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가: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File:Sankt Jakob-1093226.jpg|Sankt_Jakob-1093226|대체글=|섬네일|독일의 한 천주교회 제단에 있는 십자가]] | |||
'''십자가(十字架, cross)'''는 대다수 기독교회에서 교회의 상징으로 사용하고 있는 형상이다. 그러나 [[십자가 고난|그리스도의 수난]] 이후 처음 생겨난 신앙 상징물이 아니라 고대부터 이방 종교에서 숭배되어 욌다. 십자 모양의 틀은 고대 근동 지역에서 사형수를 못 박아 형을 집행하던 사형틀로도 사용되었다.<br> | '''십자가(十字架, cross)'''는 대다수 기독교회에서 교회의 상징으로 사용하고 있는 형상이다. 그러나 [[십자가 고난|그리스도의 수난]] 이후 처음 생겨난 신앙 상징물이 아니라 고대부터 이방 종교에서 숭배되어 욌다. 십자 모양의 틀은 고대 근동 지역에서 사형수를 못 박아 형을 집행하던 사형틀로도 사용되었다.<br> | ||
[[예수 그리스도]]는 인류의 죄를 대속하기 위해 기원후 30년경, [[무교절]]이자 [[안식일]] 전날이었던 성력 1월 15일에 예루살렘 성 밖 골고다 언덕에서 십자가에 못 박혀 운명했다.<ref>{{인용 |url= |제목=예수, 사랑의 율법 |웹사이트= |저널= |출판사=시공사 |날짜=2007.7.30. |연도= |저자=제라르 베시에르 |쪽=14 |시리즈= |isbn=978-89-7259-525-0 |인용문=30년 4월 7일. 예루살렘 성 밖, 성문 근처에서 세 개의 십자가에 세 사내가 못박혔다. ... 가운데에 못박힌 사내는 갈릴리 지방 나자렛 출신의 예수였다. }}</ref> 초대교회 기독교인들에게 십자가는 예수 그리스도뿐 아니라 수많은 교인들을 죽게 한 사형틀이기 때문에 이를 신앙의 상징으로 사용할 가능성은 전혀 없었다. 성경에도, 기독교 역사에도 초대교회가 십자가를 신앙의 상징으로 사용한 기록은 없다. 이방 종교의 상징이며 사형틀로 사용되었던 십자가는 교회가 세속화되고 진리가 변질되면서 4세기에 교회 안에 세워지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진다.<ref>{{인용 |url=https://www.britannica.com/topic/cross-religious-symbol |제목= Cross |인용문=Before the time of the emperor Constantine in the 4th century, Christians were extremely reticent about portraying the cross because too open a display of it might expose them to ridicule or danger. After Constantine converted to Christianity, he abolished crucifixion as a death penalty and promoted, as symbols of the Christian faith, both the cross and the chi-rho monogram of the name of Christ. }}</ref> | [[예수 그리스도]]는 인류의 죄를 대속하기 위해 기원후 30년경, [[무교절]]이자 [[안식일]] 전날이었던 성력 1월 15일에 예루살렘 성 밖 골고다 언덕에서 십자가에 못 박혀 운명했다.<ref>{{인용 |url= |제목=예수, 사랑의 율법 |웹사이트= |저널= |출판사=시공사 |날짜=2007.7.30. |연도= |저자=제라르 베시에르 |쪽=14 |시리즈= |isbn=978-89-7259-525-0 |인용문=30년 4월 7일. 예루살렘 성 밖, 성문 근처에서 세 개의 십자가에 세 사내가 못박혔다. ... 가운데에 못박힌 사내는 갈릴리 지방 나자렛 출신의 예수였다. }}</ref> 초대교회 기독교인들에게 십자가는 예수 그리스도뿐 아니라 수많은 교인들을 죽게 한 사형틀이기 때문에 이를 신앙의 상징으로 사용할 가능성은 전혀 없었다. 성경에도, 기독교 역사에도 초대교회가 십자가를 신앙의 상징으로 사용한 기록은 없다. 이방 종교의 상징이며 사형틀로 사용되었던 십자가는 교회가 세속화되고 진리가 변질되면서 4세기에 교회 안에 세워지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진다.<ref>{{인용 |url=https://www.britannica.com/topic/cross-religious-symbol |제목= Cross |인용문=Before the time of the emperor Constantine in the 4th century, Christians were extremely reticent about portraying the cross because too open a display of it might expose them to ridicule or danger. After Constantine converted to Christianity, he abolished crucifixion as a death penalty and promoted, as symbols of the Christian faith, both the cross and the chi-rho monogram of the name of Christ. }}</re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