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판주: 두 판 사이의 차이
| 27번째 줄: | 27번째 줄: | ||
===북 이스라엘 멸망=== | ===북 이스라엘 멸망=== | ||
[[File:Gerard de Lairesse - King Jeroboam Making Sacrifice to the Golden Calf (Jeroboam's Sin) - KMSsp308 - Statens Museum for Kunst.jpg|섬네일|금송아지 우상을 숭배한 북 이스라엘 초대 왕 여로보암.<br>제라르 드 래레스(Gerard de Lairesse)]] | [[File:Gerard de Lairesse - King Jeroboam Making Sacrifice to the Golden Calf (Jeroboam's Sin) - KMSsp308 - Statens Museum for Kunst.jpg|섬네일|금송아지 우상을 숭배한 북 이스라엘 초대 왕 여로보암.<br>제라르 드 래레스(Gerard de Lairesse)]] | ||
이스라엘 왕국은 [[솔로몬]] 사후 남 유다와 북 이스라엘로 분열되었다.<ref>{{인용 |제목=왕국의 분열 |웹사이트= |저널=성서 그리고 역사 |출판사=황소자리 |날짜= |연도= |저자=장-피에르 이즈부츠 | 이스라엘 왕국은 [[솔로몬]] 사후 남 유다와 북 이스라엘로 분열되었다.<ref>{{인용 |제목=왕국의 분열 |웹사이트= |저널=성서 그리고 역사 |출판사=황소자리 |날짜= |연도= |저자=장-피에르 이즈부츠 |저자링크= |저자2= |저자링크2= |쪽=200–201 |시리즈= |언어= |번역제목= |isbn= |인용문=솔로몬의 아들 르호보암(Rehoboam, B.C.E. 931~913년)은 주관이 뚜렷하지 못하고 우왕좌왕하는 인물이었다. ... 백성들은 왕의 오만방자함에 충격을 받았다. 원성이 자자했다. ... 그리하여 북쪽 부족들은 예루살렘과의 통일 조약을 파기하고 여로보암(B.C.E. 931~910년)을 북왕국의 왕으로 세웠다. 북왕국은 이스라엘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르호보암은 도망치듯 예루살렘으로 돌아왔다. 이제 왕국은 유다와 베냐민 부족의 영토 정도로 줄어든 상태였다. 이후 이는 유다 왕국이라 불리게 된다.<br>북왕국은 200년밖에 존속하지 못했다. 열아홉 왕 중 무려 일곱 명이 암살당하는 불안한 상황이었다. 남쪽의 유다 왕국은 다윗 가문에서 왕을 배출하며 350년 동안 이어졌지만 그 후에는 혼란에 빠지고 만다.}}</ref> 북 이스라엘은 초대 왕 여로보암의 죄를 따라 계속 우상 숭배의 길을 걸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10장|제목=열왕기하 10:29|인용문=이스라엘로 범죄케 한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의 죄 곧 벧엘과 단에 있는 금송아지를 섬기는 죄에서는 떠나지 아니하였더라}}</ref> 북 이스라엘의 왕들은 권력 다툼에만 관심을 두었지 하나님을 경외하는 일에는 전혀 관심이 없었다. 오히려 우상 숭배를 권력 강화의 수단으로 삼기도 했다.<ref>{{인용 |제목=북왕국의 몰락|웹사이트= |저널=성서 그리고 역사 |출판사=황소자리 |날짜= |연도= |저자=장-피에르 이즈부츠 |저자링크= |저자2= |저자링크2= |쪽=206–217 |시리즈= |언어= |번역제목= |isbn= |인용문=양쪽에서 위협을 받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 오므리 왕은 우선 유다 왕국과 평화 조약을 맺었다. 그리고 페니키아 해안 시돈의 에드바알(Ittobal, Ethbaal)과도 조약을 맺어 동쪽 국경의 안전을 확보한다. 이 동맹은 오므리의 아들 아합이 에드바알의 딸 이세벨(jezebel)과 결혼함으로써 확인되었다. ... 이교 신이 들어오는 상황에 대해 아합 왕은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아마도 페니키아 출신 왕비 이세벨의 심기를 건드리지 않기 위해서였으리라. 심지어 왕이 직접 사마리아에 바알 신전을 짓고 그 안에 바달 제단을 세우기까지 했다고 한다(열왕기 상 16:32).}}</ref><br> | ||
북 이스라엘 왕 호세아 때, 남 유다 왕 히스기야가 오랫동안 지키지 못했던 유월절을 다시 지키자고 북 이스라엘에 보발꾼을 보냈다. 북 이스라엘은 이를 조롱하고 비웃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하#30장|제목=역대하 30:1–10|인용문=히스기야가 온 이스라엘과 유다에 보내고 또 에브라임과 므낫세에 편지를 보내어 예루살렘 여호와의 전에 와서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를 위하여 유월절을 지키라 하니라 ... 보발군이 에브라임과 므낫세 지방 각 성에 두루 다녀 스불론까지 이르렀으나 사람들이 저희를 조롱하며 비웃었더라}}</ref> 끝까지 하나님의 말씀을 거부한 북 이스라엘은 기원전 721년경 앗수르(아시리아)의 침략을 받아 멸망했다. | 북 이스라엘 왕 호세아 때, 남 유다 왕 히스기야가 오랫동안 지키지 못했던 유월절을 다시 지키자고 북 이스라엘에 보발꾼을 보냈다. 북 이스라엘은 이를 조롱하고 비웃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하#30장|제목=역대하 30:1–10|인용문=히스기야가 온 이스라엘과 유다에 보내고 또 에브라임과 므낫세에 편지를 보내어 예루살렘 여호와의 전에 와서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를 위하여 유월절을 지키라 하니라 ... 보발군이 에브라임과 므낫세 지방 각 성에 두루 다녀 스불론까지 이르렀으나 사람들이 저희를 조롱하며 비웃었더라}}</ref> 끝까지 하나님의 말씀을 거부한 북 이스라엘은 기원전 721년경 앗수르(아시리아)의 침략을 받아 멸망했다. | ||
{{인용문5 |내용=히스기야왕 4년 곧 이스라엘 왕 엘라의 아들 호세아 7년에 앗수르 왕 살만에셀이 사마리아로 올라와서 에워쌌더라 3년 후에 그 성이 함락되니 곧 히스기야의 6년이요 이스라엘 왕 호세아의 9년이라 사마리아가 함락되매 ... 이는 저희가 그 '''하나님 여호와의 말씀을 준행치 아니하고 그 언약을 배반하고 여호와의 종 모세의 모든 명한 것을 거스려 듣지도 아니하며 행치도 아니하였음이더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18장 열왕기하 18:9–12]}} | {{인용문5 |내용=히스기야왕 4년 곧 이스라엘 왕 엘라의 아들 호세아 7년에 앗수르 왕 살만에셀이 사마리아로 올라와서 에워쌌더라 3년 후에 그 성이 함락되니 곧 히스기야의 6년이요 이스라엘 왕 호세아의 9년이라 사마리아가 함락되매 ... 이는 저희가 그 '''하나님 여호와의 말씀을 준행치 아니하고 그 언약을 배반하고 여호와의 종 모세의 모든 명한 것을 거스려 듣지도 아니하며 행치도 아니하였음이더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18장 열왕기하 18:9–1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