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의 인: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파일:유월절 최후의 만찬(캡쳐본).png|섬네일|'최후의 만찬'으로 유명한 유월절 성만찬 장면]] | [[파일:유월절 최후의 만찬(캡쳐본).png|섬네일|'최후의 만찬'으로 유명한 유월절 성만찬 장면]] | ||
'''하나님의 인(印)'''은 [[신약성경]] [[요한계시록]] 7장 예언에 등장한다. [[사도 요한]]은 큰 재앙이 일어나기 전 하나님 백성들의 이마에 하나님의 인이 쳐질 것을 계시로 보고 기록했다.<ref>{{웹 인용 |url=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269339&searchKeywordTo=3 |제목= 인(印)|웹사이트=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저널= |인용문= 일정한 표적으로 삼기 위하여 개인, 단체, 관직 따위의 이름을 나무, 뼈, 뿔, 수정, 돌, 금 따위에 새겨 문서에 찍도록 만든 물건.=도장. }}</ref> 하나님의 인은 쉽게 말해 하나님의 도장이다.<br> | '''하나님의 인(印)'''은 [[신약성경]] [[요한계시록]] 7장 예언에 등장한다. [[사도 요한]]은 큰 재앙이 일어나기 전 하나님 백성들의 이마에 하나님의 인이 쳐질 것을 계시로 보고 기록했다.<ref>{{웹 인용 |url=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269339&searchKeywordTo=3 |제목= 인(印)|웹사이트=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저널= |인용문= 일정한 표적으로 삼기 위하여 개인, 단체, 관직 따위의 이름을 나무, 뼈, 뿔, 수정, 돌, 금 따위에 새겨 문서에 찍도록 만든 물건.=도장. }}</ref> 하나님의 인은 쉽게 말해 하나님의 도장이다.<br> | ||
[[하나님]]은 어느 시대든 옳다고 인정하신 사람에게 인을 치신다. 사도 직분의 인 치심이 있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9장 |제목=고린도전서 9:2 |인용문=나의 사도 됨을 주 안에서 인 친 것이 너희라}}</ref> 믿음의 의를 인 치기도 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4장 |제목=로마서 4:11 |인용문=저가 할례의 표를 받은 것은 무할례 시에 믿음으로 된 의를 인 친 것이니}}</ref> [[성령]] 받은 것 또한 인 치신 보증에 속한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후서#1장 |제목=고린도후서 1:22 |인용문= 저가 또한 우리에게 인 치시고 보증으로 성령을 우리 마음에 주셨느니라}}</ref> | [[하나님]]은 어느 시대든 옳다고 인정하신 사람에게 인을 치신다. 사도 직분의 인 치심이 있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9장 |제목=고린도전서 9:2 |인용문=나의 사도 됨을 주 안에서 인 친 것이 너희라}}</ref> 믿음의 의를 인 치기도 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4장 |제목=로마서 4:11 |인용문=저가 할례의 표를 받은 것은 무할례 시에 믿음으로 된 의를 인 친 것이니}}</ref> [[성령]] 받은 것 또한 인 치신 보증에 속한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후서#1장 |제목=고린도후서 1:22 |인용문= 저가 또한 우리에게 인 치시고 보증으로 성령을 우리 마음에 주셨느니라}}</ref> 요한계시록 7장에 나오는 하나님의 인은 [[성도]]들이 마지막 재앙에서 구원받을 수 있는 구속(救贖)의 표로서, [[새 언약 유월절]]을 뜻한다. | ||
==하나님의 인 치는 역사== | ==하나님의 인 치는 역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