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후의 만찬: 두 판 사이의 차이

Gn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문자열을 "'" 문자열로
22번째 줄: 22번째 줄:
[https://heritage.unesco.or.kr/ 유네스코 세계유산]의 해설에 따르면 예수님을 중심으로 3명씩 네 무리의 제자들이 배치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heritage.unesco.or.kr/산타-마리아-델레-그라치에-교회와-도미니크-수도원/ |제목=산타 마리아 델레 그라치에 교회와 도미니크 수도원 및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 |웹사이트=유네스코와 유산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전통적인 해석에서, 유다는 홀로 묘사되어 있는 반면 예수와 다른 제자들은 테이블 건너편에 나란히 앉아 있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이러한 해석 방식을 거부하여, 예수를 제자들의 한가운데에 앉아 있는 것으로 묘사하고, 예수의 양쪽에 3명씩 네 무리의 제자들을 배치하였다. 왼쪽에 나란히 있는 바돌로매, 소(小)야고보(알패오의 아들 야고보)와 안드레는 예수의 선언에 충격을 받은 모습이다. 두 번째 무리는 [[베드로]], [[가룟 유다|유다]]와 [[사도 요한|요한]]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베드로는 요한 쪽으로 기대어 있고 요한은 예수 옆에 앉아 유다를 앞으로 밀고 있다. 유다의 모습은 다른 사람들을 분리하지 않으면서 강조되었다. 오른쪽의 무리는 [[마태]]와 다대오, 시몬으로 구성되는데, 그들은 열띤 토론에 빠져서 예수를 보지 않고 있다. 가운데에서 깜짝 놀라 예수 쪽으로 기대는 제자들은 도마와 대(大)야고보(요한의 형제 야고보), 빌립보이며, 이들은 예수에게 자신들의 충성을 확인하느라 열심이다.}}</ref><ref>{{인용 |url= |제목=서양미술사 |웹사이트= |저널= |출판사=도서출판 예경 |날짜=1997. 5. 1. |연도= |저자=E. H. 곰브리치 저, 백승길, 이종숭 역 |쪽=297-298 |시리즈= |isbn=9788970840659 |인용문=그들 중에 성미가 급한 성 베드로가 예수의 오른편에 앉아 있는 성 요한에게 달려간다. 그가 무엇인지를 성 요한에게 귓속에 속삭일 때 무심코 유다를 앞으로 떼밀어 유다는 다른 사람들과 분리되지는 않았으나 고립되어 보인다. 유다만이 몸짓도 하지 않고 질문도 하지 않는다. 그는 몸을 젖히며 의심과 분노에 찬 모습으로 올려다보고 있는데 그의 모습은 이 갑작스러운 소란 속에 조용히 체념한 듯 앉아 있는 예수의 모습과 극적인 대조를 이룬다. ... 12사도들은 제스처와 움직임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세 사람씩 네 무리로 자연스럽게 구별되는 것처럼 보인다.}}</ref><br>  
[https://heritage.unesco.or.kr/ 유네스코 세계유산]의 해설에 따르면 예수님을 중심으로 3명씩 네 무리의 제자들이 배치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heritage.unesco.or.kr/산타-마리아-델레-그라치에-교회와-도미니크-수도원/ |제목=산타 마리아 델레 그라치에 교회와 도미니크 수도원 및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 |웹사이트=유네스코와 유산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전통적인 해석에서, 유다는 홀로 묘사되어 있는 반면 예수와 다른 제자들은 테이블 건너편에 나란히 앉아 있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이러한 해석 방식을 거부하여, 예수를 제자들의 한가운데에 앉아 있는 것으로 묘사하고, 예수의 양쪽에 3명씩 네 무리의 제자들을 배치하였다. 왼쪽에 나란히 있는 바돌로매, 소(小)야고보(알패오의 아들 야고보)와 안드레는 예수의 선언에 충격을 받은 모습이다. 두 번째 무리는 [[베드로]], [[가룟 유다|유다]]와 [[사도 요한|요한]]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베드로는 요한 쪽으로 기대어 있고 요한은 예수 옆에 앉아 유다를 앞으로 밀고 있다. 유다의 모습은 다른 사람들을 분리하지 않으면서 강조되었다. 오른쪽의 무리는 [[마태]]와 다대오, 시몬으로 구성되는데, 그들은 열띤 토론에 빠져서 예수를 보지 않고 있다. 가운데에서 깜짝 놀라 예수 쪽으로 기대는 제자들은 도마와 대(大)야고보(요한의 형제 야고보), 빌립보이며, 이들은 예수에게 자신들의 충성을 확인하느라 열심이다.}}</ref><ref>{{인용 |url= |제목=서양미술사 |웹사이트= |저널= |출판사=도서출판 예경 |날짜=1997. 5. 1. |연도= |저자=E. H. 곰브리치 저, 백승길, 이종숭 역 |쪽=297-298 |시리즈= |isbn=9788970840659 |인용문=그들 중에 성미가 급한 성 베드로가 예수의 오른편에 앉아 있는 성 요한에게 달려간다. 그가 무엇인지를 성 요한에게 귓속에 속삭일 때 무심코 유다를 앞으로 떼밀어 유다는 다른 사람들과 분리되지는 않았으나 고립되어 보인다. 유다만이 몸짓도 하지 않고 질문도 하지 않는다. 그는 몸을 젖히며 의심과 분노에 찬 모습으로 올려다보고 있는데 그의 모습은 이 갑작스러운 소란 속에 조용히 체념한 듯 앉아 있는 예수의 모습과 극적인 대조를 이룬다. ... 12사도들은 제스처와 움직임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세 사람씩 네 무리로 자연스럽게 구별되는 것처럼 보인다.}}</ref><br>  
예수님 왼편에 나란히 있는 '''첫 번째 무리'''는 바돌로매, 야고보(알패오의 아들), 안드레인데 예수님의 말씀에 충격을 받은 모습이다. '''두 번째 무리'''는 베드로, 유다, 요한이다. 성급한 베드로가 요한 쪽으로 기대어 무엇인가를 속삭이고 있고, 요한은 무심코 유다를 앞으로 밀고 있다. 유다의 모습은 다른 사람들과 분리되지 않으면서 강조되었다. 가운데에서 깜짝 놀라 예수님 쪽으로 기대는 '''세 번째 무리'''는 도마, 야고보(요한의 형제), 빌립이며, 이들은 예수님에게 자신들의 충성을 확인하느라 열심 내는 것처럼 보인다. 오른쪽의 '''네 번째 무리'''는 마태, 다대오, 시몬으로 구성되는데, 그들은 열띤 토론에 빠져 예수님을 보지 않고 있다.<br>
예수님 왼편에 나란히 있는 '''첫 번째 무리'''는 바돌로매, 야고보(알패오의 아들), 안드레인데 예수님의 말씀에 충격을 받은 모습이다. '''두 번째 무리'''는 베드로, 유다, 요한이다. 성급한 베드로가 요한 쪽으로 기대어 무엇인가를 속삭이고 있고, 요한은 무심코 유다를 앞으로 밀고 있다. 유다의 모습은 다른 사람들과 분리되지 않으면서 강조되었다. 가운데에서 깜짝 놀라 예수님 쪽으로 기대는 '''세 번째 무리'''는 도마, 야고보(요한의 형제), 빌립이며, 이들은 예수님에게 자신들의 충성을 확인하느라 열심 내는 것처럼 보인다. 오른쪽의 '''네 번째 무리'''는 마태, 다대오, 시몬으로 구성되는데, 그들은 열띤 토론에 빠져 예수님을 보지 않고 있다.<br>
<최후의 만찬〉에는 상징적인 요소들도 묘사돼 있다. 베드로의 손에 들린 칼은 예수님을 잡으려는 병사의 귀를 베는 데 사용할 것을 암시하고, 유다의 손에 들린 돈주머니는 은전 30냥에 예수님을 배반할 것을 상징화했다고 한다.<ref>{{웹 인용 |url=https://www.britannica.com/topic/Last-Supper-fresco-by-Leonardo-da-Vinci |제목=Last Supper |웹사이트=Britannica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Peter, who is identified by the knife in his hand that he will later use to sever the ear of a soldier attempting to arrest Jesus, moves toward the mild-tempered John, who sits to Jesus’ right and appears to swoon. Judas, gripping the purse that contains his reward for identifying Jesus, recoils from Peter, seemingly alarmed at the other Apostle’s quick action. }}</ref><ref>{{웹 인용 |url=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74721&cid=46720&categoryId=46798 |제목=최후의 만찬 |웹사이트=미술백과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성격이 불 같은 베드로는 자신의 궁금증을 풀려는 듯 요한의 귀에 대고 무언가를 속삭이고 있다. 성격이 급한 그는 스승의 말씀이 끝나기가 무섭게 화가 머리 끝까지 치밀었다. 칼을 들고 있는데 이는 예수님이 체포될 당시 대제사장 종의 귀를 자를 것임을 예고하는 것이자 그의 불 같은 성격을 보여주기 위함이다. 유다는 열두 제자의 회계 담당이었으므로 돈 주머니를 들고 있는데 이는 또한 그가 은전 30냥에 스승을 팔아먹으리라는 암시이기도 하다. }}</ref> 식탁 위에 놓인 떡과 포도주도 단순한 만찬 음식이 아니라, 예수님이 다음 날 십자가에서 찢기고 흘리실 살과 피를 상징한다.<ref name="원하였노라">{{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제목=누가복음 22:15-20|인용문=내가 '''고난을 받기 전에''' 너희와 함께 이 <ins>'''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ins> ... 또 '''떡'''을 가져 사례하시고 떼어 저희에게 주시며 가라사대 이것은 너희를 위하여 주는 '''내 몸'''이라 너희가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저녁 먹은 후에 '''잔'''도 이와 같이 하여 가라사대 이 잔은 '''내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니 곧 너희를 위하여 붓는 것이라}}</ref>
<최후의 만찬〉에는 상징적인 요소들도 묘사돼 있다. 베드로의 손에 들린 칼은 예수님을 잡으려는 병사의 귀를 베는 데 사용할 것을 암시하고, 유다의 손에 들린 돈주머니는 은전 30냥에 예수님을 배반할 것을 상징화했다고 한다.<ref>{{웹 인용 |url=https://www.britannica.com/topic/Last-Supper-fresco-by-Leonardo-da-Vinci |제목=Last Supper |웹사이트=Britannica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Peter, who is identified by the knife in his hand that he will later use to sever the ear of a soldier attempting to arrest Jesus, moves toward the mild-tempered John, who sits to Jesus' right and appears to swoon. Judas, gripping the purse that contains his reward for identifying Jesus, recoils from Peter, seemingly alarmed at the other Apostle's quick action. }}</ref><ref>{{웹 인용 |url=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74721&cid=46720&categoryId=46798 |제목=최후의 만찬 |웹사이트=미술백과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성격이 불 같은 베드로는 자신의 궁금증을 풀려는 듯 요한의 귀에 대고 무언가를 속삭이고 있다. 성격이 급한 그는 스승의 말씀이 끝나기가 무섭게 화가 머리 끝까지 치밀었다. 칼을 들고 있는데 이는 예수님이 체포될 당시 대제사장 종의 귀를 자를 것임을 예고하는 것이자 그의 불 같은 성격을 보여주기 위함이다. 유다는 열두 제자의 회계 담당이었으므로 돈 주머니를 들고 있는데 이는 또한 그가 은전 30냥에 스승을 팔아먹으리라는 암시이기도 하다. }}</ref> 식탁 위에 놓인 떡과 포도주도 단순한 만찬 음식이 아니라, 예수님이 다음 날 십자가에서 찢기고 흘리실 살과 피를 상징한다.<ref name="원하였노라">{{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제목=누가복음 22:15-20|인용문=내가 '''고난을 받기 전에''' 너희와 함께 이 <ins>'''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ins> ... 또 '''떡'''을 가져 사례하시고 떼어 저희에게 주시며 가라사대 이것은 너희를 위하여 주는 '''내 몸'''이라 너희가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저녁 먹은 후에 '''잔'''도 이와 같이 하여 가라사대 이 잔은 '''내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니 곧 너희를 위하여 붓는 것이라}}</ref>


===구도와 화법===
===구도와 화법===
31번째 줄: 31번째 줄:


=='최후의 만찬' 성경적 명칭은 유월절==
=='최후의 만찬' 성경적 명칭은 유월절==
'최후의 만찬'의 성경적 명칭은 '유월절'이다.<ref name="원하였노라"/><ref>{{웹 인용 |url=https://www.history.com/topics/renaissance/leonardo-da-vinci |제목=Leonardo da Vinci |웹사이트=HISTORY.COM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The first is da Vinci’s "The Last Supper," painted during his time in Milan, from about 1495 to 1498. ... It depicts the '''Passover''' dinner during which Jesus Christ addresses the Apostles and says, "One of you shall betray me."}}</ref> 국어사전에서 '만찬(晩餐)'은 저녁 식사로 먹기 위하여 차린 음식 또는 손님을 초대하여 함께 먹는 저녁 식사를 뜻한다.<ref>{{웹 인용 |url=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pageSize=10&searchKeyword=만찬 |제목=만찬 |웹사이트=표준국어대사전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1」저녁 식사로 먹기 위하여 차린 음식. 「2」손님을 초대하여 함께 먹는 저녁 식사. }}</ref> '만찬'이란 단어에서 알 수 있듯 유월절 예식은 성력 1월 14일 '저녁'에 행해진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3장 |제목=레위기 23:5 |저널= |인용문=정월 십사일 저녁은 여호와의 유월절이요 }}</ref> 그래서 예수님도 이날을 기다려 저물 때에 열두 제자와 함께 유월절을 지키셨다.<ref name="저물 때"/><ref name="원하였노라"/>  
'최후의 만찬'의 성경적 명칭은 '유월절'이다.<ref name="원하였노라"/><ref>{{웹 인용 |url=https://www.history.com/topics/renaissance/leonardo-da-vinci |제목=Leonardo da Vinci |웹사이트=HISTORY.COM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The first is da Vinci's "The Last Supper," painted during his time in Milan, from about 1495 to 1498. ... It depicts the '''Passover''' dinner during which Jesus Christ addresses the Apostles and says, "One of you shall betray me."}}</ref> 국어사전에서 '만찬(晩餐)'은 저녁 식사로 먹기 위하여 차린 음식 또는 손님을 초대하여 함께 먹는 저녁 식사를 뜻한다.<ref>{{웹 인용 |url=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pageSize=10&searchKeyword=만찬 |제목=만찬 |웹사이트=표준국어대사전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1」저녁 식사로 먹기 위하여 차린 음식. 「2」손님을 초대하여 함께 먹는 저녁 식사. }}</ref> '만찬'이란 단어에서 알 수 있듯 유월절 예식은 성력 1월 14일 '저녁'에 행해진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3장 |제목=레위기 23:5 |저널= |인용문=정월 십사일 저녁은 여호와의 유월절이요 }}</ref> 그래서 예수님도 이날을 기다려 저물 때에 열두 제자와 함께 유월절을 지키셨다.<ref name="저물 때"/><ref name="원하였노라"/>  
{{인용문5 |내용=제자들이 예수의 시키신 대로 하여 '''유월절'''을 예비하였더라 '''저물 때'''에 예수께서 열두 제자와 함께 앉으셨더니 ...  저희가 먹을 때에 예수께서 '''떡'''을 가지사 축복하시고 떼어 제자들을 주시며 가라사대 받아 먹으라 이것이 '''내 몸'''이니라 하시고 또 '''잔'''을 가지사 사례하시고 저희에게 주시며 가라사대 너희가 다 이것을 마시라 이것은 '''죄 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마태복음 26:19-28]}}어떤 사람들은 성경의 유월절을 예수님이 부활하신 날로 오해하기도 한다. 하지만 성경의 유월절은 예수님께서 고난을 받으시기 전날 밤에 지키는 것이며,<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제목=누가복음 22:15|인용문=내가 고난을 받기 전에 너희와 함께 이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ref> 이날 행하는 성찬식은 [[예수님의 부활]]이 아니라 예수님의 죽으심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다.<ref name="죽으심">{{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1장 |제목=고린도전서 11:23-26 |저널= |인용문=내가 너희에게 전한 것은 주께 받은 것이니 곧 주 예수께서 잡히시던 밤에 떡을 가지사 축사하시고 떼어 가라사대 이것은 너희를 위하는 내 몸이니 이것을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식후에 또한 이와 같이 잔을 가지시고 가라사대 이 잔은 내 피로 세운 새 언약이니 이것을 행하여 마실 때마다 나를 기념하라 하셨으니 너희가 이 떡을 먹으며 이 잔을 마실 때마다 주의 죽으심을 오실 때까지 전하는 것이니라 }}</ref>
{{인용문5 |내용=제자들이 예수의 시키신 대로 하여 '''유월절'''을 예비하였더라 '''저물 때'''에 예수께서 열두 제자와 함께 앉으셨더니 ...  저희가 먹을 때에 예수께서 '''떡'''을 가지사 축복하시고 떼어 제자들을 주시며 가라사대 받아 먹으라 이것이 '''내 몸'''이니라 하시고 또 '''잔'''을 가지사 사례하시고 저희에게 주시며 가라사대 너희가 다 이것을 마시라 이것은 '''죄 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마태복음 26:19-28]}}어떤 사람들은 성경의 유월절을 예수님이 부활하신 날로 오해하기도 한다. 하지만 성경의 유월절은 예수님께서 고난을 받으시기 전날 밤에 지키는 것이며,<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제목=누가복음 22:15|인용문=내가 고난을 받기 전에 너희와 함께 이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ref> 이날 행하는 성찬식은 [[예수님의 부활]]이 아니라 예수님의 죽으심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다.<ref name="죽으심">{{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1장 |제목=고린도전서 11:23-26 |저널= |인용문=내가 너희에게 전한 것은 주께 받은 것이니 곧 주 예수께서 잡히시던 밤에 떡을 가지사 축사하시고 떼어 가라사대 이것은 너희를 위하는 내 몸이니 이것을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식후에 또한 이와 같이 잔을 가지시고 가라사대 이 잔은 내 피로 세운 새 언약이니 이것을 행하여 마실 때마다 나를 기념하라 하셨으니 너희가 이 떡을 먹으며 이 잔을 마실 때마다 주의 죽으심을 오실 때까지 전하는 것이니라 }}</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