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세의 율법: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
| 31번째 줄: | 31번째 줄: | ||
[[구약의 제사]] 때마다 희생된 양이나 염소 등 수많은 제물은 그리스도의 십자가 희생을 보여주는 모형과 그림자이며, 모세의 율법에 따른 구약의 절기 또한 그리스도의 희생을 기념하는 새 언약 절기에 대한 모형과 그림자다.<br> | [[구약의 제사]] 때마다 희생된 양이나 염소 등 수많은 제물은 그리스도의 십자가 희생을 보여주는 모형과 그림자이며, 모세의 율법에 따른 구약의 절기 또한 그리스도의 희생을 기념하는 새 언약 절기에 대한 모형과 그림자다.<br> | ||
대표적인 예가 [[유월절]]이다.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에서 종살이할 때, 하나님은 어린양의 살과 피로 유월절을 지키게 하여 이스라엘 백성을 애굽에서 해방시키셨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제목=출애굽기 12:5–33|인용문=너희 어린양은 흠 없고 일년 된 수컷으로 하되 양이나 염소 중에서 취하고 이달 14일까지 간직하였다가 해 질 때에 이스라엘 회중이 그 양을 잡고 ... 밤에 바로가 모세와 아론을 불러서 이르되 너희와 이스라엘 자손은 일어나 내 백성 가운데서 떠나서 너희의 말대로 가서 여호와를 섬기며 너희의 말대로 너희의 양도 소도 몰아가고 나를 위하여 축복하라 하며 애굽 사람들은 말하기를 우리가 다 죽은 자가 되도다 하고 백성을 재촉하여 그 지경에서 속히 보내려 하므로}}</ref> 신약시대 유월절 양의 실체로 [[예수 그리스도]]가 이 세상에 오셨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5장|제목=고린도전서 5:7–8|인용문=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이 되셨느니라 이러므로 우리가 명절을 지키되}}</ref> 예수님은 죄와 사망의 종이 된 인류를 해방시키기 위해 유월절 양의 실체인 당신의 살과 피 즉 떡과 포도주로 지키는 새 언약 유월절을 세우셨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제목=마태복음 26:19, 26–28|인용문=제자들이 예수의 시키신 대로 하여 유월절을 예비하였더라 ... 저희가 먹을 때에 예수께서 떡을 가지사 축복하시고 떼어 제자들을 주시며 가라사대 받아 먹으라 이것이 내 몸이니라 하시고 또 잔을 가지사 사례하시고 저희에게 주시며 가라사대 너희가 다 이것을 마시라 이것은 죄 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ref><br> | 대표적인 예가 [[유월절]]이다.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에서 종살이할 때, 하나님은 어린양의 살과 피로 유월절을 지키게 하여 이스라엘 백성을 애굽에서 해방시키셨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제목=출애굽기 12:5–33|인용문=너희 어린양은 흠 없고 일년 된 수컷으로 하되 양이나 염소 중에서 취하고 이달 14일까지 간직하였다가 해 질 때에 이스라엘 회중이 그 양을 잡고 ... 밤에 바로가 모세와 아론을 불러서 이르되 너희와 이스라엘 자손은 일어나 내 백성 가운데서 떠나서 너희의 말대로 가서 여호와를 섬기며 너희의 말대로 너희의 양도 소도 몰아가고 나를 위하여 축복하라 하며 애굽 사람들은 말하기를 우리가 다 죽은 자가 되도다 하고 백성을 재촉하여 그 지경에서 속히 보내려 하므로}}</ref> 신약시대 유월절 양의 실체로 [[예수 그리스도]]가 이 세상에 오셨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5장|제목=고린도전서 5:7–8|인용문=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이 되셨느니라 이러므로 우리가 명절을 지키되}}</ref> 예수님은 죄와 사망의 종이 된 인류를 해방시키기 위해 유월절 양의 실체인 당신의 살과 피 즉 떡과 포도주로 지키는 새 언약 유월절을 세우셨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제목=마태복음 26:19, 26–28|인용문=제자들이 예수의 시키신 대로 하여 유월절을 예비하였더라 ... 저희가 먹을 때에 예수께서 떡을 가지사 축복하시고 떼어 제자들을 주시며 가라사대 받아 먹으라 이것이 내 몸이니라 하시고 또 잔을 가지사 사례하시고 저희에게 주시며 가라사대 너희가 다 이것을 마시라 이것은 죄 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ref><br> | ||
또한 구약의 [[초실절]](初實節)은 [[무교절]] 후 첫 안식일 이튿날(일요일)로, 이날에는 처음 익은 곡식단을 하나님께 드렸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3장 |제목=레위기 23:10-11 |저널= |인용문=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이르라 너희는 내가 너희에게 주는 땅에 들어가서 너희의 곡물을 거둘 때에 위선 너희의 곡물의 첫 이삭 한 단을 제사장에게로 가져갈 것이요 제사장은 너희를 위하여 그 단을 여호와 앞에 열납되도록 흔들되 안식일 이튿날에 흔들 것이며 }}</ref> 예수님은 초실절의 제물도 되어 | 또한 구약의 [[초실절]](初實節)은 [[무교절]] 후 첫 안식일 이튿날(일요일)로, 이날에는 처음 익은 곡식단을 하나님께 드렸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3장 |제목=레위기 23:10-11 |저널= |인용문=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이르라 너희는 내가 너희에게 주는 땅에 들어가서 너희의 곡물을 거둘 때에 위선 너희의 곡물의 첫 이삭 한 단을 제사장에게로 가져갈 것이요 제사장은 너희를 위하여 그 단을 여호와 앞에 열납되도록 흔들되 안식일 이튿날에 흔들 것이며 }}</ref> 예수님은 초실절의 제물도 되어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初實]’로서 안식 후 첫날(일요일)에 부활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5장 |제목=고린도전서 15:20 |저널= |인용문=그러나 이제 그리스도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가 되셨도다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16장 |제목=마가복음 16:1-9 |저널= |인용문=예수께서 '''안식 후 첫날''' 이른 아침에 살아나신 후 전에 일곱 귀신을 쫓아내어 주신 막달라 마리아에게 먼저 보이시니 }}</ref><br> | ||
하나님은 사람들이 모세의 율법을 통해 실체인 그리스도의 율법을 깨달아 구원에 이를 수 있도록 옛적부터 구원의 계획을 세워 쉼 없이 일하셨다. 그러므로 모세의 율법도, 새 언약 그리스도의 율법도 모두 인류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사랑으로 세워진 것이다. | 하나님은 사람들이 모세의 율법을 통해 실체인 그리스도의 율법을 깨달아 구원에 이를 수 있도록 옛적부터 구원의 계획을 세워 쉼 없이 일하셨다. 그러므로 모세의 율법도, 새 언약 그리스도의 율법도 모두 인류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사랑으로 세워진 것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