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두개인: 두 판 사이의 차이

Sally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Sally (토론 | 기여)
4번째 줄: 4번째 줄:
==사두개인의 기원==
==사두개인의 기원==
[[File:Zalving van koning Salomon, RP-P-1950-401.jpg |섬네일| 솔로몬에게 기름을 붓는 대제사장 사독. 사두개인들은 사독의 후예를 자처했다.]]
[[File:Zalving van koning Salomon, RP-P-1950-401.jpg |섬네일| 솔로몬에게 기름을 붓는 대제사장 사독. 사두개인들은 사독의 후예를 자처했다.]]
사두개인은 구약성경과 신약성경 사이의 역사에 기원을 둔다. 헬라 제국이 유대 지역을 지배하던 시대, 셀레우코스 왕조의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0932 안티오코스 4세](B.C. 175–B.C. 163)는 유대교를 박해했다. 헬라의 문화와 신앙을 강요하며 율법을 지키지 못하게 하는 등 헬라의 정책은 유대인들에게 큰 반감을 불러일으켰다. 이에 봉기한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pageSize=10&searchKeyword=%EB%A7%88%EC%B9%B4%EB%B0%94%EC%9D%B4%EC%98%A4%EC%8A%A4%EC%A0%84%EC%9F%81 마카비(마카바이오스, 마카베오)의 무력 항쟁]이 성공을 거두었고, 독립을 쟁취한 유대인들은 기원전 63년에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기까지 약 80년간 자신들의 왕국을 유지했다. 이 시기 유대 안에는 종교적으로 뜻을 달리하는 사두개파, 바리새파, 에세네파 등이 생겼다. 그중 사독의 후예를 자처한 제사장들에 의해 형성된 사두개파는 오직 모세오경만을 최고 권위의 율법으로 신봉했다.
사두개인은 [[구약성경]]과 [[신약성경]] 사이의 역사에 기원을 둔다. 헬라 제국이 유대 지역을 지배하던 시대, 셀레우코스 왕조의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0932 안티오코스 4세](B.C. 175–B.C. 163)는 유대교를 박해했다. 헬라의 문화와 신앙을 강요하며 율법을 지키지 못하게 하는 등 헬라의 정책은 유대인들에게 큰 반감을 불러일으켰다. 이에 봉기한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pageSize=10&searchKeyword=%EB%A7%88%EC%B9%B4%EB%B0%94%EC%9D%B4%EC%98%A4%EC%8A%A4%EC%A0%84%EC%9F%81 마카비(마카바이오스, 마카베오)의 무력 항쟁]이 성공을 거두었고, 독립을 쟁취한 유대인들은 기원전 63년에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기까지 약 80년간 자신들의 왕국을 유지했다. 이 시기 유대 안에는 종교적으로 뜻을 달리하는 사두개파, 바리새파, 에세네파 등이 생겼다. 그중 사독의 후예를 자처한 제사장들에 의해 형성된 사두개파는 오직 모세오경만을 최고 권위의 율법으로 신봉했다.


==특징==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