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장 반차: 두 판 사이의 차이

Silver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Silver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10번째 줄: 10번째 줄:
=== 구약: 아론의 반차 ===
=== 구약: 아론의 반차 ===
구약시대 제사장들은 초대 대제사장이었던 아론의 반차를 따라 제사장직을 수행했다. 아론이 레위 지파이기 때문에 아론의 반차를 '레위 계통의 제사 직분'이라고도 한다.<ref name=":0">{{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7장|제목= 히브리서 7:11 |저널=|인용문=레위 계통의 제사 직분으로 말미암아 온전함을 얻을 수 있었으면 (백성이 그 아래서 율법을 받았으니) 어찌하여 아론의 반차를 좇지 않고 멜기세덱의 반차를 좇는 별다른 한 제사장을 세울 필요가 있느뇨 }}</ref> 제사 예법은 성소에서 양이나 소와 같은 짐승의 피를 흘려 제사하는 방식이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1장|제목= 레위기 1:1-5 |저널=|인용문=여호와께서 회막에서 모세를 부르시고 그에게 일러 가라사대 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이르라 너희 중에 누구든지 여호와께 예물을 드리려거든 생축 중에서 소나 양으로 예물을 드릴지니라 ... 아론의 자손 제사장들은 그 피를 가져다가 회막 문 앞 단 사면에 뿌릴 것이며}}</ref><br>
구약시대 제사장들은 초대 대제사장이었던 아론의 반차를 따라 제사장직을 수행했다. 아론이 레위 지파이기 때문에 아론의 반차를 '레위 계통의 제사 직분'이라고도 한다.<ref name=":0">{{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7장|제목= 히브리서 7:11 |저널=|인용문=레위 계통의 제사 직분으로 말미암아 온전함을 얻을 수 있었으면 (백성이 그 아래서 율법을 받았으니) 어찌하여 아론의 반차를 좇지 않고 멜기세덱의 반차를 좇는 별다른 한 제사장을 세울 필요가 있느뇨 }}</ref> 제사 예법은 성소에서 양이나 소와 같은 짐승의 피를 흘려 제사하는 방식이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1장|제목= 레위기 1:1-5 |저널=|인용문=여호와께서 회막에서 모세를 부르시고 그에게 일러 가라사대 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이르라 너희 중에 누구든지 여호와께 예물을 드리려거든 생축 중에서 소나 양으로 예물을 드릴지니라 ... 아론의 자손 제사장들은 그 피를 가져다가 회막 문 앞 단 사면에 뿌릴 것이며}}</ref><br>
제사장직은 아론의 후손들이 대를 이어 봉사했는데,<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8장|제목= 출애굽기 28:1 |저널=|인용문=너는 이스라엘 자손 중 네 형 아론과 그 아들들 곧 나답과 아비후와 엘르아살과 이다말을 그와 함께 네게로 나아오게 하여 나를 섬기는 제사장 직분을 행하게 하되 }}</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8장|제목= 민수기 18:1 |저널=|인용문= 여호와께서 아론에게 이르시되 너와 네 아들들과 네 종족은 성소에 대한 죄를 함께 담당할 것이요 너와 네 아들들은 너희가 그 제사장 직분에 대한 죄를 함께 담당할 것이니라}}</ref> 다윗왕 때는 아론의 후손 중 제사장 직무를 수행할 사람들을 제비 뽑아 24반차로 조직하여 차례대로 성전에서 봉사하게 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상#24장|제목= 역대상 24:1-5 |저널=|인용문= 아론 자손의 반차가 이러하니라 ... 다윗이 엘르아살의 자손 사독과 이다말의 자손 아히멜렉으로 더불어 저희를 나누어 각각 그 섬기는 직무를 맡겼는데 엘르아살의 자손 중에 족장이 이다말의 자손보다 많으므로 나눈 것이 이러하니 엘르아살 자손의 족장이 십육이요 이다말 자손은 그 열조의 집을 따라 여덟이라 이에 제비 뽑아 피차에 차등이 없이 나누었으니 이는 성소의 일을 다스리는 자와 하나님의 일을 다스리는 자가 엘르아살의 자손 중에도 있고 이다말의 자손 중에도 있음이라}}</ref> 한 달을 평균 4주로 감안했을 때 1년 동안 한 반차가 2주씩 제사장 직무를 수행했을 것으로 추정된다.<br>
제사장직은 아론의 후손들이 대를 이어 봉사했는데,<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8장|제목= 출애굽기 28:1 |저널=|인용문=너는 이스라엘 자손 중 네 형 아론과 그 아들들 곧 나답과 아비후와 엘르아살과 이다말을 그와 함께 네게로 나아오게 하여 나를 섬기는 제사장 직분을 행하게 하되 }}</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8장|제목= 민수기 18:1 |저널=|인용문= 여호와께서 아론에게 이르시되 너와 네 아들들과 네 종족은 성소에 대한 죄를 함께 담당할 것이요 너와 네 아들들은 너희가 그 제사장 직분에 대한 죄를 함께 담당할 것이니라}}</ref> 다윗왕 때는 아론의 후손 중 제사장 직무를 수행할 사람들을 제비 뽑아 24반차로 조직하여 차례대로 성전에서 봉사하게 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상#24장|제목= 역대상 24:1-5 |저널=|인용문= 아론 자손의 반차가 이러하니라 ... 다윗이 엘르아살의 자손 사독과 이다말의 자손 아히멜렉으로 더불어 저희를 나누어 각각 그 섬기는 직무를 맡겼는데 엘르아살의 자손 중에 족장이 이다말의 자손보다 많으므로 나눈 것이 이러하니 엘르아살 자손의 족장이 십륙이요 이다말 자손은 그 열조의 집을 따라 여덟이라 이에 제비 뽑아 피차에 차등이 없이 나누었으니 이는 성소의 일을 다스리는 자와 하나님의 일을 다스리는 자가 엘르아살의 자손 중에도 있고 이다말의 자손 중에도 있음이라}}</ref> 한 달을 평균 4주로 감안했을 때 1년 동안 한 반차가 2주씩 제사장 직무를 수행했을 것으로 추정된다.<br>
[[역대상]] 24장에 언급된 24반차의 제사장들 중에서 여덟 번째인 아비야는 침례 요한의 아버지 사가랴가 속한 반열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상#24장|제목= 역대상 24:6-10 |저널=|인용문= 레위 사람 느다넬의 아들 서기관 스마야가 왕과 방백과 제사장 사독과 아비아달의 아들 아히멜렉과 및 제사장과 레위 사람의 족장 앞에서 그 이름을 기록하여 엘르아살의 자손 중에서 한 집을 취하고 이다말의 자손 중에서 한 집을 취하였으니 첫째로 제비 뽑힌 자는 여호야립이요 ... 여덟째는 아비야요 }}</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1장|제목= 누가복음 1:5 |저널=|인용문= 유대 왕 헤롯 때에 아비야 반열에 제사장 하나가 있으니 이름은 사가랴요 그 아내는 아론의 자손이니 이름은 엘리사벳이라  }}</ref> 아론의 후손들로 구성된 제사장 반차 조직은 솔로몬왕 때에도 이어졌고,<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하#8장|제목= 역대하 8:14 |저널=|인용문= 솔로몬이 또 그 부친 다윗의 정규를 좇아 제사장들의 반차를 정하여 섬기게 하고 레위 사람에게도 그 직분을 맡겨 매일에 합의한 대로 찬송하며 제사장들 앞에서 수종 들게 하며 또 문지기로 그 반차를 좇아 각 문을 지키게 하였으니 이는 하나님의 사람 다윗이 전에 이렇게 명하였음이라 }}</ref> 히스기야왕 시대에도 그 기록을 찾을 수 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하#31장|제목= 역대하 31:2-4 |저널=|인용문= 히스기야가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의 반차를 정하고 각각 그 직임을 행하게 하되 곧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로 번제와 화목제를 드리며 여호와의 영문에서 섬기며 감사하며 찬송하게 하고 또 자기 재산 중에서 얼마를 정하여 여호와의 율법에 기록된 대로 번제 곧 조석 번제와 안식일과 초하루와 절기의 번제에 쓰게 하고 또 예루살렘에 거한 백성을 명하여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의 응식을 주어 저희로 여호와의 율법을 힘쓰게 하라 한지라}}</ref>
[[역대상]] 24장에 언급된 24반차의 제사장들 중에서 여덟 번째인 아비야는 침례 요한의 아버지 사가랴가 속한 반열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상#24장|제목= 역대상 24:6-10 |저널=|인용문= 레위 사람 느다넬의 아들 서기관 스마야가 왕과 방백과 제사장 사독과 아비아달의 아들 아히멜렉과 및 제사장과 레위 사람의 족장 앞에서 그 이름을 기록하여 엘르아살의 자손 중에서 한 집을 취하고 이다말의 자손 중에서 한 집을 취하였으니 첫째로 제비 뽑힌 자는 여호야립이요 ... 여덟째는 아비야요 }}</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1장|제목= 누가복음 1:5 |저널=|인용문= 유대 왕 헤롯 때에 아비야 반열에 제사장 하나가 있으니 이름은 사가랴요 그 아내는 아론의 자손이니 이름은 엘리사벳이라  }}</ref> 아론의 후손들로 구성된 제사장 반차 조직은 솔로몬왕 때에도 이어졌고,<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하#8장|제목= 역대하 8:14 |저널=|인용문= 솔로몬이 또 그 부친 다윗의 정규를 좇아 제사장들의 반차를 정하여 섬기게 하고 레위 사람에게도 그 직분을 맡겨 매일에 합의한 대로 찬송하며 제사장들 앞에서 수종 들게 하며 또 문지기로 그 반차를 좇아 각 문을 지키게 하였으니 이는 하나님의 사람 다윗이 전에 이렇게 명하였음이라 }}</ref> 히스기야왕 시대에도 그 기록을 찾을 수 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하#31장|제목= 역대하 31:2-4 |저널=|인용문= 히스기야가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의 반차를 정하고 각각 그 직임을 행하게 하되 곧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로 번제와 화목제를 드리며 여호와의 영문에서 섬기며 감사하며 찬송하게 하고 또 자기 재산 중에서 얼마를 정하여 여호와의 율법에 기록된 대로 번제 곧 조석 번제와 안식일과 초하루와 절기의 번제에 쓰게 하고 또 예루살렘에 거한 백성을 명하여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의 응식을 주어 저희로 여호와의 율법을 힘쓰게 하라 한지라}}</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