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가: 두 판 사이의 차이
| 86번째 줄: | 86번째 줄: | ||
===역사=== | ===역사=== | ||
기독교가 십자가를 기독교의 상징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로마 제국의 콘스탄티누스 1세(재위 A.D. 306-337) 때다.<ref name="십자가">《Baker's 신학사전》, 도서출판 엠마오, 491쪽, ISBN 89-469-3227-9</ref> 이는 예수님 이후 콘스탄틴 시대까지 거의 300년 동안 교회가 십자가를 세운 적이 없다는 방증이다. | 기독교가 십자가를 기독교의 상징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로마 제국의 콘스탄티누스 1세(재위 A.D. 306-337) 때다.<ref name="십자가">《Baker's 신학사전》, 도서출판 엠마오, 491쪽, ISBN 89-469-3227-9</ref> 이는 예수님 이후 콘스탄틴 시대까지 거의 300년 동안 교회가 십자가를 세운 적이 없다는 방증이다. | ||
사료(史料)에 따르면, 초대교회 기독교인들에게 십자가는 말만 들어도 몸서리치는 것이었기 때문에 미화시킬 위험성은 전혀 없었다고 한다.<ref name= | 사료(史料)에 따르면, 초대교회 기독교인들에게 십자가는 말만 들어도 몸서리치는 것이었기 때문에 미화시킬 위험성은 전혀 없었다고 한다.<ref name="십자가" /> 초대교회가 로마제국으로부터 박해를 당하는 동안 기독교인들을 처형하는 형구 중 하나가 바로 십자가였기 때문이다. 사도 베드로도 십자가에 거꾸로 매달려 순교한 것으로 전해진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21장|제목=요한복음 21:18-19|인용문=내가 진실로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 늙어서는 네 팔을 벌리리니 … 이 말씀을 하심은 베드로가 어떠한 죽음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릴 것을 가리키심이러라}}</ref><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99448&cid=43082&categoryId=43082 베드로가 십자가에 거꾸로 못박히다], 피터 퍼타도, 《죽기 전에 꼭 알아야 할 세계 역사 1001 Days》, 마로니에북스</ref> 학자들에 따르면 십자가 형벌이 폐지된 것도 콘스탄틴 시대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 ||
{{인용문 |그밖에 콘스탄틴의 업적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br>(1) 고래의 풍속을 개혁하였다. 즉 십자가의 형벌을 폐지하고 |《교회사》, 세종문화사, 95쪽 }} | {{인용문 |그밖에 콘스탄틴의 업적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br>(1) 고래의 풍속을 개혁하였다. 즉 십자가의 형벌을 폐지하고 |《교회사》, 세종문화사, 95쪽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