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례 요한 (세례 요한): 두 판 사이의 차이

Great1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Great1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11번째 줄: 11번째 줄:
|주요 행적=유대 광야에서 전도(마 3:1) <br/> 요단강에서 침례를 베풂(마 3:6) <br/> 예수님께 침례를 베풂(마 3:13, 막 1:9-10, 눅 3:21) <br/>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증거(요 1:29-34, 35-36)
|주요 행적=유대 광야에서 전도(마 3:1) <br/> 요단강에서 침례를 베풂(마 3:6) <br/> 예수님께 침례를 베풂(마 3:13, 막 1:9-10, 눅 3:21) <br/>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증거(요 1:29-34, 35-36)
}}
}}
'''침례 요한'''(John the Baptist)은 육체로 오시는 [[하나님]], 곧 [[그리스도]]의 길을 예비하는 [[엘리야]]의 사명을 성취한 인물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1장 |제목=마태복음 11:13-14 |인용문= 오리라 한 엘리야가 곧 이 사람이니라}}</ref> [[요단강]]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비롯해 많은 사람에게 [[침례 (세례)|침례]]를 베풀어 침례 요한(세례 요한) 또는 침례자 요한(세례자 요한)이라고 불린다.<ref name="침례">{{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3장 |제목=마태복음 3:5-6 |인용문= 이때에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요단 강 사방에서 다 그에게 나아와 자기들의 죄를 자복하고 요단 강에서 그에게 침례를 받더니}}</ref> 요한이란 이름은 히브리어 '요하난([https://dict.naver.com/hbokodict/hebrew/#/entry/hboko/96afc3cb8fd24b76b175d7f7f5a56eb6 יוֹחָנָן])'의 헬라어 음역으로 ''''여호와는 은혜로우시다''''는 뜻이다. 침례 요한은 아비야 계열의 제사장인 사가랴(Zechariah)와 레위 족속 아론의 자손인 엘리사벳(Elizabeth)의 아들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1장 |제목=누가복음 1:5, 13 |인용문= 유대 왕 헤롯 때에 아비야 반열에 제사장 하나가 있으니 이름은 사가랴요 그 아내는 아론의 자손이니 이름은 엘리사벳이라 ... 사가랴여 무서워 말라 ... 네 아내 엘리사벳이 네게 아들을 낳아주리니 그 이름을 요한이라 하라}}</ref> 엘리사벳은 예수의 친모 마리아와 친족 관계였다. 요한은 예수님보다 6개월쯤 먼저 잉태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1장 |제목=누가복음 1:30-36 |인용문= 천사가 일러 가로되 마리아여 무서워 말라 네가 하나님께 은혜를 얻었느니라 보라 네가 수태하여 아들을 낳으리니 그 이름을 예수라 하라 ... 보라 네 친족 엘리사벳도 늙어서 아들을 배었느니라 본래 수태하지 못한다 하던 이가 이미 여섯 달이 되었나니}}</ref> [[신약성경]]은 예수님이 30세에 침례 요한에게 침례를 받은 이후부터 [[복음]] 사역을 시작하셨다고 기록하고 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3장|제목=누가복음 3:21-23|인용문=백성이 다 세례를 받을새 예수도 세례를 받으시고 ... 예수께서 가르치심을 시작할 때에 삼십 세쯤 되시니라}}</ref>
'''침례 요한'''(John the Baptist)은 육체로 오시는 [[하나님]], 곧 [[그리스도]]의 길을 예비하는 [[엘리야]]의 사명을 성취한 인물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1장 |제목=마태복음 11:13-14 |인용문= 오리라 한 엘리야가 곧 이 사람이니라}}</ref> [[요단강]]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비롯해 많은 사람에게 [[침례 (세례)|침례]]를 베풀어 침례 요한(세례 요한) 또는 침례자 요한(세례자 요한)이라고 불린다.<ref name="침례">{{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3장 |제목=마태복음 3:5-6 |인용문= 이때에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요단 강 사방에서 다 그에게 나아와 자기들의 죄를 자복하고 요단 강에서 그에게 침례를 받더니}}</ref> 요한이란 이름은 히브리어 '요하난([https://dict.naver.com/hbokodict/hebrew/#/entry/hboko/96afc3cb8fd24b76b175d7f7f5a56eb6 יוֹחָנָן])'의 헬라어 음역으로 ''''여호와는 은혜로우시다''''는 뜻이다. 침례 요한은 아비야 계열의 제사장인 사가랴(Zechariah)와 레위 족속 아론의 자손인 엘리사벳(Elizabeth)의 아들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1장 |제목=누가복음 1:5, 13 |인용문= 유대 왕 헤롯 때에 아비야 반열에 제사장 하나가 있으니 이름은 사가랴요 그 아내는 아론의 자손이니 이름은 엘리사벳이라 ... 사가랴여 무서워 말라 ... 네 아내 엘리사벳이 네게 아들을 낳아주리니 그 이름을 요한이라 하라}}</ref> 엘리사벳은 예수의 친모 마리아와 친족 관계였다. 요한은 예수님보다 6개월쯤 먼저 잉태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1장 |제목=누가복음 1:30-36 |인용문= 천사가 일러 가로되 마리아여 무서워 말라 네가 하나님께 은혜를 얻었느니라 보라 네가 수태하여 아들을 낳으리니 그 이름을 예수라 하라 ... 보라 네 친족 엘리사벳도 늙어서 아들을 배었느니라 본래 수태하지 못한다 하던 이가 이미 여섯 달이 되었나니}}</ref> [[신약성경]]은 예수님이 30세에 침례 요한에게 침례를 받은 이후부터 [[복음]] 사역을 시작하셨다고 기록하고 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3장|제목=누가복음 3:21-23|인용문=백성이 다 침례를 받을새 예수도 침례를 받으시고 ... 예수께서 가르치심을 시작할 때에 삼십 세쯤 되시니라}}</ref>
== 시대적 배경 ==
== 시대적 배경 ==
약 2000년 전, 로마의 식민지였던 이스라엘은 무거운 세금과 에돔 출신 헤롯왕의 학정(虐政)에 시달리고 있었다. 세리들은 정해진 세금 외에 더 많은 세금을 거두어 들였다. 로마의 정치세력과 결탁한 종교 지도자들의 타락은 백성들의 정신세계를 더욱 피폐하게 했다. 이에 그들은 자신들의 무거운 멍에를 벗겨주고 로마의 압제에서 해방시켜줄 [[메시아]]의 출현을 간절히 기다렸다. 이 혼돈의 시기에 침례 요한이 등장했다.
약 2000년 전, 로마의 식민지였던 이스라엘은 무거운 세금과 에돔 출신 헤롯왕의 학정(虐政)에 시달리고 있었다. 세리들은 정해진 세금 외에 더 많은 세금을 거두어 들였다. 로마의 정치세력과 결탁한 종교 지도자들의 타락은 백성들의 정신세계를 더욱 피폐하게 했다. 이에 그들은 자신들의 무거운 멍에를 벗겨주고 로마의 압제에서 해방시켜줄 [[메시아]]의 출현을 간절히 기다렸다. 이 혼돈의 시기에 침례 요한이 등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