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브리서: 두 판 사이의 차이

Bluehi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Bluehi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11번째 줄: 11번째 줄:
}}
}}


'''히브리서'''(Hebrews)는 [[신약성경]]의 19번째 책이다. [[유대교]]에서 그리스도교로 개종한 히브리인 성도들을 위해 기록됐다. 구약 시대 율법과 제사 제도가 신약 시대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 어떻게 성취되었는지를 설명함으로써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일깨운다.
'''히브리서'''(Hebrews)는 [[신약성경]]의 19번째 책이다. [[유대교]]에서 그리스도교로 개종한 히브리인 성도들을 위해 기록됐다. 구약시대 율법과 [[구약의 제사|제사]] 제도가 신약시대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 어떻게 성취되었는지를 설명함으로써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일깨운다.


==기록자==
==기록자==
40번째 줄: 40번째 줄:
===모세와 예수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3장 (3장-4장 13절)]===
===모세와 예수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3장 (3장-4장 13절)]===
하나님의 종으로 충성한 [[모세]]와 같이 예수님은 하나님의 집을 맡은 ‘아들’로서 죽기까지 충성하셨다.<br>
하나님의 종으로 충성한 [[모세]]와 같이 예수님은 하나님의 집을 맡은 ‘아들’로서 죽기까지 충성하셨다.<br>
모세 시대 하나님 말씀에 불순종한 이스라엘 백성들은 약속의 땅인 [[가나안]]에 들어가지 못했다. 신약 시대 그리스도의 음성 곧 [[복음]]을 들은 성도들은 이스라엘 백성의 행적을 거울삼아 불순종을 삼가고 순종으로 천국에 들어가기를 힘써야 한다.  
모세 시대 하나님 말씀에 불순종한 이스라엘 백성들은 약속의 땅인 [[가나안]]에 들어가지 못했다. 신약시대 그리스도의 음성 곧 [[복음]]을 들은 성도들은 이스라엘 백성의 행적을 거울삼아 불순종을 삼가고 순종으로 천국에 들어가기를 힘써야 한다.  


===아론의 반차와 멜기세덱의 반차, 옛 언약과 새 언약[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4장 (4장 14절-10장)]===
===아론의 반차와 멜기세덱의 반차, 옛 언약과 새 언약[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4장 (4장 14절-10장)]===
구약 시대에는 레위 계통의 [[제사장 반차|제사 직분]](아론의 반차)에 따라 제사장들이 짐승의 피를 흘려 제사했다. 신약 시대, 예수님께서 [[멜기세덱]]의 반차를 좇는 영원한 대제사장이 되어 이 땅에 오셨다. 아브라함 시대에 등장했던 멜기세덱은 당시 떡과 포도주로 제사한 유일한 제사장으로,<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4장 |제목=창세기 14:17-20 |저널= |인용문=아브람이 그돌라오멜과 그와 함께 한 왕들을 파하고 돌아올 때에 소돔 왕이 사웨 골짜기 곧 왕곡에 나와 그를 영접하였고 살렘 왕 멜기세덱이 떡과 포도주를 가지고 나왔으니 그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제사장이었더라 그가 아브람에게 축복하여 가로되 }}</ref> 장차 오실 [[그리스도]]를 미리 알려주는 인물이다. 예수님은 당신의 살과 피를 상징하는 [[유월절]] 떡과 포도주로 [[새 언약]]을 세우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제목=마태복음 26:17-28 |저널= |인용문=저희가 먹을 때에 예수께서 떡을 가지사 축복하시고 떼어 제자들을 주시며 가라사대 받아 먹으라 이것이 내 몸이니라 하시고 또 잔을 가지사 사례하시고 ... 이것은 죄 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 |제목=누가복음 22:15-20 |저널= |인용문=이르시되 내가 고난을 받기 전에 너희와 함께 이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 ... 이 잔은 내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니 곧 너희를 위하여 붓는 것이라 }}</ref> 불완전한 옛 언약을 새 언약으로 완성하시고, 아론의 반차를 따르는 제사장 직분을 멜기세덱의 반차를 따르는 제사장 직분으로 변역하신 것이다. 짐승의 피로는 우리의 죄가 사해질 수 없고 그리스도의 피를 힘입어야만 사해지기 때문이다.<br>  
구약시대에는 레위 계통의 [[제사장 반차|제사 직분]](아론의 반차)에 따라 제사장들이 짐승의 피를 흘려 제사했다. 신약시대, 예수님께서 [[멜기세덱]]의 반차를 좇는 영원한 대제사장이 되어 이 땅에 오셨다. 아브라함 시대에 등장했던 멜기세덱은 당시 떡과 포도주로 제사한 유일한 제사장으로,<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4장 |제목=창세기 14:17-20 |저널= |인용문=아브람이 그돌라오멜과 그와 함께 한 왕들을 파하고 돌아올 때에 소돔 왕이 사웨 골짜기 곧 왕곡에 나와 그를 영접하였고 살렘 왕 멜기세덱이 떡과 포도주를 가지고 나왔으니 그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제사장이었더라 그가 아브람에게 축복하여 가로되 }}</ref> 장차 오실 [[그리스도]]를 미리 알려주는 인물이다. 예수님은 당신의 살과 피를 상징하는 [[유월절]] 떡과 포도주로 [[새 언약]]을 세우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제목=마태복음 26:17-28 |저널= |인용문=저희가 먹을 때에 예수께서 떡을 가지사 축복하시고 떼어 제자들을 주시며 가라사대 받아 먹으라 이것이 내 몸이니라 하시고 또 잔을 가지사 사례하시고 ... 이것은 죄 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 |제목=누가복음 22:15-20 |저널= |인용문=이르시되 내가 고난을 받기 전에 너희와 함께 이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 ... 이 잔은 내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니 곧 너희를 위하여 붓는 것이라 }}</ref> 불완전한 옛 언약을 새 언약으로 완성하시고, 아론의 반차를 따르는 제사장 직분을 멜기세덱의 반차를 따르는 제사장 직분으로 변역하신 것이다. 짐승의 피로는 우리의 죄가 사해질 수 없고 그리스도의 피를 힘입어야만 사해지기 때문이다.<br>  
그리스도의 피를 힘입은 새 언약의 성도들은 그 희생을 깨닫고 [[천국]] 소망을 굳게 잡아 구원에 이르러야 한다.
그리스도의 피를 힘입은 새 언약의 성도들은 그 희생을 깨닫고 [[천국]] 소망을 굳게 잡아 구원에 이르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