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활절: 두 판 사이의 차이

Sally (토론 | 기여)
Sally (토론 | 기여)
31번째 줄: 31번째 줄:


=== 성경적 의식: 부활절 떡 ===
=== 성경적 의식: 부활절 떡 ===
성경은 부활하신 예수님이 엠마오로 가던 두 제자에게 나타나신 사건을 기록하고 있다. 두 제자는 예수님과 동행하며 대화를 나누었지만, 상대가 예수님인지 알아보지 못했다. 그들의 눈이 가려져 있었기 때문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4장 |제목=누가복음 24:13-16 |저널= |인용문=예수께서 가까이 이르러 저희와 동행하시나 저희의 눈이 가리워져서 그인 줄 알아보지 못하거늘 }}</ref> 이에 예수님은 두 제자에게 축사하신 떡을 먹이셨고, 제자들은 그제야 눈이 밝아져 자신들과 대화한 상대가 십자가에서 돌아가신 예수님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4장 |제목=누가복음 24:30-34 |저널= |인용문=저희와 함께 음식 잡수실 때에 떡을 가지사 축사하시고 떼어 저희에게 주시매 저희 눈이 밝아져 그인 줄 알아보더니 }}</ref> 이후 초대교회 성도들은 예수님의 본에 따라 무교절 후 첫 안식일 이튿날에 '''떡을 떼며''' 부활절을 기념했다.
[[성경]]은 부활하신 예수님이 엠마오로 가던 두 제자에게 나타나신 사건을 기록하고 있다. 두 제자는 예수님과 동행하며 대화를 나누었지만, 상대가 예수님인지 알아보지 못했다. 그들의 눈이 가려져 있었기 때문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4장 |제목=누가복음 24:13-16 |저널= |인용문=예수께서 가까이 이르러 저희와 동행하시나 저희의 눈이 가리워져서 그인 줄 알아보지 못하거늘 }}</ref> 이에 예수님은 두 제자에게 축사하신 떡을 먹이셨고, 제자들은 그제야 눈이 밝아져 자신들과 대화한 상대가 십자가에서 돌아가신 예수님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4장 |제목=누가복음 24:30-34 |저널= |인용문=저희와 함께 음식 잡수실 때에 떡을 가지사 축사하시고 떼어 저희에게 주시매 저희 눈이 밝아져 그인 줄 알아보더니 }}</ref> 이후 초대교회 성도들은 예수님의 본에 따라 무교절 후 첫 안식일 이튿날에 '''떡을 떼며''' 부활절을 기념했다.
{{인용문5 |내용=무교절 후에 ... 안식 후 첫날에 우리가 떡을 떼려 하여 모였더니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20장 사도행전 20:6-7]}}
{{인용문5 |내용=무교절 후에 ... 안식 후 첫날에 우리가 떡을 떼려 하여 모였더니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20장 사도행전 20:6-7]}}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는 성경대로 유월절과 무교절을 기준으로 부활절을 지키며, 예수님을 본받아 부활절 떡을 떼는 예식을 행한다.<ref>[https://news.joins.com/article/21484290 부활절 날짜는 이 교회 저 교회 다르다... 왜]《중앙일보》 2017. 4. 17.</ref><ref>[https://woman.chosun.com/mobile/news/view.asp?cate=C01&mcate=M1004&nNewsNumb=20210476022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코로나19 극복에는 실천하는 사랑이 필요합니다"] 《여성조선》 2021. 4. 27.</ref><ref>[https://www.sedaily.com/NewsVIew/1Z1GJKHSJ6 하나님의교회, 부활절 맞아 전 세계 신자들과 온라인 예배]《서울경제》 2020. 4. 13.</ref>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는 성경대로 유월절과 무교절을 기준으로 부활절을 지키며, 예수님을 본받아 부활절 떡을 떼는 예식을 행한다.<ref>[https://news.joins.com/article/21484290 부활절 날짜는 이 교회 저 교회 다르다... 왜]《중앙일보》 2017. 4. 17.</ref><ref>[https://woman.chosun.com/mobile/news/view.asp?cate=C01&mcate=M1004&nNewsNumb=20210476022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코로나19 극복에는 실천하는 사랑이 필요합니다"] 《여성조선》 2021. 4. 27.</ref><ref>[https://www.sedaily.com/NewsVIew/1Z1GJKHSJ6 하나님의교회, 부활절 맞아 전 세계 신자들과 온라인 예배]《서울경제》 2020. 4. 13.</ref>
=== 이교적 관습: 부활절 달걀과 토끼 ===
=== 이교적 관습: 부활절 달걀과 토끼 ===
오늘날 많은 교회는 삶은 달걀을 먹으며 부활절을 기념하고, 토끼와 달걀을 부활절의 상징으로 여긴다. 토끼와 달걀이 부활절의 상징이 된 이유는 봄과 새벽을 관장하는 튜턴족의 여신 이스터(에오스트레) 숭배 관습이 기독교로 유입되었기 때문으로 추정한다.<ref>[http://www.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412406 잘못된 부활절 토끼와 계란 풍습]《경북매일》2017. 4. 17.</ref> 봄이 새로운 생명의 계절인 까닭에 이스터는 '다산의 여신'으로도 여겨졌는데, 토끼와 달걀은 모두 다산의 상징으로 사용됐다.<ref>{{웹 인용|url=https://www.crosswalk.com/special-coverage/easter/who-is-eostre-and-what-does-she-have-to-do-with-easter.html |제목=Who Is Eostre and What Does She Have to Do With Easter? |웹사이트=crosswalk.com }}</ref> 오늘날 영어와 독일어에서 부활절을 나타내는 명칭이 여신의 이름에서 유래된 '이스터(Easter)' 또는 '오스테른(Ostern)'인 것도 부활절이 이방 종교의 영향으로 변질되었다는 사실을 방증한다. 이스터 여신과 달걀에 관한 기원은 훨씬 더 오래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바빌로니아인들은 하늘에서 커다란 알이 유프라테스강으로 떨어졌고, 그 알에서 여신 이슈타르(Ishtar)가 부화했다고 믿었다.<ref>{{웹 인용 |url=https://archangel16.livejournal.com/159251.html
오늘날 많은 교회는 삶은 달걀을 먹으며 부활절을 기념하고, 토끼와 달걀을 부활절의 상징으로 여긴다. 토끼와 달걀이 부활절의 상징이 된 이유는 봄과 새벽을 관장하는 튜턴족의 여신 이스터(에오스트레) 숭배 관습이 기독교로 유입되었기 때문으로 추정한다.<ref>[http://www.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412406 잘못된 부활절 토끼와 계란 풍습]《경북매일》2017. 4. 17.</ref> 봄이 새로운 생명의 계절인 까닭에 이스터는 '다산의 여신'으로도 여겨졌는데, 토끼와 달걀은 모두 다산의 상징으로 사용됐다.<ref>{{웹 인용|url=https://www.crosswalk.com/special-coverage/easter/who-is-eostre-and-what-does-she-have-to-do-with-easter.html |제목=Who Is Eostre and What Does She Have to Do With Easter? |웹사이트=crosswalk.com }}</ref> 오늘날 영어와 독일어에서 부활절을 나타내는 명칭이 여신의 이름에서 유래된 '이스터(Easter)' 또는 '오스테른(Ostern)'인 것도 부활절이 이방 종교의 영향으로 변질되었다는 사실을 방증한다. 이스터 여신과 달걀에 관한 기원은 훨씬 더 오래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바빌로니아인들은 하늘에서 커다란 알이 유프라테스강으로 떨어졌고, 그 알에서 여신 이슈타르(Ishtar)가 부화했다고 믿었다.<ref>{{웹 인용 |url=https://archangel16.livejournal.com/15925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