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 두 판 사이의 차이

Rachel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그리스도(Christ)'''는 '[[메시아]]'의 헬라어 번역으로,<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장 |제목=요한복음 1:41 |저널= |인용문=그가 먼저 자기의 형제 시몬을 찾아 말하되 우리가 '''메시야'''를 만났다 하고 (메시야는 번역하면 '''그리스도'''라) }}</ref> '기름 부음 받은 자'라는 뜻이다. 인류 구원을 위해 [[육체로 오신 하나님 (성육신)|'''성육신하신 하나님''']]을 가리킨다. 구원자를 증거하는 책인 [[성경]]에는<ref name=":7">{{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5장 |제목=요한복음 5:39 |저널= |인용문=너희가 성경에서 영생을 얻는 줄 생각하고 성경을 상고하거니와 이 성경이 곧 내게 대하여 증거하는 것이로다 }}</ref> 이 땅에 오실 그리스도에 대한 예언이 기록돼 있다. 그 예언에 따라 2000년 전 등장한 분이 예수님이다. [[예수 그리스도]]는 십자가의 보혈로 [[새 언약]]을 세워 인류에게 [[죄 사함]]과 영생을 허락하셨다. 그러나 사도 시대 이후 [[교회]]의 세속화와 종교 암흑기를 거치면서 새 언약 진리가 사라졌다. 성경은 새 언약을 회복해 다시 구원의 길을 열어주실 [[재림 예수님 (재림 그리스도)|재림 그리스도]]의 등장을 예언하고 있다.
'''그리스도(Christ)'''는 '[[메시아]]'의 헬라어 번역으로,<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장 |제목=요한복음 1:41 |저널= |인용문=그가 먼저 자기의 형제 시몬을 찾아 말하되 우리가 '''메시야'''를 만났다 하고 (메시야는 번역하면 '''그리스도'''라) }}</ref> '기름 부음 받은 자'라는 뜻이다. 인류 구원을 위해 [[육체로 오신 하나님 (성육신)|'''성육신하신 하나님''']]을 가리킨다. 구원자를 증거하는 책인 [[성경]]에는<ref name=":7">{{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5장 |제목=요한복음 5:39 |저널= |인용문=너희가 성경에서 영생을 얻는 줄 생각하고 성경을 상고하거니와 이 성경이 곧 내게 대하여 증거하는 것이로다 }}</ref> 이 땅에 오실 그리스도에 대한 예언이 기록돼 있다. 그 예언에 따라 2000년 전 등장한 분이 예수님이다. [[예수 그리스도]]는 십자가의 보혈로 [[새 언약]]을 세워 인류에게 [[죄 사함]]과 영생을 허락하셨다. 그러나 사도 시대 이후 [[교회]]의 세속화와 종교 암흑기를 거치면서 새 언약 진리가 사라졌다. 성경은 새 언약을 회복해 다시 구원의 길을 열어주실 [[재림 예수님 (재림 그리스도)|재림 그리스도]]의 등장을 예언하고 있다.
==그리스도의 뜻==  
==그리스도의 뜻==  
* '''기름 부음 받은 자'''
* '''기름 부음 받은 자'''
[[파일:Bénouville, Samuel sacrant David.jpg |섬네일 | 250픽셀 |다윗에게 기름을 붓는 사무엘. 프랑수아 레옹 베누빌(François-Léon Benouville, 1821–1859) 作]]
[[파일:Bénouville, Samuel sacrant David.jpg |섬네일 | 250픽셀 |다윗에게 기름을 붓는 사무엘. 프랑수아 레옹 베누빌(François-Léon Benouville, 1821–1859) 作]]
:그리스도(크리스토스, 헬라어: [https://dict.naver.com/grckodict/#/entry/grcko/ee2e079fa7d942d8bb9a71b6e65c41f1 Χριστός])는 '기름 부음 받은 자'라는 뜻으로, '기름 붓다'라는 뜻의 헬라어 동사 크리오([https://dict.naver.com/grckodict/#/entry/grcko/f1deb4d111a34ca585d8ba4f399e5281 χρίω])에서 유래했다.<ref>{{웹 인용|url=https://biblehub.com/greek/5547.htm|제목=Christos|웹사이트=Biblehub|저널=|출판사=|날짜=|연도=|저자=|쪽=|시리즈=|isbn=|인용문=Christos: the Anointed One, Messiah, Christ, Word Origin: from chrió}}</ref> 영어는 Christ(크라이스트), 음역어는 기독(基督)이다. 메시아(히브리어:  מָשִׁיחַ, 아람어: מְשִׁיחָא, 영어: Messiah)와 동의어다. 기름 부음을 받는다는 것은 하나님의 특별한 일을 수행할 자로 성별(聖別)된다는 의미다. 구약시대에는 주로 왕,<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상#10장|제목=사무엘상 10:1|저널=|인용문=이에 사무엘이 기름병을 취하여 사울의 머리에 붓고 입 맞추어 가로되 여호와께서 네게 기름을 부으사 그 기업의 지도자를 삼지 아니하셨느냐}}</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5장|제목=사무엘하 5:3|저널=|인용문=저희가 다윗에게 기름을 부어 이스라엘 왕을 삼으니라}}</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1장|제목=열왕기상 1:39|저널=|인용문=제사장 사독이 성막 가운데서 기름 뿔을 가져다가 솔로몬에게 기름을 부으니 이에 양각을 불고 모든 백성이 솔로몬 왕 만세를 부르니라}}</ref> [[제사장]],<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40장|제목=출애굽기 40:13|저널=|인용문=아론에게 거룩한 옷을 입히고 그에게 기름을 부어 거룩하게 하여 그로 내게 제사장의 직분을 행하게 하라}}</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8장|제목=출애굽기 28:41|저널=|인용문=너는 그것들로 네 형 아론과 그와 함께한 그 아들들에게 입히고 그들에게 기름을 부어 위임하고 거룩하게 하여 그들로 제사장 직분을 내게 행하게 할지며}}</ref> 선지자가<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19장|제목=열왕기상 19:16|저널=|인용문=아벨므홀라 사밧의 아들 엘리사에게 기름을 부어 너를 대신하여 선지자가 되게 하라}}</ref> 기름 부음을 받았다.
:그리스도(크리스토스, 헬라어: [https://dict.naver.com/grckodict/#/entry/grcko/ee2e079fa7d942d8bb9a71b6e65c41f1 Χριστός])는 '기름 부음 받은 자'라는 뜻으로, '기름 붓다'라는 뜻의 헬라어 동사 크리오([https://dict.naver.com/grckodict/#/entry/grcko/f1deb4d111a34ca585d8ba4f399e5281 χρίω])에서 유래했다.<ref>{{웹 인용|url=https://biblehub.com/greek/5547.htm|제목=Christos|웹사이트=Biblehub|저널=|출판사=|날짜=|연도=|저자=|쪽=|시리즈=|isbn=|인용문=Christos: the Anointed One, Messiah, Christ, Word Origin: from chrió}}</ref> 영어는 Christ(크라이스트), 음역어는 기독(基督)이다. 메시아(히브리어:  מָשִׁיחַ, 아람어: מְשִׁיחָא, 영어: Messiah)와 동의어다. 기름 부음을 받는다는 것은 하나님의 특별한 일을 수행할 자로 성별(聖別)된다는 의미다. 구약시대에는 주로 왕,<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상#10장|제목=사무엘상 10:1|저널=|인용문=이에 사무엘이 기름병을 취하여 사울의 머리에 붓고 입 맞추어 가로되 여호와께서 네게 기름을 부으사 그 기업의 지도자를 삼지 아니하셨느냐}}</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5장|제목=사무엘하 5:3|저널=|인용문=저희가 다윗에게 기름을 부어 이스라엘 왕을 삼으니라}}</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1장|제목=열왕기상 1:39|저널=|인용문=제사장 사독이 성막 가운데서 기름 뿔을 가져다가 솔로몬에게 기름을 부으니 이에 양각을 불고 모든 백성이 솔로몬 왕 만세를 부르니라}}</ref> [[제사장]],<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40장|제목=출애굽기 40:13|저널=|인용문=아론에게 거룩한 옷을 입히고 그에게 기름을 부어 거룩하게 하여 그로 내게 제사장의 직분을 행하게 하라}}</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8장|제목=출애굽기 28:41|저널=|인용문=너는 그것들로 네 형 아론과 그와 함께한 그 아들들에게 입히고 그들에게 기름을 부어 위임하고 거룩하게 하여 그들로 제사장 직분을 내게 행하게 할지며}}</ref> 선지자가<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19장|제목=열왕기상 19:16|저널=|인용문=아벨므홀라 사밧의 아들 엘리사에게 기름을 부어 너를 대신하여 선지자가 되게 하라}}</ref> 기름 부음을 받았다.


*'''메시아(구원자)'''
*'''메시아(구원자)'''
:[[유대인]]들에게 그리스도라는 호칭은 '기름 부음 받은 자'라는 표면적 의미 외에도 '[[이스라엘]]을 구원할 자'라는 의미로 여겨졌다. [[구약성경]]에 기름 부음 받은 자(메시아)가 구원자로 올 것이라고 예언돼 있었기 때문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다니엘#9장|제목=다니엘 9:24-25|저널=|인용문=허물이 마치며 죄가 끝나며 죄악이 영속되며 영원한 의가 드러나며 이상과 예언이 응하며 또 '''지극히 거룩한 자'''가 기름 부음을 받으리라 ... '''기름 부음을 받은 자''' 곧 왕이 일어나기까지, 일곱 이레와 육십이 이레가 지날 것이요}}</ref><ref>{{웹 인용|url=https://www.blueletterbible.org/kjv/dan/9/1/t_conc_859025|제목=히브리어-영어 성경 대조(단 9:25)|웹사이트=Blue Letter Bible|저널=|출판사=|날짜=|연도=|저자=|쪽=|시리즈=|isbn=|인용문=מָשִׁיחַ-Messiah}}</ref> 이 예언은 성육신하신 예수님을 통해 성취되었다. 오늘날 그리스도는 그 자체로 예수님을 지칭하는 말처럼 쓰이고 있다.<ref>{{웹 인용 |url=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2721 |제목=예수 그리스도 |웹사이트=두산백과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그리스도교의 창시자인 예수를 하느님(하나님)의 메시아로 인정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그 자체가 예수를 지칭하는 말로도 쓰인다. }}</ref>
:[[유대인]]들에게 그리스도라는 호칭은 '기름 부음 받은 자'라는 표면적 의미 외에도 '[[이스라엘]]을 구원할 자'라는 의미로 여겨졌다. [[구약성경]]에 기름 부음 받은 자(메시아)가 구원자로 올 것이라고 예언돼 있었기 때문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다니엘#9장|제목=다니엘 9:24-25|저널=|인용문=허물이 마치며 죄가 끝나며 죄악이 영속되며 영원한 의가 드러나며 이상과 예언이 응하며 또 '''지극히 거룩한 자'''가 기름 부음을 받으리라 ... '''기름 부음을 받은 자''' 곧 왕이 일어나기까지, 일곱 이레와 육십이 이레가 지날 것이요}}</ref><ref>{{웹 인용|url=https://www.blueletterbible.org/kjv/dan/9/1/t_conc_859025|제목=히브리어-영어 성경 대조(단 9:25)|웹사이트=Blue Letter Bible|저널=|출판사=|날짜=|연도=|저자=|쪽=|시리즈=|isbn=|인용문=מָשִׁיחַ-Messiah}}</ref> 이 예언은 성육신하신 예수님을 통해 성취되었다. 오늘날 그리스도는 그 자체로 예수님을 지칭하는 말처럼 쓰이고 있다.<ref>{{웹 인용 |url=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2721 |제목=예수 그리스도 |웹사이트=두산백과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그리스도교의 창시자인 예수를 하느님(하나님)의 메시아로 인정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그 자체가 예수를 지칭하는 말로도 쓰인다. }}</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