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람나무: 두 판 사이의 차이

Sally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문자열을 "'" 문자열로
14번째 줄: 14번째 줄:
성경에 감람나무가 가장 처음 등장하는 장면은 [[노아]]의 홍수 때다. 노아가 물이 줄어들었는지 알기 위해 방주에서 비둘기를 날려보냈을 때 비둘기는 감람나무 잎사귀를 물고 돌아왔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8장|제목=창세기 8:11|인용문=저녁 때에 비둘기가 그에게로 돌아왔는데 그 입에 감람 새 잎사귀가 있는지라 이에 노아가 땅에 물이 감한 줄 알았으며}}</ref> 이에 후대인들에게 감람나무는 비둘기와 함께 평화를 상징하게 되었다.<ref>"[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6/10/2014061000227.html 올리브 나무는 왜 평화를 상징하나]", 《조선일보》, 2014. 6. 10., "올리브는 가톨릭과 유대교에서 '비둘기'와 함께 평화를 상징한다. 창세기 '노아의 방주' 이야기에서 노아는 사방이 물에 잠기자 피할 곳을 찾아보기 위해 비둘기를 날려 보냈고, 이 비둘기가 물고 온 것이 올리브 잎사귀였다. '인근에 마른 땅이 있다'는 신호였다."</ref> <br>
성경에 감람나무가 가장 처음 등장하는 장면은 [[노아]]의 홍수 때다. 노아가 물이 줄어들었는지 알기 위해 방주에서 비둘기를 날려보냈을 때 비둘기는 감람나무 잎사귀를 물고 돌아왔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8장|제목=창세기 8:11|인용문=저녁 때에 비둘기가 그에게로 돌아왔는데 그 입에 감람 새 잎사귀가 있는지라 이에 노아가 땅에 물이 감한 줄 알았으며}}</ref> 이에 후대인들에게 감람나무는 비둘기와 함께 평화를 상징하게 되었다.<ref>"[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6/10/2014061000227.html 올리브 나무는 왜 평화를 상징하나]", 《조선일보》, 2014. 6. 10., "올리브는 가톨릭과 유대교에서 '비둘기'와 함께 평화를 상징한다. 창세기 '노아의 방주' 이야기에서 노아는 사방이 물에 잠기자 피할 곳을 찾아보기 위해 비둘기를 날려 보냈고, 이 비둘기가 물고 온 것이 올리브 잎사귀였다. '인근에 마른 땅이 있다'는 신호였다."</ref> <br>
[[다윗]]은 시에서 의인을 푸른 감람나무로 표현했고,<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52장|제목=시편 52:8|인용문=오직 나는 하나님의 집에 있는 푸른 감람나무 같음이여 하나님의 인자하심을 영영히 의지하리로다}}</ref> 선지자 [[호세아]]도 의인의 아름다움이 감람나무와 같다고 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호세아#14장|제목=호세아 14:5-6|인용문=내가 이스라엘에게 이슬과 같으리니 저가 백합화 같이 피겠고 레바논 백향목 같이 뿌리가 박힐 것이라 그 가지는 퍼지며 그 아름다움은 감람나무와 같고 그 향기는 레바논 백향목 같으리니}}</ref> 의인의 후손을 어린 감람나무로 표현하기도 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128장|제목=시편 128:3|인용문=네 집 내실에 있는 네 아내는 결실한 포도나무 같으며 네 상에 둘린 자식은 어린 감람나무 같으리로다}}</ref> 한편 선지자 [[예레미야 (선지자)|예레미야]]는 [[우상]]숭배 하는 [[남 유다 왕국]] 백성들이 푸른 감람나무와 같은 아름다움을 잃어버렸다고 지적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11장|제목=예레미야 11:16|인용문=나 여호와가 그 이름을 일컬어 좋은 행실 맺는 아름다운 푸른 감람나무라 하였었으나 큰 소동 중에 그 위에 불을 피웠고 그 가지는 꺾였도다}}</ref><br>
[[다윗]]은 시에서 의인을 푸른 감람나무로 표현했고,<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52장|제목=시편 52:8|인용문=오직 나는 하나님의 집에 있는 푸른 감람나무 같음이여 하나님의 인자하심을 영영히 의지하리로다}}</ref> 선지자 [[호세아]]도 의인의 아름다움이 감람나무와 같다고 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호세아#14장|제목=호세아 14:5-6|인용문=내가 이스라엘에게 이슬과 같으리니 저가 백합화 같이 피겠고 레바논 백향목 같이 뿌리가 박힐 것이라 그 가지는 퍼지며 그 아름다움은 감람나무와 같고 그 향기는 레바논 백향목 같으리니}}</ref> 의인의 후손을 어린 감람나무로 표현하기도 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128장|제목=시편 128:3|인용문=네 집 내실에 있는 네 아내는 결실한 포도나무 같으며 네 상에 둘린 자식은 어린 감람나무 같으리로다}}</ref> 한편 선지자 [[예레미야 (선지자)|예레미야]]는 [[우상]]숭배 하는 [[남 유다 왕국]] 백성들이 푸른 감람나무와 같은 아름다움을 잃어버렸다고 지적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11장|제목=예레미야 11:16|인용문=나 여호와가 그 이름을 일컬어 좋은 행실 맺는 아름다운 푸른 감람나무라 하였었으나 큰 소동 중에 그 위에 불을 피웠고 그 가지는 꺾였도다}}</ref><br>
성경에서 기쁨과 축복을 묘사할 때 올리브기름이 언급되기도 한다. [[시편]] 기자는 하나님이 ‘즐거움의 기름’을 부으신다고 표현했으며,<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45장|제목=시편 45:7|인용문=왕이 정의를 사랑하고 악을 미워하시니 그러므로 하나님 곧 왕의 하나님이 즐거움의 기름으로 왕에게 부어 왕의 동류보다 승하게 하셨나이다}}</ref> [[요엘]]은 하나님의 축복으로 곡식과 포도주와 함께 올리브기름이 넘칠 것이라고 기록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엘#2장|제목=요엘 2:23-24|인용문=시온의 자녀들아 너희는 너희 하나님 여호와로 인하여 기뻐하며 즐거워할지어다 그가 너희를 위하여 비를 내리시되 이른 비를 너희에게 적당하게 주시리니 이른 비와 늦은 비가 전과 같을 것이라 마당에는 밀이 가득하고 독에는 새 포도주와 기름이 넘치리로다}}</ref><ref>{{웹 인용|url=https://www.bskorea.or.kr/bible/korbibReadpage.php?version=SAE&book=jol&chap=2&sec=24&cVersion=&fontSize=15px&fontWeight=normal#focus|제목=표준새번역 요엘 2:24|인용문=이제 타작 마당에는 곡식이 가득 쌓이고, 포도주와 올리브 기름을 짜는 틀마다 포도주와 기름이 넘칠 것이다.}}</ref><br>
성경에서 기쁨과 축복을 묘사할 때 올리브기름이 언급되기도 한다. [[시편]] 기자는 하나님이 ‘즐거움의 기름'을 부으신다고 표현했으며,<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45장|제목=시편 45:7|인용문=왕이 정의를 사랑하고 악을 미워하시니 그러므로 하나님 곧 왕의 하나님이 즐거움의 기름으로 왕에게 부어 왕의 동류보다 승하게 하셨나이다}}</ref> [[요엘]]은 하나님의 축복으로 곡식과 포도주와 함께 올리브기름이 넘칠 것이라고 기록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엘#2장|제목=요엘 2:23-24|인용문=시온의 자녀들아 너희는 너희 하나님 여호와로 인하여 기뻐하며 즐거워할지어다 그가 너희를 위하여 비를 내리시되 이른 비를 너희에게 적당하게 주시리니 이른 비와 늦은 비가 전과 같을 것이라 마당에는 밀이 가득하고 독에는 새 포도주와 기름이 넘치리로다}}</ref><ref>{{웹 인용|url=https://www.bskorea.or.kr/bible/korbibReadpage.php?version=SAE&book=jol&chap=2&sec=24&cVersion=&fontSize=15px&fontWeight=normal#focus|제목=표준새번역 요엘 2:24|인용문=이제 타작 마당에는 곡식이 가득 쌓이고, 포도주와 올리브 기름을 짜는 틀마다 포도주와 기름이 넘칠 것이다.}}</ref><br>


==참감람나무와 돌감람나무 비유==
==참감람나무와 돌감람나무 비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