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윗: 두 판 사이의 차이

Gn (토론 | 기여)
Gn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52번째 줄: 52번째 줄:
==다윗의 업적==
==다윗의 업적==
===시온(예루살렘) 정복===
===시온(예루살렘) 정복===
이스라엘은 [[출애굽]] 후 가나안에 정착한 지 200년이 지나도록 지파 동맹 형태로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정치적, 행정적 중심지가 없다는 것도 큰 문제였다. 이스라엘 부족들의 공통점은 여호와에 대한 믿음뿐이었다. 이스라엘 부족 간 연대를 다져 나라 차원에서 백성들을 결집시키기 위해서는 국가 신앙의 중심이 될 수도가 필요했다. 다윗은 아직 이스라엘인들이 차지하지 못한, 여부스인들의 중심지인 예루살렘 시온성을 택했다. 산등성이에 자리 잡은 이곳은 오랜 전쟁에도 누구도 정복하지 못한 난공불락의 요새였다.<ref>{{인용 |url= |제목=성서 그리고 역사 |웹사이트= |저널= |출판사=황소자리 |날짜= |연도=2010 |저자=장 피에르 이즈부츠 |저자링크= |저자2= |저자링크2= |쪽=178–183 |시리즈= |언어= |번역제목= |isbn=978-89-91508-68-2 |인용문= }}</ref> <br>
이스라엘은 [[출애굽]] 후 가나안에 정착한 지 200년이 지나도록 지파 동맹 형태로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정치적, 행정적 중심지가 없다는 것도 큰 문제였다. 이스라엘 부족들의 공통점은 여호와에 대한 믿음뿐이었다. 이스라엘 부족 간 연대를 다져 나라 차원에서 백성들을 결집시키기 위해서는 국가 신앙의 중심이 될 수도가 필요했다. 다윗은 아직 이스라엘인들이 차지하지 못한, 여부스인들의 중심지인 예루살렘 시온성을 택했다. 산등성이에 자리 잡은 이곳은 오랜 전쟁에도 누구도 정복하지 못한 난공불락의 요새였다.<ref>{{인용 |url= |제목=성서 그리고 역사 |웹사이트= |저널= |출판사=황소자리 |날짜= |연도=2010 |저자=장 피에르 이즈부츠 |저자링크= |저자2= 이상원 역|저자링크2= |쪽=178–183 |시리즈= |언어= |번역제목= |isbn=978-89-91508-68-2 |인용문= }}</ref> <br>
다윗은 왕이 되자마자 시온성으로 진격했다. 어떤 통로를 이용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물을 길어 올리는 바위벽을 타고 올라가 쉽게 점령했다. 시온성은 ‘다윗성’이라고도 불렸다.<ref name="시온성"/> 시온성이 있던 예루살렘은 이스라엘 통일왕국의 수도가 되었고, 후에 다윗은 가드 사람 오벧에돔의 집에 있던 언약궤를 새 수도로 옮겨 왔다.<ref name="언약궤"/>
다윗은 왕이 되자마자 시온성으로 진격했다. 어떤 통로를 이용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물을 길어 올리는 바위벽을 타고 올라가 쉽게 점령했다. 시온성은 ‘다윗성’이라고도 불렸다.<ref name="시온성"/> 시온성이 있던 예루살렘은 이스라엘 통일왕국의 수도가 되었고, 후에 다윗은 가드 사람 오벧에돔의 집에 있던 언약궤를 새 수도로 옮겨 왔다.<ref name="언약궤"/>


원본 주소 "https://watv.kr/다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