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니엘 (성경): 두 판 사이의 차이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작성 배경== | ==작성 배경== | ||
바벨론은 총 세 차례에 걸쳐 유다를 침공했다. 기원전 606년경 1차 침략<ref name="1차 침략"/> 이후 기원전 597년경에는 여호야긴왕을 비롯한 지도층 1만여 명을 포로로 끌고 갔으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4장 |제목=열왕기하 24:8-17 |저널= |인용문= | 바벨론은 총 세 차례에 걸쳐 유다를 침공했다. 기원전 606년경 1차 침략<ref name="1차 침략"/> 이후 기원전 597년경에는 여호야긴왕을 비롯한 지도층 1만여 명을 포로로 끌고 갔으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4장 |제목=열왕기하 24:8-17 |저널= |인용문=그때에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의 신복들이 예루살렘에 올라와서 그 성을 에워싸니라 ... 저가 또 예루살렘의 모든 백성과 모든 방백과 모든 용사 합 일만 명과 ... 여호야긴을 바벨론으로 사로잡아 가고 왕의 모친과 왕의 아내들과 내시와 나라에 권세 있는 자도 예루살렘에서 바벨론으로 사로잡아 가고}}</ref> 유다를 완전히 멸망시킨 기원전 586년에는 유다 백성 대다수를 잡아갔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5장 |제목=열왕기하 25:8-12 |저널= |인용문=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의 십구 년 오월 칠 일에 바벨론 왕의 신하 시위대 장관 느부사라단이 예루살렘에 이르러 ... 온 군대가 예루살렘 사면 성벽을 헐었으며 성중에 남아 있는 백성과 바벨론 왕에게 항복한 자와 무리의 남은 자는 시위대 장관 느부사라단이 다 사로잡아 가고}}</ref> <br> | ||
바벨론의 권세는 오래가지 못하고 메대·바사 제국에 무너졌다. 고레스왕은 유다 백성을 바벨론에서 해방시켜 유다 땅으로 돌려보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라#1장 |제목=에스라 1:1-3 |저널= |인용문=바사 왕 고레스 원년에 여호와께서 예레미야의 입으로 하신 말씀을 응하게 하시려고 바사 왕 고레스의 마음을 감동시키시매 저가 온 나라에 공포도 하고 조서도 내려 가로되 바사 왕 고레스는 말하노니 하늘의 신 여호와께서 세상 만국으로 내게 주셨고 나를 명하사 유다 예루살렘에 전을 건축하라 하셨나니 이스라엘의 하나님은 참 신이시라 너희 중에 무릇 그 백성 된 자는 다 유다 예루살렘으로 올라가서 거기 있는 여호와의 전을 건축하라 너희 하나님이 함께 하시기를 원하노라 }}</ref> 바벨론이 유다를 침략한 지 약 70년 만의 일이었다. | 바벨론의 권세는 오래가지 못하고 메대·바사 제국에 무너졌다. 고레스왕은 유다 백성을 바벨론에서 해방시켜 유다 땅으로 돌려보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라#1장 |제목=에스라 1:1-3 |저널= |인용문=바사 왕 고레스 원년에 여호와께서 예레미야의 입으로 하신 말씀을 응하게 하시려고 바사 왕 고레스의 마음을 감동시키시매 저가 온 나라에 공포도 하고 조서도 내려 가로되 바사 왕 고레스는 말하노니 하늘의 신 여호와께서 세상 만국으로 내게 주셨고 나를 명하사 유다 예루살렘에 전을 건축하라 하셨나니 이스라엘의 하나님은 참 신이시라 너희 중에 무릇 그 백성 된 자는 다 유다 예루살렘으로 올라가서 거기 있는 여호와의 전을 건축하라 너희 하나님이 함께 하시기를 원하노라 }}</ref> 바벨론이 유다를 침략한 지 약 70년 만의 일이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