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계명: 두 판 사이의 차이

Gn (토론 | 기여)
Gn (토론 | 기여)
39번째 줄: 39번째 줄:
====요시야 시대====
====요시야 시대====
[[File:The Removal and Destruction of The Chariot and The Horses of The Sun 1569 print by Maarten van Heemskerck, NHD 44 -S.II 111910, Prints Department, Royal Library of Belgium.jpg|thumb|230px|유월절을 깨닫고 우상을 전멸한 요시야와 백성들]]
[[File:The Removal and Destruction of The Chariot and The Horses of The Sun 1569 print by Maarten van Heemskerck, NHD 44 -S.II 111910, Prints Department, Royal Library of Belgium.jpg|thumb|230px|유월절을 깨닫고 우상을 전멸한 요시야와 백성들]]
유다의 제16대 왕 [[요시야]] 18년에 왕과 백성들은 율법책에 기록된 하나님의 한 언약을 깨달은 후 성전에 있던 우상들을 없앴다. 이 언약은 유월절이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3장|제목=열왕기하 23:21–24|인용문= 왕이 뭇백성에게 명하여 가로되 이 언약책에 기록된 대로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를 위하여 유월절을 지키라 하매 사사가 이스라엘을 다스리던 시대부터 이스라엘 열왕의 시대에든지 유다 열왕의 시대에든지 이렇게 유월절을 지킨 일이 없었더니 요시야 왕 십팔 년에 예루살렘에서 여호와 앞에 이 유월절을 지켰더라 요시야가 또 유다 땅과 예루살렘에 보이는 신접한 자와 박수와 드라빔과 우상과 모든 가증한 것을 다 제하였으니 이는 대제사장 힐기야가 여호와의 전에서 발견한 책에 기록된 율법 말씀을 이루려 함이라}}</ref>
유다 제16대 왕 요시야 18년에 왕과 백성들은 율법책에 기록된 하나님의 한 언약을 깨달은 후 성전에 있던 우상들을 없앴다. 이 언약은 유월절이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3장|제목=열왕기하 23:21–24|인용문= 왕이 뭇백성에게 명하여 가로되 이 언약책에 기록된 대로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를 위하여 유월절을 지키라 하매 사사가 이스라엘을 다스리던 시대부터 이스라엘 열왕의 시대에든지 유다 열왕의 시대에든지 이렇게 유월절을 지킨 일이 없었더니 요시야 왕 십팔 년에 예루살렘에서 여호와 앞에 이 유월절을 지켰더라 요시야가 또 유다 땅과 예루살렘에 보이는 신접한 자와 박수와 드라빔과 우상과 모든 가증한 것을 다 제하였으니 이는 대제사장 힐기야가 여호와의 전에서 발견한 책에 기록된 율법 말씀을 이루려 함이라}}</ref>
{{인용문5 |내용= 왕[요시야]이 대 위에 서서 여호와 앞에서 언약을 세우되 '''마음을 다하고 성품을 다하여 여호와를 순종하고 그 계명과 법도와 율례를 지켜 이 책에 기록된 이 언약[유월절]의 말씀을 이루게 하리라''' 하매 백성이 다 그 언약을 좇기로 하니라 왕이 대제사장 힐기야와 모든 버금 제사장들과 문을 지킨 자들에게 명하여 '''바알과 아세라와 하늘의 일월성신을 위하여 만든 모든 기명을 여호와의 전에서 내어다가 예루살렘 바깥 기드론 밭에서 불사르고''' 그 재를 벧엘로 가져가게 하고|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3장 열왕기하 23:3–4] }}
{{인용문5 |내용= 왕[요시야]이 대 위에 서서 여호와 앞에서 언약을 세우되 '''마음을 다하고 성품을 다하여 여호와를 순종하고 그 계명과 법도와 율례를 지켜 이 책에 기록된 이 언약[유월절]의 말씀을 이루게 하리라''' 하매 백성이 다 그 언약을 좇기로 하니라 왕이 대제사장 힐기야와 모든 버금 제사장들과 문을 지킨 자들에게 명하여 '''바알과 아세라와 하늘의 일월성신을 위하여 만든 모든 기명을 여호와의 전에서 내어다가 예루살렘 바깥 기드론 밭에서 불사르고''' 그 재를 벧엘로 가져가게 하고|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3장 열왕기하 23:3–4] }}
요시야왕은 하나님을 믿고 하나님의 뜻대로 살려고 노력했지만 즉위 후 18년 동안이나 하나님의 성전에 우상들을 그대로 두었던 것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2장|제목=열왕기하 22:3–11|인용문= 요시야왕 십팔 년에 왕이 므술람의 손자 아살리야의 아들 서기관 사반을 여호와의 전에 보내며 ... 대제사장 힐기야가 서기관 사반에게 이르되 내가 여호와의 전에서 율법책을 발견하였노라 하고 그 책을 사반에게 주니 사반이 읽으니라 서기관 사반이 왕에게 돌아가서 복명하여 가로되 왕의 신복들이 전에 있던 돈을 쏟아 여호와의 전 역사 감독자의 손에 붙였나이다 하고 또 왕에게 고하여 가로되 제사장 힐기야가 내게 책을 주더이다 하고 왕의 앞에서 읽으매 왕이 율법책의 말을 듣자 곧 그 옷을 찢으니라}}</ref> 유월절을 깨달은 요시야는, 온 나라에 있던 각종 우상을 멸하고 [[북 이스라엘 왕국|북 이스라엘]] 초대 왕 [[여로보암]]이 만들었던 금송아지 우상과 산당들까지 파괴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3장|제목=열왕기하 23:15|인용문= 이스라엘로 범죄케 한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이 벧엘에 세운 단과 산당을 왕이 헐고 또 그 산당을 불사르고 빻아서 가루를 만들며 또 아세라 목상을 불살랐더라}}</ref>
요시야왕은 하나님을 믿고 하나님의 뜻대로 살려고 노력했지만 즉위 후 18년 동안이나 하나님의 성전에 우상들을 그대로 두었던 것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2장|제목=열왕기하 22:3–11|인용문= 요시야왕 십팔 년에 왕이 므술람의 손자 아살리야의 아들 서기관 사반을 여호와의 전에 보내며 ... 대제사장 힐기야가 서기관 사반에게 이르되 내가 여호와의 전에서 율법책을 발견하였노라 하고 그 책을 사반에게 주니 사반이 읽으니라 서기관 사반이 왕에게 돌아가서 복명하여 가로되 왕의 신복들이 전에 있던 돈을 쏟아 여호와의 전 역사 감독자의 손에 붙였나이다 하고 또 왕에게 고하여 가로되 제사장 힐기야가 내게 책을 주더이다 하고 왕의 앞에서 읽으매 왕이 율법책의 말을 듣자 곧 그 옷을 찢으니라}}</ref> 유월절을 깨달은 요시야는, 온 나라에 있던 각종 우상을 멸하고 [[북 이스라엘 왕국|북 이스라엘]] 초대 왕 [[여로보암]]이 만들었던 금송아지 우상과 산당들까지 파괴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3장|제목=열왕기하 23:15|인용문= 이스라엘로 범죄케 한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이 벧엘에 세운 단과 산당을 왕이 헐고 또 그 산당을 불사르고 빻아서 가루를 만들며 또 아세라 목상을 불살랐더라}}</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