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계명: 두 판 사이의 차이

Gn (토론 | 기여)
Gn (토론 | 기여)
26번째 줄: 26번째 줄:


==새 계명에 담긴 사랑의 원리==
==새 계명에 담긴 사랑의 원리==
[[File:Willem Jacob Herreyns - Last Supper.jpg|Willem_Jacob_Herreyns_-_Last_Supper|섬네일|새 언약 유월절을 지킴으로써 "서로 사랑하라"는 새 계명을 지킬 수 있다.<br>윌렘 제이콥 헤린스(Willem Jacob Herreyns),〈최후의 만찬〉, 1790-1800년 ]]
[[File:Willem Jacob Herreyns - Last Supper.jpg|Willem_Jacob_Herreyns_-_Last_Supper|섬네일|새 언약 유월절을 지킴으로써 "서로 사랑하라"는 새 계명을 지킬 수 있다.<br>윌렘 제이콥 헤린스(Willem Jacob Herreyns),〈최후의 만찬〉, 1790-1800 ]]
“서로 사랑하라”는 새 계명은, [[새 언약 유월절]]에 담긴 사랑의 원리를 깨달았을 때 실천할 수 있다. 예수님은 성도들이 새 언약 유월절을 통해 예수님의 살과 피를 함께 먹고 마심으로써 예수님 안에서 한 몸이 되게 하셨다.
“서로 사랑하라”는 새 계명은, [[새 언약 유월절]]에 담긴 사랑의 원리를 깨달았을 때 실천할 수 있다. 예수님은 성도들이 새 언약 유월절을 통해 예수님의 살과 피를 함께 먹고 마심으로써 예수님 안에서 한 몸이 되게 하셨다.
{{인용문5 |내용=우리가 축복하는 바 축복의 잔은 그리스도의 피에 참예함이 아니며 우리가 떼는 떡은 그리스도의 몸에 참예함이 아니냐 떡이 하나요 '''많은 우리가 한 몸이니''' 이는 우리가 다 한 떡에 참예함이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0장 고린도전서 10:16–17]}}
{{인용문5 |내용=우리가 축복하는 바 축복의 잔은 그리스도의 피에 참예함이 아니며 우리가 떼는 떡은 그리스도의 몸에 참예함이 아니냐 떡이 하나요 '''많은 우리가 한 몸이니''' 이는 우리가 다 한 떡에 참예함이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0장 고린도전서 10:1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