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계명: 두 판 사이의 차이

Behappy7942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Behappy7942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File:Jerusalem-Menora-36-Gesetzestafeln-2010-gje.jpg|Jerusalem-Menora-36-Gesetzestafeln-2010-gje|섬네일|200px|히브리어로 기록된 십계명(이스라엘 입법부에 있는 청동 촛대 조각상<sup>Knesset Menorah</sup>의 일부) ]]
[[File:Jerusalem-Menora-36-Gesetzestafeln-2010-gje.jpg|Jerusalem-Menora-36-Gesetzestafeln-2010-gje|섬네일|230px|히브리어로 기록된 십계명(이스라엘 입법부에 있는 청동 촛대 조각상<sup>Knesset Menorah</sup>의 일부) ]]
십계명 중 '''첫째 계명'''은 “'''나 외에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다. [[하나님]]이 [[시내산]]에서 [[십계명]]을 반포할 때 으뜸으로 삼으신 계명이다. 신약시대 [[예수 그리스도]]는 가장 크고 첫째 되는 계명이 “'''마음과 목숨과 뜻을 다해 하나님을 사랑하라'''”라고 하셨다. 이를 ‘가장 큰 계명’, ‘대계명’이라고도 한다. 신구약의 첫째 계명이 상충하는 내용은 아니다. 하나님을 마음 다해 사랑하면 다른 신을 섬기지 않고 하나님만 섬기게 되기 때문이다. <br>
십계명 중 '''첫째 계명'''은 “'''나 외에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다. [[하나님]]이 [[시내산]]에서 [[십계명]]을 반포할 때 으뜸으로 삼으신 계명이다. 신약시대 [[예수 그리스도]]는 가장 크고 첫째 되는 계명이 “'''마음과 목숨과 뜻을 다해 하나님을 사랑하라'''”라고 하셨다. 이를 ‘가장 큰 계명’, ‘대계명’이라고도 한다. 신구약의 첫째 계명이 상충하는 내용은 아니다. 하나님을 마음 다해 사랑하면 다른 신을 섬기지 않고 하나님만 섬기게 되기 때문이다. <br>
하나님의 첫째 계명에 대해 확실하게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첫째 계명을 이룰 수 있는 원리를 아는 사람은 더더욱 적다. 구약성경에는 하나님을 믿고 사랑한다고 자부했던 [[이스라엘]] 백성이 다른 신과 우상을 섬긴 역사가 수없이 기록되었다. 인간의 생각과 방법으로는 첫째 계명을 이루지 못한다. 다른 신을 섬기지 않고 오직 하나님만 섬기고 사랑할 수 있는 방법은 [[하나님의 계명]], [[유월절]]을 지키는 것이다.
하나님의 첫째 계명에 대해 확실하게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첫째 계명을 이룰 수 있는 원리를 아는 사람은 더더욱 적다. 구약성경에는 하나님을 믿고 사랑한다고 자부했던 [[이스라엘]] 백성이 다른 신과 우상을 섬긴 역사가 수없이 기록되었다. 인간의 생각과 방법으로는 첫째 계명을 이루지 못한다. 다른 신을 섬기지 않고 오직 하나님만 섬기고 사랑할 수 있는 방법은 [[하나님의 계명]], [[유월절]]을 지키는 것이다.
5번째 줄: 5번째 줄:
==첫째 계명의 내용==
==첫째 계명의 내용==
===나 외에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
===나 외에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
[[File:Guido Reni - Moses with the Tables of the Law - WGA19289.jpg|섬네일|십계명 중 첫째 계명은 '나 외에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다.<br>귀도 레니(Guido Reni), 〈십계명 판을 든 모세〉, 1624]]
[[File:Guido Reni - Moses with the Tables of the Law - WGA19289.jpg|섬네일|230px|십계명 중 첫째 계명은 '나 외에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다.<br>귀도 레니(Guido Reni), 〈십계명 판을 든 모세〉, 1624]]
하나님은 십계명 중 첫째 계명으로 ‘나 외에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는 계명을 주셨다.
하나님은 십계명 중 첫째 계명으로 ‘나 외에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는 계명을 주셨다.
{{인용문5 |내용= '''너는 나 외에는 다른 신들을 네게 있게 말지니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0장 출애굽기 20:3] }}
{{인용문5 |내용= '''너는 나 외에는 다른 신들을 네게 있게 말지니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0장 출애굽기 20:3] }}
14번째 줄: 14번째 줄:


===마음 다해 하나님을 사랑하라===
===마음 다해 하나님을 사랑하라===
[[File:The great commandment 1585 print by Ambrosius Francken I, S.II 136378, Prints Department, Royal Library of Belgium.jpg|섬네일|가장 크고 첫째 되는 계명을 말씀하신 예수님.<br>암브로시우스 프랑켄(Ambrosius Francken I), 1585]]
[[File:The great commandment 1585 print by Ambrosius Francken I, S.II 136378, Prints Department, Royal Library of Belgium.jpg|섬네일|230px|가장 크고 첫째 되는 계명을 말씀하신 예수님.<br>암브로시우스 프랑켄(Ambrosius Francken I), 1585]]
한 율법사가 예수님께 율법 중 가장 큰 계명이 무엇인지 물었을 때 예수님이 말씀하신 첫째 계명은 ‘마음과 목숨과 뜻을 다해 하나님을 사랑하라’는 것이다.
한 율법사가 예수님께 율법 중 가장 큰 계명이 무엇인지 물었을 때 예수님이 말씀하신 첫째 계명은 ‘마음과 목숨과 뜻을 다해 하나님을 사랑하라’는 것이다.
{{인용문5 |내용=그중에 한 율법사가 예수를 시험하여 묻되 선생님이여 율법 중에 어느 계명이 크니이까 예수께서 가라사대 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 하셨으니 이것이 '''크고 첫째 되는 계명'''이요|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2장 마태복음 22:35–38] }}
{{인용문5 |내용=그중에 한 율법사가 예수를 시험하여 묻되 선생님이여 율법 중에 어느 계명이 크니이까 예수께서 가라사대 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 하셨으니 이것이 '''크고 첫째 되는 계명'''이요|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2장 마태복음 22:35–38] }}
24번째 줄: 24번째 줄:


====출애굽 역사====
====출애굽 역사====
[[File:Figures The Israelites Eat the Passover.jpg|Figures_The_Israelites_Eat_the_Passover|섬네일|200px|출애굽 때 지킨 최초의 유월절]]
[[File:Figures The Israelites Eat the Passover.jpg|Figures_The_Israelites_Eat_the_Passover|섬네일|230px|출애굽 때 지킨 최초의 유월절]]
유월절은 이스라엘의 [[출애굽]] 때 최초 제정된 진리다.
유월절은 이스라엘의 [[출애굽]] 때 최초 제정된 진리다.
{{인용문5 |내용= 이것이 여호와의 '''유월절'''이니라 내가 그 밤에 애굽 땅에 두루 다니며 사람과 짐승을 무론하고 애굽 나라 가운데 처음 난 것을 다 치고 '''애굽의 모든 신에게 벌을 내리리라''' 나는 여호와로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 출애굽기 12:11–12] }}
{{인용문5 |내용= 이것이 여호와의 '''유월절'''이니라 내가 그 밤에 애굽 땅에 두루 다니며 사람과 짐승을 무론하고 애굽 나라 가운데 처음 난 것을 다 치고 '''애굽의 모든 신에게 벌을 내리리라''' 나는 여호와로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 출애굽기 12:11–12] }}
30번째 줄: 30번째 줄:


====히스기야 시대====
====히스기야 시대====
[[File:Hezekiah.jpg|Hezekiah|섬네일|유월절을 지킨 후 각종 우상을 파괴한 히스기야와 유대 백성]]
[[File:Hezekiah.jpg|Hezekiah|섬네일|230px|유월절을 지킨 후 각종 우상을 파괴한 히스기야와 유대 백성]]
남 유다 왕국의 제13대 왕 [[히스기야]] 당시 유다 나라는 오랫동안 유월절을 지키지 못했다. 히스기야는 즉위 후 성전을 수리하고<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하#29장|제목=역대하 29:2–3|인용문= 히스기야가 그 조상 다윗의 모든 행위와 같이 여호와 보시기에 정직히 행하여 원년 정월에 여호와의 전 문들을 열고 수리하고 }}</ref> 백성들과 함께 유월절을 지켰다.
남 유다 왕국의 제13대 왕 [[히스기야]] 당시 유다 나라는 오랫동안 유월절을 지키지 못했다. 히스기야는 즉위 후 성전을 수리하고<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하#29장|제목=역대하 29:2–3|인용문= 히스기야가 그 조상 다윗의 모든 행위와 같이 여호와 보시기에 정직히 행하여 원년 정월에 여호와의 전 문들을 열고 수리하고 }}</ref> 백성들과 함께 유월절을 지켰다.
{{인용문5 |내용=히스기야가 온 이스라엘과 유다에 보내고 또 에브라임과 므낫세에 편지를 보내어 예루살렘 여호와의 전에 와서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를 위하여 유월절을 지키라 하니라 ... 드디어 명을 발하여 브엘세바에서부터 단까지 온 이스라엘에 반포하여 일제히 예루살렘으로 와서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의 '''유월절을 지키라''' 하니 이는 기록한 규례대로 오래동안 지키지 못하였음이더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하#30장 역대하 30:1, 5] }}
{{인용문5 |내용=히스기야가 온 이스라엘과 유다에 보내고 또 에브라임과 므낫세에 편지를 보내어 예루살렘 여호와의 전에 와서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를 위하여 유월절을 지키라 하니라 ... 드디어 명을 발하여 브엘세바에서부터 단까지 온 이스라엘에 반포하여 일제히 예루살렘으로 와서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의 '''유월절을 지키라''' 하니 이는 기록한 규례대로 오래동안 지키지 못하였음이더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하#30장 역대하 30:1, 5] }}
38번째 줄: 38번째 줄:


====요시야 시대====
====요시야 시대====
[[File:The Removal and Destruction of The Chariot and The Horses of The Sun 1569 print by Maarten van Heemskerck, NHD 44 -S.II 111910, Prints Department, Royal Library of Belgium.jpg|thumb|유월절을 깨닫고 우상을 전멸한 요시야와 백성들]]
[[File:The Removal and Destruction of The Chariot and The Horses of The Sun 1569 print by Maarten van Heemskerck, NHD 44 -S.II 111910, Prints Department, Royal Library of Belgium.jpg|thumb|230px|유월절을 깨닫고 우상을 전멸한 요시야와 백성들]]
남 유다의 제16대 왕 [[요시야]] 18년에 왕과 백성들은 율법책에 기록된 하나님의 한 언약을 깨달은 후 성전에 있던 우상들을 없앴다. 이 언약은 유월절이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3장|제목=열왕기하 23:21–24|인용문= 이는 여호와의 유월절 제사라 여호와께서 애굽 사람을 치실 때에 애굽에 있는 이스라엘 자손의 집을 넘으사 우리의 집을 구원하셨느니라 하라 하매 백성이 머리 숙여 경배하니라 ... 이 밤은 그들을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심을 인하여 여호와 앞에 지킬 것이니 이는 여호와의 밤이라 이스라엘 자손이 다 대대로 지킬 것이니라}}</ref>
남 유다의 제16대 왕 [[요시야]] 18년에 왕과 백성들은 율법책에 기록된 하나님의 한 언약을 깨달은 후 성전에 있던 우상들을 없앴다. 이 언약은 유월절이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3장|제목=열왕기하 23:21–24|인용문= 이는 여호와의 유월절 제사라 여호와께서 애굽 사람을 치실 때에 애굽에 있는 이스라엘 자손의 집을 넘으사 우리의 집을 구원하셨느니라 하라 하매 백성이 머리 숙여 경배하니라 ... 이 밤은 그들을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심을 인하여 여호와 앞에 지킬 것이니 이는 여호와의 밤이라 이스라엘 자손이 다 대대로 지킬 것이니라}}</ref>
{{인용문5 |내용= 왕[요시야]이 대 위에 서서 여호와 앞에서 언약을 세우되 '''마음을 다하고 성품을 다하여 여호와를 순종하고 그 계명과 법도와 율례를 지켜 이 책에 기록된 이 언약[유월절]의 말씀을 이루게 하리라''' 하매 백성이 다 그 언약을 좇기로 하니라 왕이 대제사장 힐기야와 모든 버금 제사장들과 문을 지킨 자들에게 명하여 '''바알과 아세라와 하늘의 일월 성신을 위하여 만든 모든 기명을 여호와의 전에서 내어다가 예루살렘 바깥 기드론 밭에서 불사르고''' 그 재를 벧엘로 가져가게 하고|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3장 열왕기하 23:3–4] }}
{{인용문5 |내용= 왕[요시야]이 대 위에 서서 여호와 앞에서 언약을 세우되 '''마음을 다하고 성품을 다하여 여호와를 순종하고 그 계명과 법도와 율례를 지켜 이 책에 기록된 이 언약[유월절]의 말씀을 이루게 하리라''' 하매 백성이 다 그 언약을 좇기로 하니라 왕이 대제사장 힐기야와 모든 버금 제사장들과 문을 지킨 자들에게 명하여 '''바알과 아세라와 하늘의 일월 성신을 위하여 만든 모든 기명을 여호와의 전에서 내어다가 예루살렘 바깥 기드론 밭에서 불사르고''' 그 재를 벧엘로 가져가게 하고|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3장 열왕기하 23:3–4] }}
47번째 줄: 47번째 줄:


====역사의 반복====
====역사의 반복====
[[File:Claes Moeyaert - Sacrifice of Jeroboam - Google Art Project.jpg|thumb|Claes Moeyaert - Sacrifice of Jeroboam - Google Art Project|섬네일|자기가 만든 우상에게 희생 제물을 드리는 여로보암.<br>클라스 코르넬리스존 무야르트(Claes Corneliszoon Moeyaert), 1641]]
[[File:Claes Moeyaert - Sacrifice of Jeroboam - Google Art Project.jpg|thumb|Claes Moeyaert - Sacrifice of Jeroboam - Google Art Project|섬네일|230px|자기가 만든 우상에게 희생 제물을 드리는 여로보암.<br>클라스 코르넬리스존 무야르트(Claes Corneliszoon Moeyaert), 1641]]
유월절을 통해 다른 신들을 심판하신다는 하나님의 약속은 출애굽 당시의 약속으로 끝나지 않았다. 어느 시대든지 유월절을 깨닫고 지키면 하나님 외에 다른 모든 신들이 멸망했다. 그리고 유월절을 버리면 하나님을 믿는다고 하면서도 다른 신을 섬기게 되었다. 이러한 역사는 계속 반복된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전도서#3장|제목=전도서 3:15|인용문=이제 있는 것이 옛적에 있었고 장래에 있을 것도 옛적에 있었나니 하나님은 이미 지난 것을 다시 찾으시느니라}}</ref><br>
유월절을 통해 다른 신들을 심판하신다는 하나님의 약속은 출애굽 당시의 약속으로 끝나지 않았다. 어느 시대든지 유월절을 깨닫고 지키면 하나님 외에 다른 모든 신들이 멸망했다. 그리고 유월절을 버리면 하나님을 믿는다고 하면서도 다른 신을 섬기게 되었다. 이러한 역사는 계속 반복된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전도서#3장|제목=전도서 3:15|인용문=이제 있는 것이 옛적에 있었고 장래에 있을 것도 옛적에 있었나니 하나님은 이미 지난 것을 다시 찾으시느니라}}</ref><br>
히스기야와 요시야 시대에 유월절을 지키기 전까지 백성들이 우상들을 그대로 두고 섬겼던 것처럼, 오늘날 하나님을 믿는다고 해도 유월절을 지키지 않으면 자신도 모르게 다른 신들을 섬기게 된다. 그래서 유월절을 지키지 않는 교회에서는 태양신교의 성일인 [[주일예배 (일요일 예배)|일요일 예배]]를 지키고 태양신의 탄생일인 [[크리스마스]]를 지키고 있다.<ref>{{웹 인용 |url=https://www.joongang.co.kr/article/23737262 |제목=[영상]교회 예배강행 이유 '안식일' 정작 일요일이 아니었다 |웹사이트=중앙일보 |저널= |출판사= |날짜=2020. 3. 24. |인용문= }}</ref><ref>{{웹 인용 |url=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3/12/12/2013121201469.html|제목= [크리스마스의 비밀] 예수와 산타클로스는 무슨 관계일까?|웹사이트=조선일보 |저널= |출판사= |날짜=2013. 12. 12. |인용문= }}</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겔#8장|제목=에스겔 8:16|인용문= 그가 또 나를 데리고 여호와의 전 안뜰에 들어가시기로 보니 여호와의 전 문 앞 현관과 제단 사이에서 약 25인이 여호와의 전을 등지고 낯을 동으로 향하여 동방 태양에 경배하더라}}</ref> 하지만 [[그리스도]]의 본을 따라 유월절을 지키는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하나님의 교회]]는 일요일 예배, 크리스마스, [[십자가]] 숭배, [[부활절#부활절의 의식|부활절 달걀]]과 같은 이교의 풍습을 모두 지키지 않는다.<br>
히스기야와 요시야 시대에 유월절을 지키기 전까지 백성들이 우상들을 그대로 두고 섬겼던 것처럼, 오늘날 하나님을 믿는다고 해도 유월절을 지키지 않으면 자신도 모르게 다른 신들을 섬기게 된다. 그래서 유월절을 지키지 않는 교회에서는 태양신교의 성일인 [[주일예배 (일요일 예배)|일요일 예배]]를 지키고 태양신의 탄생일인 [[크리스마스]]를 지키고 있다.<ref>{{웹 인용 |url=https://www.joongang.co.kr/article/23737262 |제목=[영상]교회 예배강행 이유 '안식일' 정작 일요일이 아니었다 |웹사이트=중앙일보 |저널= |출판사= |날짜=2020. 3. 24. |인용문= }}</ref><ref>{{웹 인용 |url=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3/12/12/2013121201469.html|제목= [크리스마스의 비밀] 예수와 산타클로스는 무슨 관계일까?|웹사이트=조선일보 |저널= |출판사= |날짜=2013. 12. 12. |인용문= }}</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겔#8장|제목=에스겔 8:16|인용문= 그가 또 나를 데리고 여호와의 전 안뜰에 들어가시기로 보니 여호와의 전 문 앞 현관과 제단 사이에서 약 25인이 여호와의 전을 등지고 낯을 동으로 향하여 동방 태양에 경배하더라}}</ref> 하지만 [[그리스도]]의 본을 따라 유월절을 지키는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하나님의 교회]]는 일요일 예배, 크리스마스, [[십자가]] 숭배, [[부활절#부활절의 의식|부활절 달걀]]과 같은 이교의 풍습을 모두 지키지 않는다.<br>
54번째 줄: 54번째 줄:
===마음 다해 하나님을 사랑하게 하는 유월절===
===마음 다해 하나님을 사랑하게 하는 유월절===
====손의 기호와 미간의 표====
====손의 기호와 미간의 표====
[[File:Biddende joodse man, RP-P-2015-26-2086.jpg|thumb|Biddende joodse man, RP-P-2015-26-2086|섬네일|200px|유대인들은 ‘테필린(תְּפִלִּין, 양피지에 쓴 성구 두루마리를 넣은 검정 가죽 상자)’을 이마와 손목에 착용한다.]]
[[File:Biddende joodse man, RP-P-2015-26-2086.jpg|thumb|230px|Biddende joodse man, RP-P-2015-26-2086|섬네일|200px|유대인들은 ‘테필린(תְּפִלִּין, 양피지에 쓴 성구 두루마리를 넣은 검정 가죽 상자)’을 이마와 손목에 착용한다.]]
[[모세]]는 ‘마음과 성품과 힘을 다하여 하나님을 사랑하라’는 첫째 계명의 말씀을 손의 기호와 미간의 표를 삼으라고 했다.
[[모세]]는 ‘마음과 성품과 힘을 다하여 하나님을 사랑하라’는 첫째 계명의 말씀을 손의 기호와 미간의 표를 삼으라고 했다.
{{인용문5 |내용=이스라엘아 들으라 우리 하나님 여호와는 오직 하나인 여호와시니 '''너는 마음을 다하고 성품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라''' 오늘날 내가 네게 명하는 이 말씀을 너는 마음에 새기고 네 자녀에게 부지런히 가르치며 집에 앉았을 때에든지 길에 행할 때에든지 누웠을 때에든지 일어날 때에든지 이 말씀을 강론할 것이며 너는 또 그것을 네 '''손목에 매어 기호'''를 삼으며 네 '''미간에 붙여 표'''를 삼고|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6장 신명기 6:4–8] }}
{{인용문5 |내용=이스라엘아 들으라 우리 하나님 여호와는 오직 하나인 여호와시니 '''너는 마음을 다하고 성품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라''' 오늘날 내가 네게 명하는 이 말씀을 너는 마음에 새기고 네 자녀에게 부지런히 가르치며 집에 앉았을 때에든지 길에 행할 때에든지 누웠을 때에든지 일어날 때에든지 이 말씀을 강론할 것이며 너는 또 그것을 네 '''손목에 매어 기호'''를 삼으며 네 '''미간에 붙여 표'''를 삼고|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6장 신명기 6:4–8] }}
69번째 줄: 69번째 줄:


====새 언약 유월절====
====새 언약 유월절====
[[파일:유월절 최후의 만찬(캡쳐본).png|섬네일|십자가 수난 전 예수님이 지키신 새 언약 유월절]]
[[파일:유월절 최후의 만찬(캡쳐본).png|섬네일|250px|십자가 수난 전 예수님이 지키신 새 언약 유월절]]
첫째 계명과 유월절의 동일성이 구약시대에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2000년 전 예수님은 [[새 언약]]의 유월절을 세우셨다. 예수님은 [[육체로 오신 하나님 (성육신)|성육신]]한 하나님으로서 인류 구원을 위해 십자가에서 피 흘리는 고통을 겪으셨다. 수난 전에 제자들과 마지막으로 행하신 것이 ‘[[최후의 만찬]]’으로 유명한 새 언약 유월절이다. 예수님은 유월절의 떡을 십자가에서 찢길 당신의 살로, 유월절의 포도주는 십자가에서 흘릴 당신의 피로 약속하셨다.
첫째 계명과 유월절의 동일성이 구약시대에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2000년 전 예수님은 [[새 언약]]의 유월절을 세우셨다. 예수님은 [[육체로 오신 하나님 (성육신)|성육신]]한 하나님으로서 인류 구원을 위해 십자가에서 피 흘리는 고통을 겪으셨다. 수난 전에 제자들과 마지막으로 행하신 것이 ‘[[최후의 만찬]]’으로 유명한 새 언약 유월절이다. 예수님은 유월절의 떡을 십자가에서 찢길 당신의 살로, 유월절의 포도주는 십자가에서 흘릴 당신의 피로 약속하셨다.
{{인용문5 |내용=이르시되 내가 고난을 받기 전에 너희와 함께 이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 ... 또 '''떡'''을 가져 사례하시고 떼어 저희에게 주시며 가라사대 이것은 너희를 위하여 주는 '''내 몸'''이라 너희가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저녁 먹은 후에 '''잔[포도주]'''도 이와 같이 하여 가라사대 이 잔은 '''내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니 곧 너희를 위하여 붓는 것이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 누가복음 22:15, 19–20] }}
{{인용문5 |내용=이르시되 내가 고난을 받기 전에 너희와 함께 이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 ... 또 '''떡'''을 가져 사례하시고 떼어 저희에게 주시며 가라사대 이것은 너희를 위하여 주는 '''내 몸'''이라 너희가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저녁 먹은 후에 '''잔[포도주]'''도 이와 같이 하여 가라사대 이 잔은 '''내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니 곧 너희를 위하여 붓는 것이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 누가복음 22:15, 1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