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위기: 두 판 사이의 차이

Etorp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Etorp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24번째 줄: 24번째 줄:


==레위인==
==레위인==
[[야곱]]의 셋째 아들인 레위의 후손을 이르는 말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46장|제목=창세기 46:18-11 |저널=개역한글판|인용문=야곱과 그 아들들 곧 야곱의 맏아들 르우벤과 르우벤의 아들 하녹과 발루와 헤스론과 갈미요 시므온의 아들 곧 여무엘과 야민과 오핫과 야긴과 스할과 가나안 여인의 소생 사울이요 레위의 아들 곧 게르손과 그핫과 므라리요 }}</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6장|제목=출애굽기 6:16-19 |저널=개역한글판|인용문=레위의 아들들의 이름은 그 연치대로 이러하니 게르손과 고핫과 므라리요 … 이들은 그 연치대로 레위의 족장이요 }}</ref> 레위의 둘째 아들인 그핫(고핫) 계열의 아론과 그 자손은 제사장 직책을 맡고,<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4장|제목=민수기 4:2-4 |저널=개역한글판|인용문=레위 자손 중에서 고핫 자손을 그들의 가족과 종족을 따라 총계할찌니 … 고핫 자손이 회막 안 지성물에 대하여 할 일은 이러하니라 }}</ref> 그 외의 레위 후손들은 제사장을 도와 성막(성전)에서 봉사하며, 하나님께 백성들의 죄를 대속하는 제반 업무를 수행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8장 |제목=민수기 8:16-22 |저널= |인용문= 그들[레위인]은 이스라엘 자손 중에서 내게 온전히 드린 바 된 자라 이스라엘 자손 중 일절 초태생 곧 모든 처음 난 자의 대신으로 내가 그들을 취하였나니 ... 이러므로 내가 이스라엘 자손 중 모든 처음 난 자의 대신으로 레위인을 취하였느니라 ... 후에 레위인이 회막에 들어가서 아론과 그 아들들의 앞에서 봉사하니라}}</ref> 백성들에게 하나님의 율법을 가르치고 지도하는 일도 담당했다. 제사장을 돕는 레위인의 봉사 기간은 25세부터 50세까지였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8장|제목=민수기 8:24-25 |저널=개역한글판|인용문=레위인은 이같이 할찌니 곧 이십오 세 이상으로는 회막에 들어와서 봉사하여 일할 것이요 오십 세부터는 그 일을 쉬어 봉사하지 아니할 것이나 }}</ref> <br>
[[야곱]]의 셋째 아들인 레위의 후손을 이르는 말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46장|제목=창세기 46:18-11 |저널=|인용문=야곱과 그 아들들 곧 야곱의 맏아들 르우벤과 르우벤의 아들 하녹과 발루와 헤스론과 갈미요 시므온의 아들 곧 여무엘과 야민과 오핫과 야긴과 스할과 가나안 여인의 소생 사울이요 레위의 아들 곧 게르손과 그핫과 므라리요 }}</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6장|제목=출애굽기 6:16-19 |저널=|인용문=레위의 아들들의 이름은 그 연치대로 이러하니 게르손과 고핫과 므라리요 … 이들은 그 연치대로 레위의 족장이요 }}</ref> 레위의 둘째 아들인 그핫(고핫) 계열의 아론과 그 자손은 제사장 직책을 맡고,<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4장|제목=민수기 4:2-4 |저널=|인용문=레위 자손 중에서 고핫 자손을 그들의 가족과 종족을 따라 총계할찌니 … 고핫 자손이 회막 안 지성물에 대하여 할 일은 이러하니라 }}</ref> 그 외의 레위 후손들은 제사장을 도와 성막(성전)에서 봉사하며, 하나님께 백성들의 죄를 대속하는 제반 업무를 수행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8장 |제목=민수기 8:16-22 |저널= |인용문= 그들[레위인]은 이스라엘 자손 중에서 내게 온전히 드린 바 된 자라 이스라엘 자손 중 일절 초태생 곧 모든 처음 난 자의 대신으로 내가 그들을 취하였나니 ... 이러므로 내가 이스라엘 자손 중 모든 처음 난 자의 대신으로 레위인을 취하였느니라 ... 후에 레위인이 회막에 들어가서 아론과 그 아들들의 앞에서 봉사하니라}}</ref> 백성들에게 하나님의 율법을 가르치고 지도하는 일도 담당했다. 제사장을 돕는 레위인의 봉사 기간은 25세부터 50세까지였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8장|제목=민수기 8:24-25 |저널=|인용문=레위인은 이같이 할찌니 곧 이십오 세 이상으로는 회막에 들어와서 봉사하여 일할 것이요 오십 세부터는 그 일을 쉬어 봉사하지 아니할 것이나 }}</ref> <br>
하나님이 그들의 기업이었기에 레위인들은 가나안 정복 후 땅을 기업으로 받지 않았다. 그 대신 6개의 [[도피성 제도|도피성]]을 포함해 이스라엘 각 지파로부터 48개 성읍과 주변 목초지, 십일조를 분배받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35장 |제목=민수기 35:1-8 |저널= |인용문= 이스라엘 자손에게 명하여 그들의 얻은 기업에서 레위인에게 거할 성읍들을 주게 하고 너희는 또 그 성읍 사면의 들을 레위인에게 주어서 성읍으로는 그들의 거처가 되게 하고 들로는 그들의 가축과 물산과 짐승들을 둘 곳이 되게 할 것이라 ... 너희가 레위인에게 줄 성읍은 살인자로 피케 할 도피성으로 여섯 성읍이요 그 외에 사십 이 성읍이라 너희가 레위인에게 모두 사십 팔 성읍을 주고 그 들도 함께 주되}}</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8장 |제목=민수기 18:20-25 |저널= |인용문= 여호와께서 또 아론에게 이르시되 너는 이스라엘 자손의 땅의 기업도 없겠고 그들 중에 아무 분깃도 없을 것이나 나는 이스라엘 자손 중에 네 분깃이요 네 기업이니라 내가 이스라엘의 십일조를 레위 자손에게 기업으로 다 주어서 그들의 하는 일 곧 회막에서 하는 일을 갚나니}}</ref>
하나님이 그들의 기업이었기에 레위인들은 가나안 정복 후 땅을 기업으로 받지 않았다. 그 대신 6개의 [[도피성 제도|도피성]]을 포함해 이스라엘 각 지파로부터 48개 성읍과 주변 목초지, 십일조를 분배받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35장 |제목=민수기 35:1-8 |저널= |인용문= 이스라엘 자손에게 명하여 그들의 얻은 기업에서 레위인에게 거할 성읍들을 주게 하고 너희는 또 그 성읍 사면의 들을 레위인에게 주어서 성읍으로는 그들의 거처가 되게 하고 들로는 그들의 가축과 물산과 짐승들을 둘 곳이 되게 할 것이라 ... 너희가 레위인에게 줄 성읍은 살인자로 피케 할 도피성으로 여섯 성읍이요 그 외에 사십 이 성읍이라 너희가 레위인에게 모두 사십 팔 성읍을 주고 그 들도 함께 주되}}</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8장 |제목=민수기 18:20-25 |저널= |인용문= 여호와께서 또 아론에게 이르시되 너는 이스라엘 자손의 땅의 기업도 없겠고 그들 중에 아무 분깃도 없을 것이나 나는 이스라엘 자손 중에 네 분깃이요 네 기업이니라 내가 이스라엘의 십일조를 레위 자손에게 기업으로 다 주어서 그들의 하는 일 곧 회막에서 하는 일을 갚나니}}</ref>


60번째 줄: 60번째 줄:


'''정결에 관한 법'''(11-15장) <br>
'''정결에 관한 법'''(11-15장) <br>
[[노아]] 시대 모든 짐승을 먹을 수 있었던 것과는 달리<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9장|제목=창세기 9:3 |저널=개역한글판|인용문=무릇 산 동물은 너희의 식물이 될지라 채소같이 내가 이것을 다 너희에게 주노라 }}</ref> 모세 율법에서는 정한(깨끗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이 구분되었다. 정한 짐승만 먹고 부정한 짐승은 먹을 수 없게 된 것이다. 육지 동물 중 정한 짐승은 쪽발에 새김질하는 동물이고, 수중 생물 중에는 지느러미와 비늘이 있는 물고기가 정한 것이었다. <br>
[[노아]] 시대 모든 짐승을 먹을 수 있었던 것과는 달리<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9장|제목=창세기 9:3 |저널=|인용문=무릇 산 동물은 너희의 식물이 될지라 채소같이 내가 이것을 다 너희에게 주노라 }}</ref> 모세 율법에서는 정한(깨끗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이 구분되었다. 정한 짐승만 먹고 부정한 짐승은 먹을 수 없게 된 것이다. 육지 동물 중 정한 짐승은 쪽발에 새김질하는 동물이고, 수중 생물 중에는 지느러미와 비늘이 있는 물고기가 정한 것이었다. <br>


'''(대)속죄일 규례'''(16장) <br>
'''(대)속죄일 규례'''(16장) <br>
74번째 줄: 74번째 줄:


'''하나님의 절기'''(23-24장) <br>
'''하나님의 절기'''(23-24장) <br>
{{참고|하나님의 절기|설명=더 자세한 내용은}}
하나님의 절기는 한 주마다 지키는 주간 절기, 일 년마다 지키는 연간 절기가 있다. <br>
하나님의 절기는 한 주마다 지키는 주간 절기, 일 년마다 지키는 연간 절기가 있다. <br>
[[안식일]]: 한 주의 일곱째 날 <br>
*[[안식일]]: 한 주의 일곱째 날 <br>
[[유월절]]: 성력 1월 14일 저녁 <br>
*[[유월절]]: 성력 1월 14일 저녁 <br>
[[무교절]]: 성력 1월 15일 <br>
*[[무교절]]: 성력 1월 15일 <br>
[[초실절]]: 무교절 후 첫 안식일 이튿날 <br>  
*[[초실절]]: 무교절 후 첫 안식일 이튿날 <br>  
[[칠칠절]]: 초실절 후 일곱 번째 안식일 이튿날(초실절로부터 50일째 되는 날) <br>
*[[칠칠절]]: 초실절 후 일곱 번째 안식일 이튿날(초실절로부터 50일째 되는 날) <br>
[[나팔절]]: 성력 7월 1일 <br>
*[[나팔절]]: 성력 7월 1일 <br>
[[대속죄일|(대)속죄일]]: 성력 7월 10일 <br>
*[[대속죄일|(대)속죄일]]: 성력 7월 10일 <br>
[[초막절]]: 성력 7월 15일 <br>
*[[초막절]]: 성력 7월 15일 <br>


'''안식년과 희년'''(25장) <br>
'''안식년과 희년'''(25장) <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