 곧 맥추의 초실절을 지키고 가을에는 수장절을 지키라 }}</ref> 곡물의 첫 이삭 한 단을 하나님께 [[구약의 제사 #요제|요제]]로 바친 날, 즉 초실절부터 50일째 되는 날 거행됐다. 초실절과 칠칠절 간에 일곱째[七] 날인 [[안식일]]이 일곱[七] 번 들어 있어 칠칠절이라고 불렸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3장 |제목=레위기 23:15-16 |저널= |인용문=안식일 이튿날 곧 너희가 요제로 단을 가져온 날부터 세어서 '''칠 안식일'''의 수효를 채우고 제칠 안식일 이튿날까지 합 오십 일을 계수하여 새 소제를 여호와께 드리되 }}</ref> 신약성경에서는 [[오순절|오순절(五旬節)]]로 표현하기도 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2장 |제목=사도행전 2:1 |저널= |인용문=오순절날이 이미 이르매 저희가 다같이 한 곳에 모였더니 }}</ref>
'''칠칠절'''(七七節, Feast of Weeks)은 성경에 기록된 [[하나님의 절기 |3차의 7개 절기]] 중 넷째 절기로 [[유월절]], [[무교절]], [[초실절]] 다음으로 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16장 |제목=신명기 16:16-17 |인용문=너희 중 모든 남자는 '''일년 삼차''' 곧 '''무교절과 칠칠절과 초막절'''에 네 하나님 여호와의 택하신 곳에서 여호와께 보이되}}</ref> 7개 절기를 3차로 구분할 때는 초실절과 칠칠절을 묶어서 칠칠절(또는 맥추절, 麥秋節)로 부르기도 한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3장 |제목=출애굽기 23:14-16 |저널= |인용문=너는 매년 삼차 내게 절기를 지킬지니라 너는 무교병의 절기를 지키라 ... 맥추절을 지키라 이는 네가 수고하여 밭에 뿌린 것의 첫 열매를 거둠이니라 수장절을 지키라 이는 네가 수고하여 이룬 것을 연종에 밭에서부터 거두어 저장함이니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4장 |제목=출애굽기 34:18-22 |저널= |인용문=너는 무교절을 지키되 ... 칠칠절 곧 맥추의 초실절을 지키고 가을에는 수장절을 지키라 }}</ref> 곡물의 첫 이삭 한 단을 하나님께 [[구약의 제사 #요제|요제]]로 바친 날, 즉 초실절부터 50일째 되는 날 거행됐다. 초실절과 칠칠절 간에 일곱째[七] 날인 [[안식일]]이 일곱[七] 번 들어 있어 칠칠절이라고 불렸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3장 |제목=레위기 23:15-16 |저널= |인용문=안식일 이튿날 곧 너희가 요제로 단을 가져온 날부터 세어서 '''칠 안식일'''의 수효를 채우고 제칠 안식일 이튿날까지 합 오십 일을 계수하여 새 소제를 여호와께 드리되 }}</ref> [[신약성경]]에서는 [[오순절|오순절(五旬節)]]로 표현하기도 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2장 |제목=사도행전 2:1 |저널= |인용문=오순절날이 이미 이르매 저희가 다같이 한 곳에 모였더니 }}</ref>


==칠칠절의 유래==
==칠칠절의 유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