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기관: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파일:The Scribe at Work.jpg |섬네일 | 300px |서기관은 율법을 필사하거나 연구해서 가르쳤다.<br> 15세기 벨기에 화가 장 르 타베르니에(Jean Le Tavernier)의 작품.]] | [[파일:The Scribe at Work.jpg |섬네일 | 300px |서기관은 율법을 필사하거나 연구해서 가르쳤다.<br> 15세기 벨기에 화가 장 르 타베르니에(Jean Le Tavernier)의 작품.]] | ||
'''서기관'''(書記官, Scribe)은 성경에서 주로 [ | '''서기관'''(書記官, Scribe)은 성경에서 주로 [[모세의 율법|율법]]을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507013&searchKeywordTo=3 필사](筆寫)하거나 연구해서 가르치는 전문 율법학자를 가리킨다.<ref>"서기관과 에세네파", 《CLP 성경사전》, 기독교문사, 2013, 1525쪽, "서기관들은 성경 필사본자로서 모세율법에 정통하였던 까닭에 율법학자라고도 불렸다."</ref> 나라의 공문서를 작성하는 행정관료를 뜻하기도 한다. [[바벨론]] 포로기 이후 유대 사회에서는 [[구약성경]]을 필사하고 율법을 가르치는 서기관의 종교적 역할이 강조되어 신약시대에까지 이어졌다. 신약시대 서기관들은 형식주의와 외식에 빠져 율법의 근본정신을 등한시함으로써 예수님께 질책을 받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7장 |제목=마가복음 7:1-9 |저널= |인용문= 바리새인들과 또 서기관 중 몇이 예루살렘에서 와서 예수께 모였다가 그의 제자 중 몇 사람의 부정한 손 곧 씻지 아니한 손으로 떡 먹는 것을 보았더라 ... 이에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이 예수께 묻되 어찌하여 당신의 제자들은 장로들의 유전을 준행치 아니하고 부정한 손으로 떡을 먹나이까 가라사대 이사야가 너희 외식하는 자에 대하여 잘 예언하였도다 기록하였으되 이 백성이 입술로는 나를 존경하되 마음은 내게서 멀도다 ... 또 가라사대 너희가 너희 유전을 지키려고 하나님의 계명을 잘 저버리는도다 }}</ref> | ||
== 명칭의 의미 == | == 명칭의 의미 == | ||
| 38번째 줄: | 38번째 줄: | ||
* [[바리새인]] | * [[바리새인]] | ||
* [[사두개인]] | * [[사두개인]] | ||
* [[율법]] | * [[모세의 율법]] | ||
* [[유대교]] | * [[유대교]] | ||
* [[공회 (산헤드린)]] | * [[공회 (산헤드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