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월절: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태그: 편집 취소 |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신약의식 = 세족식 후 예수님의 살과 피를 상징하는 떡과 포도주를 먹고 마심 | |신약의식 = 세족식 후 예수님의 살과 피를 상징하는 떡과 포도주를 먹고 마심 | ||
|예언성취 = 죄악 세상에서 해방 | |예언성취 = 죄악 세상에서 해방 | ||
|축복 = 죄 사함, 영생, 재앙에서 보호, 첫째 계명 | |축복 = 죄 사함, 영생, 재앙에서 보호, 첫째 계명 완수 | ||
}} | }} | ||
'''유월절(逾越節, Passover) | '''유월절'''(逾越節, Passover)은 [[성경]]에 기록된 3차의 7개 절기 중 첫째 절기다. 성력 1월 14일 저녁에 지키며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695076 그레고리력](태양력)으로 3-4월에 해당한다. 7개 절기를 3차([[무교절]], [[칠칠절]], [[초막절]])로 구분할 때 1차 절기인 [[무교절]]에 속한다. <br> | ||
유월절은 하나님이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세운 [[새 언약]]의 핵심 진리다. 성력 1월 14일 저녁, [[예수 그리스도]]는 당신의 살과 피를 상징하는 떡과 포도주로 제자들과 함께 유월절을 지키며 새 언약을 세우셨다. 구약시대 | 유월절은 하나님이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세운 [[새 언약]]의 핵심 진리다. 성력 1월 14일 저녁, [[예수 그리스도]]는 당신의 살과 피를 상징하는 떡과 포도주로 제자들과 함께 유월절을 지키며 새 언약을 세우셨다. 구약시대 이스라엘 민족이 유월절을 지켜 애굽(이집트)에서 해방돼 가나안에 들어간 것처럼 신약시대 성도들은 [[새 언약 유월절]]을 지켜 영생을 얻고 죄악 세상에서 해방받아 [[천국]]에 들어간다. | ||
==유월절의 유래와 의미== | ==유월절의 유래와 의미== | ||
===유래와 의미=== | ===유래와 의미=== | ||
유월절은 애굽에서 노예 생활 하던 이스라엘 민족이 유월절을 지켜 재앙에서 보호받고 해방된 역사에서 유래했다. | 유월절은 애굽에서 노예 생활 하던 이스라엘 민족이 유월절을 지켜 재앙에서 보호받고 해방된 역사에서 유래했다. '재앙이 넘어가는 절기'라는 뜻의 유월절 명칭도 이러한 역사에서 유래했다. '유월(넘을 유 逾, 건널 월 越)'은 '넘어간다'라는 뜻이다. 유월절을 히브리어로 페사흐(פֶּסַח)라고 하는데 '지나가다', '뛰어넘다'라는 의미의 동사 파사흐(פָּסַח)에서 파생됐다. 헬라어로는 파스카(πασχα), 영어로는 패스오버(Passover)라고 한다. 모두 '(재앙이) 넘어간다'는 뜻이다. | ||
===언어별 유월절 표기=== | ===언어별 유월절 표기=== | ||
| 118번째 줄: | 118번째 줄: | ||
*'''광야 시대''' | *'''광야 시대''' | ||
애굽에서 해방된 이스라엘 민족은 다음 해 1월 1일 [[성소 (성막)|성막]]을 완성하고,<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40장|제목=출애굽기 40:17|인용문=제 이년 정월 곧 그 달 초일일에 성막을 세우니라}}</ref> 그달 14일 시내 광야에서 두 번째 유월절을 지켰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9장|제목=민수기 9:1-5|인용문=애굽 땅에서 나온 다음 해 정월에 여호와께서 시내 광야에서 모세에게 일러 가라사대 이스라엘 자손으로 유월절을 그 정기에 지키게 하라 ... 그들이 정월 십사 일 해 질 때에 시내 광야에서 유월절을 지켰으되 이스라엘 자손이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하신 것을 다 좇아 행하였더라}}</ref> 하나님은 시체로 인하여 부정케 되거나 먼 여행 중에 있어 유월절을 지키지 못한 사람에게는 2월 14일 저녁에 동일한 규례대로 유월절을 지키게 하셨다. 또한 하나님의 백성은 마땅히 유월절을 지켜야 하며 유월절을 지키지 않는 자는 백성 중에서 끊어질 것이라고 경고하셨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9장|제목=민수기 9:9-13|인용문=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일러 가라사대 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이르라 너희나 너희 후손 중에 시체로 인하여 부정케 되든지 먼 여행 중에 있든지 | 애굽에서 해방된 이스라엘 민족은 다음 해 1월 1일 [[성소 (성막)|성막]]을 완성하고,<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40장|제목=출애굽기 40:17|인용문=제 이년 정월 곧 그 달 초일일에 성막을 세우니라}}</ref> 그달 14일 시내 광야에서 두 번째 유월절을 지켰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9장|제목=민수기 9:1-5|인용문=애굽 땅에서 나온 다음 해 정월에 여호와께서 시내 광야에서 모세에게 일러 가라사대 이스라엘 자손으로 유월절을 그 정기에 지키게 하라 ... 그들이 정월 십사 일 해 질 때에 시내 광야에서 유월절을 지켰으되 이스라엘 자손이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하신 것을 다 좇아 행하였더라}}</ref> 하나님은 시체로 인하여 부정케 되거나 먼 여행 중에 있어 유월절을 지키지 못한 사람에게는 2월 14일 저녁에 동일한 규례대로 유월절을 지키게 하셨다. 또한 하나님의 백성은 마땅히 유월절을 지켜야 하며 유월절을 지키지 않는 자는 백성 중에서 끊어질 것이라고 경고하셨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9장|제목=민수기 9:9-13|인용문=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일러 가라사대 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이르라 너희나 너희 후손 중에 시체로 인하여 부정케 되든지 먼 여행 중에 있든지 할지라도 다 여호와 앞에 마땅히 유월절을 지키되 이월 십사 일 해 질 때에 그것을 지켜서 ... 유월절 모든 율례대로 지킬 것이니라 그러나 사람이 정결도 하고 여행 중에도 있지 아니하면서 유월절을 지키지 아니하는 자는 그 백성 중에서 끊쳐지리니}}</ref><br> | ||
그러나 성경에는 이스라엘 민족이 두 번째 유월절을 지킨 후 광야 길을 걷는 38년 동안 유월절을 지킨 기록이 없다. 광야 시대 말기, 하나님은 [[요단강]]을 건너 [[여리고]]성 앞에 이른 이스라엘 민족에게 [[할례]]를 행하라고 명하셨다. 애굽에서 나온 20세 이상의 남성은 | 그러나 성경에는 이스라엘 민족이 두 번째 유월절을 지킨 후 광야 길을 걷는 38년 동안 유월절을 지킨 기록이 없다. 광야 시대 말기, 하나님은 [[요단강]]을 건너 [[여리고]]성 앞에 이른 이스라엘 민족에게 [[할례]]를 행하라고 명하셨다. 애굽에서 나온 20세 이상의 남성은 여호수아와 갈렙을 제외하고 광야에서 모두 죽었고<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4장|제목=민수기 14:29-30|인용문=너희 시체가 이 광야에 엎드러질 것이라 너희 이십 세 이상으로 계수함을 받은 자 곧 나를 원망한 자의 전부가 여분네의 아들 갈렙과 눈의 아들 여호수아 외에는 내가 맹세하여 너희로 거하게 하리라 한 땅에 결단코 들어가지 못하리라}}</ref> 광야에서 태어난 자들은 할례를 받지 않았기 때문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여호수아#5장|제목=여호수아 5:2-5|인용문=여호와께서 여호수아에게 이르시되 너는 부싯돌로 칼을 만들어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다시 할례를 행하라 하시매 ... 여호수아가 할례를 시행한 까닭은 이것이니 애굽에서 나온 모든 백성 중 남자 곧 모든 군사는 애굽에서 나온 후 광야 노중에서 죽었는데 그 나온 백성은 다 할례를 받았으나 오직 애굽에서 나온 후 광야 노중에서 난 자는 할례를 받지 못하였음이라}}</ref> 유월절은 할례를 받은 사람만 지킬 수 있으므로 할례를 행하지 않았다는 것은 그간 유월절을 지키지 않았다는 의미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제목=출애굽기 12:48|인용문=너희와 함께 거하는 타국인이 여호와의 유월절을 지키고자 하거든 그 모든 남자는 할례를 받은 후에야 가까이하여 지킬지니 곧 그는 본토인과 같이 될 것이나 할례 받지 못한 자는 먹지 못할 것이니라}}</ref> 할례를 행한 후 여리고 평지에서 유월절을 지킨 이스라엘 민족은 그 해에 가나안에 입성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여호수아#5장|제목=여호수아 5:10-12|인용문=이스라엘 자손들이 길갈에 진 쳤고 그달 십사 일 저녁에는 여리고 평지에서 유월절을 지켰고 ... 이스라엘 사람들이 다시는 만나를 얻지 못하였고 그 해에 가나안 땅의 열매를 먹었더라}}</ref> | ||
*'''히스기야 시대''' | *'''히스기야 시대''' | ||
유월절을 통해 하나님의 권능이 나타난 역사는 모세 시대로부터 약 800년이 지난 | 유월절을 통해 하나님의 권능이 나타난 역사는 모세 시대로부터 약 800년이 지난 히스기야 시대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히스기야는 [[남 유다 왕국]]의 제13대 왕으로, 당시 이스라엘은 남 유다 왕국과 [[북 이스라엘 왕국]]으로 분열돼 있었다. <br> | ||
히스기야왕은 즉위하자마자 국가의 안정을 얻고 하나님의 보호를 받기를 원하는 마음으로 유월절을 지키기로 했다. 히스기야는 남 유다와 북 이스라엘 전역에 보발꾼들을 보내 유월절을 지키러 [[예루살렘]]으로 오라는 소식을 전했다. 그러나 왕국 분열 이후 약 250년 동안 유월절을 지켜본 적이 없던 대다수 북 이스라엘 백성들은 보발꾼들을 조롱하며 비웃었다. 결국 남 유다 백성들만이 예루살렘에 온 소수의 북 이스라엘 백성과 유월절을 지켰다.<ref name="히스기야 유월절">{{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하#30장|제목=역대하 30:1-12|인용문=히스기야가 온 이스라엘과 유다에 보내고 또 에브라임과 므낫세에 편지를 보내어 예루살렘 여호와의 전에 와서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를 위하여 유월절을 지키라 하니라 ... 보발꾼이 에브라임과 므낫세 지방 각 성에 두루 다녀 스불론까지 이르렀으나 사람들이 저희를 조롱하며 비웃었더라 그러나 아셀과 므낫세와 스불론 중에서 몇 사람이 스스로 겸비하여 예루살렘에 이르렀고 하나님이 또한 유다 사람들을 감동시키사 저희로 왕과 방백들이 여호와의 말씀대로 전한 명령을 일심으로 준행하게 하셨더라}}</ref> 유월절을 지킨 백성들은 그동안 알지 못하고 섬기던 [[우상]]과 다른 신에게 제사하는 제단을 없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하#31장|제목=역대하 31:1|인용문=이 모든 일이 마치매 거기 있는 이스라엘 무리가 나가서 유다 여러 성읍에 이르러 주상을 깨뜨리며 아세라 목상을 찍으며 유다와 베냐민과 에브라임과 므낫세 온 땅에서 산당과 단을 제하여 멸하고 이스라엘 모든 자손이 각각 그 본성 기업으로 돌아갔더라}}</ref><br> | 히스기야왕은 즉위하자마자 국가의 안정을 얻고 하나님의 보호를 받기를 원하는 마음으로 유월절을 지키기로 했다. 히스기야는 남 유다와 북 이스라엘 전역에 보발꾼들을 보내 유월절을 지키러 [[예루살렘]]으로 오라는 소식을 전했다. 그러나 왕국 분열 이후 약 250년 동안 유월절을 지켜본 적이 없던 대다수 북 이스라엘 백성들은 보발꾼들을 조롱하며 비웃었다. 결국 남 유다 백성들만이 예루살렘에 온 소수의 북 이스라엘 백성과 유월절을 지켰다.<ref name="히스기야 유월절">{{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하#30장|제목=역대하 30:1-12|인용문=히스기야가 온 이스라엘과 유다에 보내고 또 에브라임과 므낫세에 편지를 보내어 예루살렘 여호와의 전에 와서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를 위하여 유월절을 지키라 하니라 ... 보발꾼이 에브라임과 므낫세 지방 각 성에 두루 다녀 스불론까지 이르렀으나 사람들이 저희를 조롱하며 비웃었더라 그러나 아셀과 므낫세와 스불론 중에서 몇 사람이 스스로 겸비하여 예루살렘에 이르렀고 하나님이 또한 유다 사람들을 감동시키사 저희로 왕과 방백들이 여호와의 말씀대로 전한 명령을 일심으로 준행하게 하셨더라}}</ref> 유월절을 지킨 백성들은 그동안 알지 못하고 섬기던 [[우상]]과 다른 신에게 제사하는 제단을 없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하#31장|제목=역대하 31:1|인용문=이 모든 일이 마치매 거기 있는 이스라엘 무리가 나가서 유다 여러 성읍에 이르러 주상을 깨뜨리며 아세라 목상을 찍으며 유다와 베냐민과 에브라임과 므낫세 온 땅에서 산당과 단을 제하여 멸하고 이스라엘 모든 자손이 각각 그 본성 기업으로 돌아갔더라}}</ref><br> | ||
3년 후 당시 강대국이었던 | 3년 후 당시 강대국이었던 앗수르(아시리아)가 북 이스라엘을 침략해 수도 사마리아를 에워쌌고, 포위 3년 만에 함락시켰다. 유월절을 지키지 않았던 북 이스라엘은 기원전 721년경 완전히 멸망했다.<ref>{{웹 인용 |url=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07419&cid=62097&categoryId=62097 |제목=북이스라엘의 역사 |웹사이트= |저널=이스라엘사 |출판사=대한교과서|날짜= |연도=|저자=최창모 |쪽= |시리즈= |isbn= |인용문=기원전 925년 솔로몬 사후 등극한 여로보암 왕으로부터 721년 아시리아로부터 멸망당할 때 마지막 왕인 호세아에 이르기까지 약 200년을 유지해 온 북이스라엘 왕조는 모두 19명의 왕을 낳았다}}</ref> 성경은 북 이스라엘이 멸망한 근본적 원인이 하나님의 언약을 배반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18장|제목=열왕기하 18:9-12|인용문=히스기야왕 사 년 곧 이스라엘 왕 엘라의 아들 호세아 칠 년에 앗수르 왕 살만에셀이 사마리아로 올라와서 에워쌌더라 삼 년 후에 그 성이 함락되니 곧 히스기야의 육 년이요 이스라엘 왕 호세아의 구 년이라 사마리아가 함락되매 앗수르 왕이 이스라엘을 사로잡아 앗수르에 이르러 할라와 고산 하볼 하숫가와 메대 사람의 여러 성읍에 두었으니 이는 저희가 그 하나님 여호와의 말씀을 준행치 아니하고 그 언약을 배반하고 여호와의 종 모세의 모든 명한 것을 거스려 듣지도 아니하며 행치도 아니하였음이더라}}</ref><br> | ||
히스기야 제14년, 앗수르 군대가 남 유다를 침략해 여러 성읍을 정복하고 포위망을 수도 예루살렘으로 좁혀왔다. 하나님은 유월절을 지킨 남 유다에 구원을 약속했고, 천사를 보내 앗수르 군사들을 치게 하셨다. 하룻밤 사이에 군사 18만 5000명이 죽고 앗수르군은 퇴각했다.<ref name="남 유다 구원">{{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19장|제목=열왕기하 19:30-35|인용문=남은 자는 예루살렘에서부터 나올 것이요 피하는 자는 시온산에서부터 나오리니 ... 여호와께서 앗수르 왕을 가리켜 이르시기를 저가 이 성에 이르지 못하며 이리로 살을 쏘지 못하며 ... 오던 길로 돌아가고 이 성에 이르지 못하리라 하셨으니 이는 여호와의 말씀이시라 내가 나와 나의 종 다윗을 위하여 이 성을 보호하여 구원하리라 하셨나이다 하였더라 이 밤에 여호와의 사자가 나와서 앗수르 진에서 군사 | 히스기야 제14년, 앗수르 군대가 남 유다를 침략해 여러 성읍을 정복하고 포위망을 수도 예루살렘으로 좁혀왔다. 하나님은 유월절을 지킨 남 유다에 구원을 약속했고, 천사를 보내 앗수르 군사들을 치게 하셨다. 하룻밤 사이에 군사 18만 5000명이 죽고 앗수르군은 퇴각했다.<ref name="남 유다 구원">{{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19장|제목=열왕기하 19:30-35|인용문=남은 자는 예루살렘에서부터 나올 것이요 피하는 자는 시온산에서부터 나오리니 ... 여호와께서 앗수르 왕을 가리켜 이르시기를 저가 이 성에 이르지 못하며 이리로 살을 쏘지 못하며 ... 오던 길로 돌아가고 이 성에 이르지 못하리라 하셨으니 이는 여호와의 말씀이시라 내가 나와 나의 종 다윗을 위하여 이 성을 보호하여 구원하리라 하셨나이다 하였더라 이 밤에 여호와의 사자가 나와서 앗수르 진에서 군사 십팔만 오천을 친지라 아침에 일찌기 일어나 보니 다 송장이 되었더라}}</ref> 남 유다는 유월절에 담긴 약속대로 재앙에서 보호받고 멸망의 위기에서 벗어났다. | ||
*'''요시야 시대''' | *'''요시야 시대''' | ||
히스기야 이후 남 유다 왕국은 유월절을 지키지 않고 히스기야가 없애버린 우상을 다시 세웠다. 히스기야의 증손자인 남 유다 제16대 왕 [[ | 히스기야 이후 남 유다 왕국은 유월절을 지키지 않고 히스기야가 없애버린 우상을 다시 세웠다. 히스기야의 증손자인 남 유다 제16대 왕 요시야는 재위 18년에 [[성전]]을 수리하다 발견한 율법책을 읽고 유월절을 깨달았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2장|제목=열왕기하 22:3-11|인용문=요시야왕 십팔 년에 ... 그 전을 수리하게 하라 하니라 ... 대제사장 힐기야가 서기관 사반에게 이르되 내가 여호와의 전에서 율법책을 발견하였노라 하고 ... 왕이 율법책의 말을 듣자 곧 그 옷을 찢으니라}}</ref> 유월절을 지키기로 한 요시야와 백성들은 그동안 하나님의 성전에서 알지 못하고 섬기던 우상을 없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3장|제목=열왕기하 23:3-4|인용문=왕이 대 위에 서서 여호와 앞에서 언약을 세우되 마음을 다하고 성품을 다하여 여호와를 순종하고 그 계명과 법도와 율례를 지켜 이 책에 기록된 이 언약의 말씀을 이루게 하리라 하매 백성이 다 그 언약을 좇기로 하니라 왕이 대제사장 힐기야와 모든 버금 제사장들과 문을 지킨 자들에게 명하여 바알과 아세라와 하늘의 일월성신을 위하여 만든 모든 기명을 여호와의 전에서 내어다가 예루살렘 바깥 기드론 밭에서 불사르고 그 재를 벧엘로 가져가게 하고}}</ref> 유월절을 지킨 이후에는 이스라엘과 유다 땅에 보이는 모든 우상을 멸했다. 사사 시대부터 이때까지 요시야와 같이 유월절을 지킨 일이 없었으므로 요시야는 마음과 성품과 힘을 다해 하나님의 모든 율법을 온전히 준행한 왕으로 성경에 기록되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3장|제목=열왕기하 23:21-25|인용문=왕이 뭇 백성에게 명하여 가로되 이 언약책에 기록된 대로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를 위하여 유월절을 지키라 하매 사사가 이스라엘을 다스리던 시대부터 ... 이렇게 유월절을 지킨 일이 없었더니 요시야왕 십팔 년에 예루살렘에서 여호와 앞에 이 유월절을 지켰더라 요시야가 또 유다 땅과 예루살렘에 보이는 신접한 자와 박수와 드라빔과 우상과 모든 가증한 것을 다 제하였으니 ... 요시야와 같이 마음을 다하며 성품을 다하며 힘을 다하여 여호와를 향하여 모세의 모든 율법을 온전히 준행한 임금은 요시야 전에도 없었고 후에도 그와 같은 자가 없었더라}}</ref> | ||
==신약시대의 유월절== | ==신약시대의 유월절== | ||
| 136번째 줄: | 136번째 줄: | ||
===예수 그리스도의 새 언약 유월절=== | ===예수 그리스도의 새 언약 유월절=== | ||
[[파일:유월절 최후의 만찬(캡쳐본).png|섬네일|새 언약 유월절을 통해 인류를 죄악 세상에서 해방시켜 주신 예수 그리스도]] | [[파일:유월절 최후의 만찬(캡쳐본).png|섬네일|새 언약 유월절을 통해 인류를 죄악 세상에서 해방시켜 주신 예수 그리스도]] | ||
유월절을 지킨 이스라엘 민족이 애굽에서 해방된 역사는 예수 그리스도가 새 언약 유월절을 세워 인류를 죄악 세상에서 해방시킬 것에 대한 예언이다. 예수 그리스도는 성력 1월 14일 유월절 양 잡는 날에 | 유월절을 지킨 이스라엘 민족이 애굽에서 해방된 역사는 예수 그리스도가 새 언약 유월절을 세워 인류를 죄악 세상에서 해방시킬 것에 대한 예언이다. 예수 그리스도는 성력 1월 14일 유월절 양 잡는 날에 베드로와 요한을 보내어 유월절을 준비하게 하셨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제목=누가복음 22:7-8|인용문=유월절 양을 잡을 무교절일이 이른지라 예수께서 베드로와 요한을 보내시며 가라사대 가서 우리를 위하여 우리로 먹게 하라}}</ref> 그날 저녁 예수 그리스도는 마가의 다락방에서 제자들의 발을 직접 씻긴 후,<ref name="세족식" /> 함께 유월절을 지키셨다. 예수 그리스도는 유월절 떡을 당신의 살, 유월절 포도주를 많은 사람의 죄 사함을 위하여 흘리는 당신의 피라고 하시며,<ref name="마태복음 유월절" /> 새 언약을 선포하셨다. | ||
{{인용문5|내용=때가 이르매 예수께서 사도들과 함께 앉으사 이르시되 내가 고난을 받기 전에 너희와 함께 이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 ... 떡을 가져 사례하시고 떼어 저희에게 주시며 가라사대 이것은 너희를 위하여 주는 내 몸이라 너희가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저녁 먹은 후에 잔도 이와 같이 하여 가라사대 이 잔은 '''내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니 곧 너희를 위하여 붓는 것이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 누가복음 22:14-20]}} | {{인용문5|내용=때가 이르매 예수께서 사도들과 함께 앉으사 이르시되 내가 고난을 받기 전에 너희와 함께 이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 ... 떡을 가져 사례하시고 떼어 저희에게 주시며 가라사대 이것은 너희를 위하여 주는 내 몸이라 너희가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저녁 먹은 후에 잔도 이와 같이 하여 가라사대 이 잔은 '''내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니 곧 너희를 위하여 붓는 것이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 누가복음 22:14-20]}} | ||
예수 그리스도는 유월절의 포도주를 가리켜 | 예수 그리스도는 유월절의 포도주를 가리켜 "내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라고 강조했으며,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다고 말씀하셨다. 이는 새 언약의 핵심이 새 언약 유월절이라는 뜻이다. 유월절 다음 날 예수 그리스도는 유월절 양의 실체로서 십자가에서 운명했다. 로마 군병들은 예수님의 좌우편 십자가에 달린 두 강도의 다리를 꺾었지만 예수님의 뼈는 꺾지 않고 창으로 옆구리를 찔렀다. 이는 유월절 양의 뼈를 꺾지 말라 한 예언을 성취한 것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9장|제목=요한복음 19:32-36|인용문=군병들이 가서 예수와 함께 못 박힌 첫째 사람과 또 그 다른 사람의 다리를 꺾고 예수께 이르러는 이미 죽은 것을 보고 다리를 꺾지 아니하고 그 중 한 군병이 창으로 옆구리를 찌르니 곧 피와 물이 나오더라 ... 이 일이 이룬 것은 그 뼈가 하나도 꺾이우지 아니하리라 한 성경을 응하게 하려 함이라}}</ref> | ||
===새 언약 유월절 지킨 초대교회=== | ===새 언약 유월절 지킨 초대교회=== | ||
| 146번째 줄: | 146번째 줄: | ||
==유월절의 축복== | ==유월절의 축복== | ||
===천국=== | ===천국=== | ||
[[파일:하나님의교회 유월절.jpg|섬네일|새 언약 유월절을 지키는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 |||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들의 광야 40년 역사는 신약시대에 일어날 사건을 미리 보여준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0장|제목=고린도전서 10:1-11|인용문=그러나 저희의 다수를 하나님이 기뻐하지 아니하신 고로 저희가 광야에서 멸망을 받았느니라 ... 저희에게 당한 이런 일이 거울이 되고 또한 말세를 만난 우리의 경계로 기록하였느니라}}</ref> 이스라엘 백성들이 유월절을 지키고 애굽에서 해방되어 40년 [[광야 생활]]을 거쳐 가나안에 들어간 역사는 신약시대 성도들이 유월절을 지키고 죄악 세상에서 해방되어 믿음의 광야를 거쳐 영적 가나안인 [[천국]]에 들어갈 것에 대한 예언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3장|제목=히브리서 3:15-19|인용문=성경에 일렀으되 오늘날 너희가 그의 음성을 듣거든 노하심을 격동할 때와 같이 너희 마음을 강퍅케 하지 말라 하였으니 듣고 격노케 하던 자가 누구뇨 모세를 좇아 애굽에서 나온 모든 이가 아니냐 또 하나님이 사십 년 동안에 누구에게 노하셨느뇨 범죄하여 그 시체가 광야에 엎드러진 자에게가 아니냐 또 하나님이 누구에게 맹세하사 그의 안식에 들어오지 못하리라 하셨느뇨 곧 순종치 아니하던 자에게가 아니냐 이로 보건대 저희가 믿지 아니하므로 능히 들어가지 못한 것이라}}</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4장|제목=히브리서 14:6-11|인용문=그러면 거기 들어갈 자들이 남아 있거니와 복음 전함을 먼저 받은 자들은 순종치 아니함을 인하여 들어가지 못하였으므로 ... 그런즉 안식할 때가 하나님의 백성에게 남아 있도다 이미 그의 안식에 들어간 자는 하나님이 자기 일을 쉬심과 같이 자기 일을 쉬느니라 그러므로 우리가 저 안식에 들어가기를 힘쓸지니 이는 누구든지 저 순종치 아니하는 본에 빠지지 않게 하려 함이라}}</ref> <br> |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들의 광야 40년 역사는 신약시대에 일어날 사건을 미리 보여준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0장|제목=고린도전서 10:1-11|인용문=그러나 저희의 다수를 하나님이 기뻐하지 아니하신 고로 저희가 광야에서 멸망을 받았느니라 ... 저희에게 당한 이런 일이 거울이 되고 또한 말세를 만난 우리의 경계로 기록하였느니라}}</ref> 이스라엘 백성들이 유월절을 지키고 애굽에서 해방되어 40년 [[광야 생활]]을 거쳐 가나안에 들어간 역사는 신약시대 성도들이 유월절을 지키고 죄악 세상에서 해방되어 믿음의 광야를 거쳐 영적 가나안인 [[천국]]에 들어갈 것에 대한 예언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3장|제목=히브리서 3:15-19|인용문=성경에 일렀으되 오늘날 너희가 그의 음성을 듣거든 노하심을 격동할 때와 같이 너희 마음을 강퍅케 하지 말라 하였으니 듣고 격노케 하던 자가 누구뇨 모세를 좇아 애굽에서 나온 모든 이가 아니냐 또 하나님이 사십 년 동안에 누구에게 노하셨느뇨 범죄하여 그 시체가 광야에 엎드러진 자에게가 아니냐 또 하나님이 누구에게 맹세하사 그의 안식에 들어오지 못하리라 하셨느뇨 곧 순종치 아니하던 자에게가 아니냐 이로 보건대 저희가 믿지 아니하므로 능히 들어가지 못한 것이라}}</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4장|제목=히브리서 14:6-11|인용문=그러면 거기 들어갈 자들이 남아 있거니와 복음 전함을 먼저 받은 자들은 순종치 아니함을 인하여 들어가지 못하였으므로 ... 그런즉 안식할 때가 하나님의 백성에게 남아 있도다 이미 그의 안식에 들어간 자는 하나님이 자기 일을 쉬심과 같이 자기 일을 쉬느니라 그러므로 우리가 저 안식에 들어가기를 힘쓸지니 이는 누구든지 저 순종치 아니하는 본에 빠지지 않게 하려 함이라}}</ref> <br> | ||
이스라엘 민족이 시내 광야에서 두 번째 유월절을 지킨 후 가나안 들어가기 직전까지 유월절을 지킨 기록이 없는 것처럼 신약시대에도 325년 니케아 종교회의 후 약 1600년 동안 유월절이 지켜지지 않았다. 이스라엘 민족은 가나안 땅에 들어가기 직전 유월절을 지켰다. 이는 신약시대 성도들이 하늘 가나안인 천국에 들어가기 직전, 오랫동안 지켜지지 않았던 새 언약 유월절이 회복될 것을 보여주는 예언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25장|제목=이사야 25:6-9|인용문=만군의 여호와께서 이 산에서 만민을 위하여 기름진 것과 오래 저장하였던 포도주로 연회를 베푸시리니 ... 사망을 영원히 멸하실 것이라 ... 그날에 말하기를 이는 우리의 하나님이시라 우리가 그를 기다렸으니 그가 우리를 구원하시리로다 이는 여호와시라 우리가 그를 기다렸으니 우리는 그 구원을 기뻐하며 즐거워하리라 할 것이며}}</ref> 유월절을 지킨 이스라엘 민족이 가나안에 입성한 것처럼 신약시대에도 새 언약 유월절을 지킨 성도들이 영적 가나안인 천국에 들어갈 수 있다. | 이스라엘 민족이 시내 광야에서 두 번째 유월절을 지킨 후 가나안 들어가기 직전까지 유월절을 지킨 기록이 없는 것처럼 신약시대에도 325년 니케아 종교회의 후 약 1600년 동안 유월절이 지켜지지 않았다. 이스라엘 민족은 가나안 땅에 들어가기 직전 유월절을 지켰다. 이는 신약시대 성도들이 하늘 가나안인 천국에 들어가기 직전, 오랫동안 지켜지지 않았던 새 언약 유월절이 회복될 것을 보여주는 예언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25장|제목=이사야 25:6-9|인용문=만군의 여호와께서 이 산에서 만민을 위하여 기름진 것과 오래 저장하였던 포도주로 연회를 베푸시리니 ... 사망을 영원히 멸하실 것이라 ... 그날에 말하기를 이는 우리의 하나님이시라 우리가 그를 기다렸으니 그가 우리를 구원하시리로다 이는 여호와시라 우리가 그를 기다렸으니 우리는 그 구원을 기뻐하며 즐거워하리라 할 것이며}}</ref> 유월절을 지킨 이스라엘 민족이 가나안에 입성한 것처럼 신약시대에도 새 언약 유월절을 지킨 성도들이 영적 가나안인 천국에 들어갈 수 있다. | ||
| 163번째 줄: | 164번째 줄: | ||
===첫째 계명 완수=== | ===첫째 계명 완수=== | ||
[[십계명]] 중 [[첫째 계명]]인 | [[십계명]] 중 [[첫째 계명]]인 '나 외에 다른 신을 네게 있게 말라'는 말씀에는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는 명령과 하나님만 섬기라는 명령이 포함되어 있다. 다른 신을 멸하고 오직 하나님만을 섬길 수 있는 특별한 진리가 유월절이다. 출애굽 당시부터 유월절은 다른 신을 벌하는 날로 제정되었기 때문이다.<ref name=”애굽 유월절” /> 유월절에 다른 모든 신들을 심판하면 하나님만 남기 때문에, 유월절을 깨닫고 지키게 되면 다른 신을 섬기지 않고 오직 하나님만 섬길 수 있다. 모세 시대 유월절 밤에 애굽의 신들을 멸했던 역사와 히스기야와 요시야 시대 유월절을 지킨 후 우상을 없애고 하나님만 섬길 수 있었던 역사가 그 예다. 신약시대에도 새 언약 유월절을 지키면 첫째 계명을 온전하게 지킬 수 있다. | ||
==같이 보기== | ==같이 보기== | ||
| 179번째 줄: | 179번째 줄: | ||
==관련 영상== | ==관련 영상== | ||
* | *'''지키라 분부하신 유월절 성만찬(영상 설교)''' | ||
<youtube>t1PysDiLkP8</youtube> | <youtube>t1PysDiLkP8</youtube> | ||
*믿음의 목적과 유월절 | |||
<youtube>sd3n6s1D5-Q | |||
*'''믿음의 목적과 유월절''' | |||
<youtube>sd3n6s1D5-Q</youtube> | |||
==각주== | ==각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