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음과 새 언약: 두 판 사이의 차이
|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안식일''' | *'''안식일''' | ||
:예수님은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드리는 안식일 규례를 본보이시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4장 |제목=누가복음 4:16 |저널= |인용문=예수께서 그 자라나신 곳 나사렛에 이르사 안식일에 자기 규례대로 회당에 들어가사 성경을 읽으려고 서시매 }}</ref> 세상 끝 날까지 안식일을 꼭 기억해서 지켜야 한다고 가르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4장 |제목=마태복음 24:20-22 |저널= |인용문=너희의 도망하는 일이 겨울에나 안식일에 되지 않도록 기도하라 이는 그 때에 큰 환난이 있겠음이라 창세로부터 지금까지 이런 환난이 없었고 후에도 없으리라 }}</ref> 이에 초대교회 성도들은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운명하시고 난 이후에도 안식일을 지켰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3장 |제목=누가복음 23:54-56 |저널= |인용문=이 날은 예비일이요 안식일이 거의 되었더라 갈릴리에서 예수와 함께 온 여자들이 뒤를 좇아 그 무덤과 그의 시체를 어떻게 둔 것을 보고 돌아가 향품과 향유를 예비하더라 계명을 좇아 안식일에 쉬더라 }}</ref> 예수님이 [[예수님의 부활 |부활]], [[예수님의 승천 |승천]]하신 이후에도 마찬가지였다. | :예수님은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드리는 안식일 규례를 본보이시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4장 |제목=누가복음 4:16 |저널= |인용문=예수께서 그 자라나신 곳 나사렛에 이르사 안식일에 자기 규례대로 회당에 들어가사 성경을 읽으려고 서시매 }}</ref> 세상 끝 날까지 안식일을 꼭 기억해서 지켜야 한다고 가르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4장 |제목=마태복음 24:20-22 |저널= |인용문=너희의 도망하는 일이 겨울에나 안식일에 되지 않도록 기도하라 이는 그 때에 큰 환난이 있겠음이라 창세로부터 지금까지 이런 환난이 없었고 후에도 없으리라 }}</ref> 이에 초대교회 성도들은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운명하시고 난 이후에도 안식일을 지켰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3장 |제목=누가복음 23:54-56 |저널= |인용문=이 날은 예비일이요 안식일이 거의 되었더라 갈릴리에서 예수와 함께 온 여자들이 뒤를 좇아 그 무덤과 그의 시체를 어떻게 둔 것을 보고 돌아가 향품과 향유를 예비하더라 계명을 좇아 안식일에 쉬더라 }}</ref> 예수님이 [[예수님의 부활 |부활]], [[예수님의 승천 |승천]]하신 이후에도 마찬가지였다. | ||
{{인용문5 |내용=바울이 자기의 규례대로 저희에게로 들어가서 세 | {{인용문5 |내용=바울이 자기의 규례대로 저희에게로 들어가서 세 '''안식일'''에 성경을 가지고 강론하며 ... 내가 너희에게 전하는 이 예수가 곧 그리스도라 하니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17장 사도행전 17:1-3]}}{{인용문5 |내용='''안식일'''마다 바울이 회당에서 강론하고 유대인과 헬라인을 권면하니라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18장 사도행전 18:4]}} | ||
*'''유월절''' | *'''유월절''' | ||
: 죄 사함과 영생이 약속된 유월절은<ref name="요 6장"></ref><ref name="마 26장"></ref> 새 언약 복음의 핵심 진리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유월절을 준비하도록 친히 지시하셨을 뿐 아니라<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제목=마태복음 26:17-19 |저널= |인용문=무교절의 첫 날에 제자들이 예수께 나아와서 가로되 유월절 잡수실 것을 우리가 어디서 예비하기를 원하시나이까 가라사대 성 안 아무에게 가서 이르되 선생님 말씀이 내 때가 가까웠으니 내 제자들과 함께 유월절을 네 집에서 지키겠다 하시더라 하라 하신대 제자들이 예수의 시키신대로 하여 유월절을 예비하였더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 |제목=누가복음 22:7-13 |저널= |인용문=유월절 양을 잡을 무교절일이 이른지라 예수께서 베드로와 요한을 보내시며 가라사대 가서 우리를 위하여 유월절을 예비하여 우리로 먹게 하라 ... 저가 자리를 베푼 큰 다락방을 보이리니 거기서 예비하라 하신대 저희가 나가 그 하시던 말씀대로 만나 유월절을 예비하니라 }}</ref> "유월절 지키기를 원하고 원하였다",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며 중요성을 강조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 |제목=누가복음 22:15-20 |저널= |인용문=이르시되 내가 고난을 받기 전에 너희와 함께 이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 ... 이것은 너희를 위하여 주는 내 몸이라 너희가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ref> 복음의 일꾼이자 새 언약의 일꾼을 자처한 사도 바울은 유월절에 관한 가르침이 구원자이신 예수님께로부터 받은 것임을 강조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1장 |제목=고린도전서 11:23-25 |저널= |인용문=내가 너희에게 전한 것은 주께 받은 것이니 곧 주 예수께서 잡히시던 밤에 떡을 가지사 축사하시고 떼어 가라사대 이것은 너희를 위하는 내 몸이니 이것을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식후에 또한 이와 같이 잔을 가지시고 가라사대 이 잔은 내 피로 세운 새 언약이니 이것을 행하여 마실 때마다 나를 기념하라 하셨으니 }}</ref> 초대교회 성도들은 예수님의 본을 따라 매년 성력 정월 14일 저녁에 그리스도의 살과 피를 상징하는 떡과 포도주를 먹으며 새 언약 유월절을 지켰다. | : 죄 사함과 영생이 약속된 유월절은<ref name="요 6장"></ref><ref name="마 26장"></ref> 새 언약 복음의 핵심 진리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유월절을 준비하도록 친히 지시하셨을 뿐 아니라<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제목=마태복음 26:17-19 |저널= |인용문=무교절의 첫 날에 제자들이 예수께 나아와서 가로되 유월절 잡수실 것을 우리가 어디서 예비하기를 원하시나이까 가라사대 성 안 아무에게 가서 이르되 선생님 말씀이 내 때가 가까웠으니 내 제자들과 함께 유월절을 네 집에서 지키겠다 하시더라 하라 하신대 제자들이 예수의 시키신대로 하여 유월절을 예비하였더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 |제목=누가복음 22:7-13 |저널= |인용문=유월절 양을 잡을 무교절일이 이른지라 예수께서 베드로와 요한을 보내시며 가라사대 가서 우리를 위하여 유월절을 예비하여 우리로 먹게 하라 ... 저가 자리를 베푼 큰 다락방을 보이리니 거기서 예비하라 하신대 저희가 나가 그 하시던 말씀대로 만나 유월절을 예비하니라 }}</ref> "유월절 지키기를 원하고 원하였다",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며 중요성을 강조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 |제목=누가복음 22:15-20 |저널= |인용문=이르시되 내가 고난을 받기 전에 너희와 함께 이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 ... 이것은 너희를 위하여 주는 내 몸이라 너희가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ref> 복음의 일꾼이자 새 언약의 일꾼을 자처한 사도 바울은 유월절에 관한 가르침이 구원자이신 예수님께로부터 받은 것임을 강조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1장 |제목=고린도전서 11:23-25 |저널= |인용문=내가 너희에게 전한 것은 주께 받은 것이니 곧 주 예수께서 잡히시던 밤에 떡을 가지사 축사하시고 떼어 가라사대 이것은 너희를 위하는 내 몸이니 이것을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식후에 또한 이와 같이 잔을 가지시고 가라사대 이 잔은 내 피로 세운 새 언약이니 이것을 행하여 마실 때마다 나를 기념하라 하셨으니 }}</ref> 초대교회 성도들은 예수님의 본을 따라 매년 성력 정월 14일 저녁에 그리스도의 살과 피를 상징하는 떡과 포도주를 먹으며 새 언약 유월절을 지켰다. | ||
{{인용문5 |내용=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이 되셨느니라 이러므로 우리가 명절[유월절]을 지키되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5장 고린도전서 5:7-8]}} | {{인용문5 |내용=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이 되셨느니라 이러므로 우리가 '''명절[유월절]'''을 지키되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5장 고린도전서 5:7-8]}} | ||
*'''3차의 7개 절기''' | *'''3차의 7개 절기''' | ||
[[파일:Together-constantly-in-prayer.jpg |섬네일 | 250px |오순절을 지키는 초대교회 성도들]] | [[파일:Together-constantly-in-prayer.jpg |섬네일 | 250px |오순절을 지키는 초대교회 성도들]] | ||
: 하나님의 | : [[하나님의 절기]]에는 해마다 지키는 연간 절기로 유월절, [[무교절]], [[부활절]]([[초실절]]), [[오순절]]([[칠칠절]]), [[나팔절]], [[대속죄일]], [[초막절]]이 있다. 이 일곱 가지 절기가 3차로 나뉘어 조직되어 있다. 이를 통틀어 '3차의 7개 절기'라 부른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3장 |제목=레위기 23:1-44 |저널= |인용문=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일러 가라사대 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이르라 너희가 공포하여 성회를 삼을 여호와의 절기는 이러하니라 }}</ref> 예수님은 구약시대 절기 때마다 드려지던 모든 제물의 실체로 오셔서,<ref>{{인용 |url= |제목=하나님의 비밀과 생명수의 샘 |웹사이트= |저널= |출판사=멜기세덱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안상홍 |쪽= |시리즈= |isbn= |인용문=사실, 예수님은 절기의 모든 제물이 되셨다. 매일 드리는 상번제 제물도 되시고(출 29장 38-39절) 안식일에 드리는 안식일 제물의 양도 되시고(민 28장 9-10절) 유월절 양도 되시고(고전 5장 7-8절) 대속죄 제물도 되셨다. }}</ref> 짐승의 피로 속죄하던 [[옛 언약]]의 절기를 그리스도의 보혈로 죄 사함 받는 새 언약의 절기로 바꿔주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9장 |제목=히브리서 9:12 |저널= |인용문=염소와 송아지의 피로 아니하고 오직 자기 피로 영원한 속죄를 이루사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10장 |제목=히브리서 10:1-18 |저널= |인용문=율법은 장차 오는 좋은 일의 그림자요 참 형상이 아니므로 해마다 늘 드리는 바 같은 제사로는 나아오는 자들을 언제든지 온전케 할 수 없느니라 ... 그러나 이 제사들은 해마다 죄를 생각하게 하는 것이 있나니 이는 황소와 염소의 피가 능히 죄를 없이 하지 못함이라 ... 이 뜻을 좇아 예수 그리스도의 몸을 단번에 드리심으로 말미암아 우리가 거룩함을 얻었노라 제사장마다 매일 서서 섬기며 자주 같은 제사를 드리되 이 제사는 언제든지 죄를 없게 하지 못하거니와 오직 그리스도는 죄를 위하여 한 영원한 제사를 드리시고 ... 저가 한 제물로 거룩하게 된 자들을 영원히 온전케 하셨느니라 ... 이것을 사하셨은즉 다시 죄를 위하여 제사 드릴 것이 없느니라 }}</ref><br> | ||
:사도들은 이를 위해 십자가에서 피 흘리신 예수님의 희생을 기억하며, 예수님의 가르침과 본대로 절기를 지켰다. 무교절에는 금식함으로써 그리스도의 고난에 동참했으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2장 |제목=마가복음 2:19-20 |저널= |인용문=예수께서 저희에게 이르시되 혼인집 손님들이 신랑과 함께 있을 때에 금식할 수 있느냐 신랑과 함께 있을 동안에는 금식할 수 없나니 그러나 신랑을 빼앗길 날이 이르리니 그 날에는 금식할 것이니라 }}</ref> 부활절에는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512819&searchKeywordTo=3 영안(靈眼)]이 밝아지는 떡을 떼는 예식을 행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4장 |제목=누가복음 24:13-35 |저널= |인용문=저희와 함께 음식 잡수실 때에 떡을 가지사 축사하시고 떼어 저희에게 주시매 저희 눈이 밝아져 그인 줄 알아보더니 예수는 저희에게 보이지 아니하시는지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20장 |제목=사도행전 20:6-7 |저널= |인용문=우리는 무교절 후에 빌립보에서 배로 떠나 닷새 만에 드로아에 있는 그들에게 가서 이레를 머무니라 안식 후 첫날에 우리가 떡을 떼려 하여 모였더니 }}</ref> 오순절로 성령의 축복을 받아 복음의 놀라운 성장을 이루었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2장 |제목=사도행전 2:1-47 |저널= |인용문=오순절날이 이미 이르매 저희가 다같이 한 곳에 모였더니 홀연히 하늘로부터 급하고 강한 바람 같은 소리가 있어 저희 앉은 온 집에 가득하며 불의 혀 같이 갈라지는 것이 저희에게 보여 각 사람 위에 임하여 있더니 저희가 다 성령의 충만함을 받고 성령이 말하게 하심을 따라 다른 방언으로 말하기를 시작하니라 }}</ref> 이후 해마다 오순절을 지켰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6장 |제목=고린도전서 16:8 |저널= |인용문=내가 오순절까지 에베소에 유하려 함은 }}</ref> 예수님은 나팔절과 대속죄일을 포함한 초막절도 지켜 행하셨는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7장 |제목=요한복음 7:2, 37 |저널= |인용문=유대인의 명절인 초막절이 가까운지라 ... 명절 | :사도들은 이를 위해 십자가에서 피 흘리신 예수님의 희생을 기억하며, 예수님의 가르침과 본대로 절기를 지켰다. 무교절에는 금식함으로써 그리스도의 고난에 동참했으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2장 |제목=마가복음 2:19-20 |저널= |인용문=예수께서 저희에게 이르시되 혼인집 손님들이 신랑과 함께 있을 때에 금식할 수 있느냐 신랑과 함께 있을 동안에는 금식할 수 없나니 그러나 신랑을 빼앗길 날이 이르리니 그 날에는 금식할 것이니라 }}</ref> 부활절에는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512819&searchKeywordTo=3 영안(靈眼)]이 밝아지는 떡을 떼는 예식을 행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4장 |제목=누가복음 24:13-35 |저널= |인용문=저희와 함께 음식 잡수실 때에 떡을 가지사 축사하시고 떼어 저희에게 주시매 저희 눈이 밝아져 그인 줄 알아보더니 예수는 저희에게 보이지 아니하시는지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20장 |제목=사도행전 20:6-7 |저널= |인용문=우리는 무교절 후에 빌립보에서 배로 떠나 닷새 만에 드로아에 있는 그들에게 가서 이레를 머무니라 안식 후 첫날에 우리가 떡을 떼려 하여 모였더니 }}</ref> 오순절로 성령의 축복을 받아 복음의 놀라운 성장을 이루었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2장 |제목=사도행전 2:1-47 |저널= |인용문=오순절날이 이미 이르매 저희가 다같이 한 곳에 모였더니 홀연히 하늘로부터 급하고 강한 바람 같은 소리가 있어 저희 앉은 온 집에 가득하며 불의 혀 같이 갈라지는 것이 저희에게 보여 각 사람 위에 임하여 있더니 저희가 다 성령의 충만함을 받고 성령이 말하게 하심을 따라 다른 방언으로 말하기를 시작하니라 }}</ref> 이후 해마다 오순절을 지켰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6장 |제목=고린도전서 16:8 |저널= |인용문=내가 오순절까지 에베소에 유하려 함은 }}</ref> 예수님은 나팔절과 대속죄일을 포함한 초막절도 지켜 행하셨는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7장 |제목=요한복음 7:2, 37 |저널= |인용문=유대인의 명절인 초막절이 가까운지라 ... 명절 끝 날 곧 큰 날에 예수께서 서서 외쳐 가라사대 누구든지 목마르거든 내게로 와서 마시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16장 |제목=신명기 16:16 |저널= |인용문=너희 중 모든 남자는 일 년 삼차 곧 무교절과 칠칠절과 초막절에 네 하나님 여호와의 택하신 곳에서 여호와께 보이되 공수로 여호와께 보이지 말고 }}</ref> 이 역시 초대교회에서 지킨 새 언약 진리였다. | ||
<br> | <br> | ||
이처럼 오직 그리스도의 본을 좇아 새 언약 복음을 고수했던 초대교회의 신앙은, 오늘날 복음을 전하는 교회에는 반드시 유월절을 비롯한 새 언약의 진리가 있어야 함을 알려주는 산 교훈이다. | 이처럼 오직 그리스도의 본을 좇아 새 언약 복음을 고수했던 초대교회의 신앙은, 오늘날 복음을 전하는 교회에는 반드시 유월절을 비롯한 새 언약의 진리가 있어야 함을 알려주는 산 교훈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