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상: 두 판 사이의 차이
|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작성 배경== | ==작성 배경== | ||
역대기는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갔던 이스라엘 백성이 예루살렘으로 돌아온 후에 기록된 책이다. 70년 포로 생활로 지치고 상실감에 빠진 백성들에게 하나님께서 택하신 민족이라는 정체성을 심어주고, 위로와 희망을 전하기 위해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상#17장 |제목=역대상 17:7-14 |저널= |인용문= 내 종 다윗에게 이처럼 말하라 만군의 여호와께서 이처럼 말씀하시기를 내가 너를 목장 곧 양을 따르는데서 취하여 내 백성 이스라엘의 주권자를 삼고 네가 어디를 가든지 내가 너와 함께 있어 네 모든 대적을 네 앞에서 멸하였은즉 세상에서 존귀한 자의 이름 같은 이름을 네게 만들어주리라 내가 또 내 백성 이스라엘을 위하여 한 곳을 정하여 저희를 심고 저희로 자기 곳에 거하여 다시는 옮기지 않게 하며 악한 유로 전과 같이 저희를 해하지 못하게 하여 ... 네 모든 대적으로 네게 복종하게 하리라 또 네게 이르노니 여호와가 너를 위하여 집을 세울지라 네 수한이 차서 네가 열조에게로 돌아가면 내가 네 뒤에 네 씨 곧 네 아들 중 하나를 세우고 그 나라를 견고하게 하리니 저는 나를 위하여 집을 건축할 것이요 나는 그 위를 영원히 견고하게 하리라 ... 내가 영영히 그를 내 집과 내 나라에 세우리니 그 위가 영원히 견고하리라 하셨다 하라}}</ref><ref>{{웹 인용 |url= http://www.duranno.com/bdictionary/result_vision_detail.asp?cts_id=16091 |제목=비전성경사전 |웹사이트= |저널=두란노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유대인들은 70여 년간의 포로 생활로 인해 하나님의 선택받은 민족이란 정체성이 무너져 있었다. 그런 그들에게 역대기 저자는 이스라엘의 계보를 통한 구원 역사와 다윗 왕권과 성전의 | 역대기는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갔던 이스라엘 백성이 예루살렘으로 돌아온 후에 기록된 책이다. 70년 포로 생활로 지치고 상실감에 빠진 백성들에게 하나님께서 택하신 민족이라는 정체성을 심어주고, 위로와 희망을 전하기 위해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상#17장 |제목=역대상 17:7-14 |저널= |인용문= 내 종 다윗에게 이처럼 말하라 만군의 여호와께서 이처럼 말씀하시기를 내가 너를 목장 곧 양을 따르는데서 취하여 내 백성 이스라엘의 주권자를 삼고 네가 어디를 가든지 내가 너와 함께 있어 네 모든 대적을 네 앞에서 멸하였은즉 세상에서 존귀한 자의 이름 같은 이름을 네게 만들어주리라 내가 또 내 백성 이스라엘을 위하여 한 곳을 정하여 저희를 심고 저희로 자기 곳에 거하여 다시는 옮기지 않게 하며 악한 유로 전과 같이 저희를 해하지 못하게 하여 ... 네 모든 대적으로 네게 복종하게 하리라 또 네게 이르노니 여호와가 너를 위하여 집을 세울지라 네 수한이 차서 네가 열조에게로 돌아가면 내가 네 뒤에 네 씨 곧 네 아들 중 하나를 세우고 그 나라를 견고하게 하리니 저는 나를 위하여 집을 건축할 것이요 나는 그 위를 영원히 견고하게 하리라 ... 내가 영영히 그를 내 집과 내 나라에 세우리니 그 위가 영원히 견고하리라 하셨다 하라}}</ref><ref>{{웹 인용 |url= http://www.duranno.com/bdictionary/result_vision_detail.asp?cts_id=16091 |제목=비전성경사전 |웹사이트= |저널=두란노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유대인들은 70여 년간의 포로 생활로 인해 하나님의 선택받은 민족이란 정체성이 무너져 있었다. 그런 그들에게 역대기 저자는 이스라엘의 계보를 통한 구원 역사와 다윗 왕권과 성전의 제사제도, 하나님의 권위를 증명해 줌으로써 이스라엘이 여전히 하나님의 선택된 백성들임을 확고히 하고자 했다. 또한 그들을 향한 하나님의 약속이 변함없음을 보여주기 위해서였다.}}</ref> | ||
==역대상의 특징== | ==역대상의 특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