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야 생활: 두 판 사이의 차이

Rachel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The Ten Commandments (SAYRE 13945).jpg |섬네일 | px |모세의 인도를 따라 가나안으로 향하는 이스라엘 백성, 영화 <십계>(1923) 속 한 장면]]
[[파일:The Ten Commandments (SAYRE 13945).jpg |섬네일 | px |모세의 인도를 따라 가나안으로 향하는 이스라엘 백성, 영화 <십계>(1923) 속 한 장면]]
'''광야 생활'''은 [[이스라엘]] 민족이 종살이하던 애굽(이집트)을 탈출해 약속의 땅 [[가나안]]에 들어가기까지 약 40년간 광야를 유랑했던 역사다. [[출애굽]]한 이스라엘 민족의 총인구는 20세 이상 장정의 숫자가 약 60만 명이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 |제목=출애굽기 12:37 |저널= |인용문= 이스라엘 자손이 라암셋에서 발행하여 숙곳에 이르니 유아 외에 보행하는 장정이 육십만 가량이요}}</ref>는 [[성경]]의 기록을 참고할 때, 최소 200만 명이었던 것으로 추산된다.<ref>{{웹 인용 |url=http://pub.chosun.com/client/article/viw.asp?cate=C03&nNewsNumb=20170223567&nidx=23568 |제목=출애굽 당시 이스라엘 자손 수는 얼마나 되었을까? |웹사이트= |저널=조선일보 |출판사= |날짜=2017.2. 20.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성경에는 출애굽 당시 20세 이상 장정이 60만 명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학자마다 견해 차이가 있지만 총인구 최소 200만 명 추정. }}</ref> 선지자 [[모세]]는 광야 생활의 여정을 네 권의 성경([[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에 기록했다. 광야 생활의 역사 속에는 영적 가나안인 [[천국]]을 향해 나아가는 [[그리스도인]]들을 위한 교훈이 담겨 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15장 |제목=로마서 15:4 |저널= |인용문= 무엇이든지 전에 기록한 바는 우리의 교훈을 위하여 기록된 것이니 우리로 하여금 인내로 또는 성경의 안위로 소망을 가지게 함이니라}}</ref>
'''광야 생활'''은 이스라엘 민족이 종살이하던 애굽(이집트)을 탈출해 약속의 땅 가나안에 들어가기까지 약 40년간 광야를 유랑했던 역사다. [[출애굽]]한 이스라엘 민족의 총인구는 20세 이상 장정의 숫자가 약 60만 명이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 |제목=출애굽기 12:37 |저널= |인용문= 이스라엘 자손이 라암셋에서 발행하여 숙곳에 이르니 유아 외에 보행하는 장정이 육십만 가량이요}}</ref>는 [[성경]]의 기록을 참고할 때, 최소 200만 명이었던 것으로 추산된다.<ref>{{웹 인용 |url=http://pub.chosun.com/client/article/viw.asp?cate=C03&nNewsNumb=20170223567&nidx=23568 |제목=출애굽 당시 이스라엘 자손 수는 얼마나 되었을까? |웹사이트= |저널=조선일보 |출판사= |날짜=2017. 2. 20.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성경에는 출애굽 당시 20세 이상 장정이 60만 명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학자마다 견해 차이가 있지만 총인구 최소 200만 명 추정. }}</ref> 선지자 [[모세]]는 광야 생활의 여정을 네 권의 성경([[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에 기록했다. 광야 생활의 역사 속에는 영적 가나안인 [[천국]]을 향해 나아가는 [[그리스도인]]들을 위한 교훈이 담겨 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15장 |제목=로마서 15:4 |저널= |인용문= 무엇이든지 전에 기록한 바는 우리의 교훈을 위하여 기록된 것이니 우리로 하여금 인내로 또는 성경의 안위로 소망을 가지게 함이니라}}</ref>


== 역사적 배경 ==
== 역사적 배경 ==
애굽 땅에 이주한 이스라엘 민족의 수는 세월이 흐를수록 늘어났다. 애굽 왕 바로(파라오)<ref>{{웹 인용 |url=http://www.holybible.or.kr/B_RHV/cgi/biblefinfo.php?DN=371393792&QR=%BC%D5%BF%A1&VR=0&VL=23&CN=36 |제목=이사야 36장 6절 번역본 비교 |웹사이트=Holy Bible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애굽 왕 바로는 그 의뢰하는 자에게 이와 같으니라(개역한글), 이집트 왕 파라오는 자기를 믿는 모든 자들에게 그렇게 대한다(공동번역)}}</ref>는 이스라엘 민족이 반란을 일으킬까 두려워 그들을 종으로 전락시키고 노동력을 착취하는 등 학대를 일삼았다. 이에 이스라엘 백성들이 탄식하며 부르짖었는데, 그 소리가 하나님께 상달되었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장 출애굽기 1:8-14]. "요셉을 알지 못하는 새 왕이 일어나서 애굽을 다스리더니 그가 그 신민에게 이르되 이 백성 이스라엘 자손이 우리보다 많고 강하도다 자 우리가 그들에게 대하여 지혜롭게 하자 두렵건대 그들이 더 많게 되면 전쟁이 일어날 때에 우리 대적과 합하여 우리와 싸우고 이 땅에서 갈까 하노라 하고 감독들을 그들 위에 세우고 그들에게 무거운 짐을 지워 괴롭게 하여 그들로 바로를 위하여 국고성 비돔과 라암셋을 건축하게 하니라 그러나 학대를 받을수록 더욱 번식하고 창성하니 애굽 사람이 이스라엘 자손을 인하여 근심하여 이스라엘 자손의 역사를 엄하게 하여 고역으로 그들의 생활을 괴롭게 하니 곧 흙 이기기와 벽돌 굽기와 농사의 여러 가지 일이라 그 시키는 역사가 다 엄하였더라"</ref> 하나님은 선지자 [[모세]]에게 이스라엘을 구원하라는 사명을 주셨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장 출애굽기 3:2-10].</ref> 고역에 시달리던 이스라엘은 [[유월절]]을 지킴으로, 약 400년 만에 종살이에서 해방됐다. 유월절 다음 날에 라암셋(람세스)에서 발행한 백성들은 [[홍해]]를 건너 광야 생활을 시작했다.
애굽 땅에 이주한 이스라엘 민족의 수는 세월이 흐를수록 늘어났다. 애굽 왕 [[바로 (파라오)|바로(파라오)]]<ref>{{웹 인용 |url=http://www.holybible.or.kr/B_RHV/cgi/biblefinfo.php?DN=371393792&QR=%BC%D5%BF%A1&VR=0&VL=23&CN=36 |제목=이사야 36:6 |웹사이트=Holy Bible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애굽 왕 바로는 그 의뢰하는 자에게 이와 같으니라(개역한글), 이집트 왕 파라오는 자기를 믿는 모든 자들에게 그렇게 대한다(공동번역)}}</ref>는 이스라엘 민족이 반란을 일으킬까 두려워 그들을 종으로 전락시키고 노동력을 착취하는 등 학대를 일삼았다. 이에 이스라엘 백성들이 탄식하며 부르짖었는데, 그 소리가 하나님께 상달되었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장 출애굽기 1:8-14].</ref> 하나님은 선지자 [[모세]]에게 이스라엘을 구원하라는 사명을 주셨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장 출애굽기 3:2-10].</ref> 고역에 시달리던 이스라엘은 [[유월절]]을 지킴으로, 약 400년 만에 종살이에서 해방됐다. 유월절 다음 날에 라암셋(람세스)에서 발행한 백성들은 [[홍해]]를 건너 광야 생활을 시작했다.


== 주요 사건 ==
== 주요 사건 ==
=== 제1년 ===
=== 제1년 ===
==== 만나와 안식일 ====
==== 만나와 안식일 ====
광야 생활을 시작한 지 한 달 만에 애굽에서 가져온 양식이 다 떨어졌다. 백성들은 자신들을 광야로 데려와서 굶어 죽게 한다며 그들을 인도한 모세와 [[아론]]을 원망했다. 이에 하나님은 하늘에서 양식을 비같이 내려주셨다. 아침이 되자 이슬이 진 주위를 덮었고, 이슬이 마르자 지면에 작고 둥글며 서리 같은 것이 쌓였다. 이것이 바로 '[[만나]]'다. 하나님은 만나를 내리는 시기와 분량을 통해 백성들에게 매주 제7일 [[안식일]] 지키는 법을 교육하셨다. 백성들은 이때부터 가나안 지경에 이르기까지 약 40년 동안 만나를 먹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6장 |제목=출애굽기 16:35 |저널= |인용문= 이스라엘 자손이 사람 사는 땅에 이르기까지 사십 년 동안 만나를 먹되 곧 가나안 지경에 이르기까지 그들이 만나를 먹었더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여호수아#5장 |제목=여호수아 5:12 |저널= |인용문= 그 땅 소산을 먹은 다음 날에 만나가 그쳤으니 이스라엘 사람들이 다시는 만나를 얻지 못하였고 그해에 가나안 땅의 열매를 먹었더라}}</ref>
광야 생활을 시작한 지 한 달 만에 애굽에서 가져온 양식이 다 떨어졌다. 백성들은 자신들을 광야로 데려와서 굶어 죽게 한다며 그들을 인도한 모세와 [[아론]]을 원망했다. 이에 [[하나님]]은 하늘에서 양식을 비같이 내려주셨다. 아침이 되자 이슬이 진 주위를 덮었고, 이슬이 마르자 지면에 작고 둥글며 서리 같은 것이 쌓였다. 이것이 바로 '[[만나]]'다. 하나님은 만나를 내리는 시기와 분량을 통해 백성들에게 매주 제7일 [[안식일]] 지키는 법을 교육하셨다. 백성들은 이때부터 가나안 지경에 이르기까지 약 40년 동안 만나를 먹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6장 |제목=출애굽기 16:35 |저널= |인용문= 이스라엘 자손이 사람 사는 땅에 이르기까지 사십 년 동안 만나를 먹되 곧 가나안 지경에 이르기까지 그들이 만나를 먹었더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여호수아#5장 |제목=여호수아 5:12 |저널= |인용문= 그 땅 소산을 먹은 다음 날에 만나가 그쳤으니 이스라엘 사람들이 다시는 만나를 얻지 못하였고 그해에 가나안 땅의 열매를 먹었더라}}</ref>


==== 아말렉과의 전투 ====
==== 아말렉과의 전투 ====
46번째 줄: 46번째 줄:


==== 모세와 아론의 실수 ====
==== 모세와 아론의 실수 ====
이스라엘 자손이 가데스에 거할 때 마실 물과 식량이 없자 모세와 아론에게 몰려와 왜 광야로 자신들을 인도했느냐고 따졌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0장 |제목=민수기 20:2-5 |저널= |인용문= 회중이 물이 없으므로 모여서 모세와 아론을 공박하니라 ... 너희가 어찌하여 우리를 애굽에서 나오게 하여 이 악한 곳으로 인도하였느냐 이곳에는 파종할 곳이 없고 무화과도 없고 포도도 없고 석류도 없고 마실 물도 없도다}}</ref> 하나님은 모세와 아론에게 지팡이로 반석을 쳐 물을 내라고 말씀하셨다. 그런데 모세와 아론은 백성들을 불러 모은 뒤 "패역한 너희여 들으라. '''우리가 너희를 위하여''' 이 반석에서 '''물을 내랴'''" 하고 말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0장 |제목=민수기 20:10-11 |저널= |인용문= 모세와 아론이 총회를 그 반석 앞에 모으고 모세가 그들에게 이르되 패역한 너희여 들으라 우리가 너희를 위하여 이 반석에서 물을 내랴 하고 그 손을 들어 그 지팡이로 반석을 두번 치매 물이 많이 솟아나오므로 회중과 그들의 짐승이 마시니라}}</ref>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내지 않고 자신들이 물을 주는 것처럼 말하는 실수를 범한 것이다. 이에 하나님은 모세와 아론이 가나안 땅에 들어가지 못할 것이라고 말씀하셨다.<ref name="모세 가나안">{{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0장 |제목=민수기 20:12 |저널= |인용문= 여호와께서 모세와 아론에게 이르시되 너희가 나를 믿지 아니하고 이스라엘 자손의 목전에 나의 거룩함을 나타내지 아니한 고로 너희는 이 총회를 내가 그들에게 준 땅으로 인도하여 들이지 못하리라 하시니라}}</ref> 이곳은 이스라엘 자손이 하나님과 다투었다는 의미로 '므리바(מְרִיבָה)'<ref>{{웹 인용 |url=https://dict.naver.com/hbokodict/hebrew/#/entry/hboko/306c49d9e2bc425dbc62baff4860b06b |제목=מְרִיבָה |웹사이트=고대 히브리어사전 |인용문= }}</ref>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스라엘 자손이 가데스에 거할 때 마실 물과 식량이 없자 모세와 아론에게 몰려와 왜 광야로 자신들을 인도했느냐고 따졌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0장 |제목=민수기 20:2-5 |저널= |인용문= 회중이 물이 없으므로 모여서 모세와 아론을 공박하니라 ... 너희가 어찌하여 우리를 애굽에서 나오게 하여 이 악한 곳으로 인도하였느냐 이곳에는 파종할 곳이 없고 무화과도 없고 포도도 없고 석류도 없고 마실 물도 없도다}}</ref> 하나님은 모세와 아론에게 지팡이로 반석을 쳐 물을 내라고 말씀하셨다. 그런데 모세와 아론은 백성들을 불러 모은 뒤 "패역한 너희여 들으라. '''우리가 너희를 위하여''' 이 반석에서 '''물을 내랴'''" 하고 말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0장 |제목=민수기 20:10-11 |저널= |인용문= 모세와 아론이 총회를 그 반석 앞에 모으고 모세가 그들에게 이르되 패역한 너희여 들으라 우리가 너희를 위하여 이 반석에서 물을 내랴 하고 그 손을 들어 그 지팡이로 반석을 두번 치매 물이 많이 솟아나오므로 회중과 그들의 짐승이 마시니라}}</ref>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내지 않고 자신들이 물을 주는 것처럼 말하는 실수를 범한 것이다. 이에 하나님은 모세와 아론이 가나안 땅에 들어가지 못할 것이라고 말씀하셨다.<ref name="모세 가나안">{{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0장 |제목=민수기 20:12 |저널= |인용문= 여호와께서 모세와 아론에게 이르시되 너희가 나를 믿지 아니하고 이스라엘 자손의 목전에 나의 거룩함을 나타내지 아니한 고로 너희는 이 총회를 내가 그들에게 준 땅으로 인도하여 들이지 못하리라 하시니라}}</ref> 이곳은 이스라엘 자손이 하나님과 다투었다는 의미로 '므리바(מְרִיבָה)'<ref>{{웹 인용 |url=https://dict.naver.com/hbokodict/hebrew/#/entry/hboko/306c49d9e2bc425dbc62baff4860b06b |제목=מְרִיבָה |웹사이트=네이버 고대 히브리어사전 |인용문= }}</ref>라고 불리게 되었다.


==== 불뱀 사건 ====
==== 불뱀 사건 ====
[[파일:Francesco Campora - Moisés e a serpente de bronze.jpg|섬네일|프란체스코 캄포라(Francesco Campora), <모세와 놋뱀> ]]
[[파일:Francesco Campora - Moisés e a serpente de bronze.jpg|섬네일|프란체스코 캄포라(Francesco Campora), <모세와 놋뱀> ]]
모세는 에돔 땅 변경의 호르산으로 가기 위해 에돔 왕에게 사자를 보내어 그 땅을 통행하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하지만 에돔 왕은 모세의 요청을 거절했다. 그 결과 에돔 땅을 우회하여 홍해 길 쪽으로 멀리 돌아가게 되자, 마음이 상한 백성들은 하나님을 원망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1장 |제목=민수기 21:4-5 |저널= |인용문= 백성이 호르산에서 진행하여 홍해 길로 좇아 에돔 땅을 둘러 행하려 하였다가 길로 인하여 백성의 마음이 상하니라 백성이 하나님과 모세를 향하여 원망하되 어찌하여 우리를 애굽에서 인도하여 올려서 이 광야에서 죽게 하는고 이곳에는 식물도 없고 물도 없도다 우리 마음이 이 박한 식물을 싫어하노라 하매}}</ref> 하나님은 원망하는 백성들에게 불뱀을 보내 그들을 물게 하셨고, 많은 백성이 죽어나가기 시작했다. 그러자 백성들은 모세를 찾아와 자신들이 죄를 지었다고 자복하며 뱀들이 물러가게 하나님께 기도해 달라고 간청했다. 모세의 기도에 하나님은 백성들이 살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셨다. 모세는 하나님의 말씀대로 놋뱀을 만들어 장대 위에 매달았다. 뱀에게 물린 자마다 놋뱀을 쳐다보니 살아났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1장 민수기 21:6-9]. "여호와께서 불뱀들을 백성 중에 보내어 백성을 물게 하시므로 이스라엘 백성 중에 죽은 자가 많은지라 백성이 모세에게 이르러 가로되 우리가 여호와와 당신을 향하여 원망하므로 범죄하였사오니 여호와께 기도하여 이 뱀들을 우리에게서 떠나게 하소서 모세가 백성을 위하여 기도하매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불뱀을 만들어 장대 위에 달라 물린 자마다 그것을 보면 살리라 모세가 놋뱀을 만들어 장대 위에 다니 뱀에게 물린 자마다 놋뱀을 쳐다본즉 살더라"</ref><br>
모세는 에돔 땅 변경의 호르산으로 가기 위해 에돔 왕에게 사자를 보내어 그 땅을 통행하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하지만 에돔 왕은 모세의 요청을 거절했다. 그 결과 에돔 땅을 우회하여 [[홍해]] 길 쪽으로 멀리 돌아가게 되자, 마음이 상한 백성들은 하나님을 원망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1장 |제목=민수기 21:4-5 |저널= |인용문= 백성이 호르산에서 진행하여 홍해 길로 좇아 에돔 땅을 둘러 행하려 하였다가 길로 인하여 백성의 마음이 상하니라 백성이 하나님과 모세를 향하여 원망하되 어찌하여 우리를 애굽에서 인도하여 올려서 이 광야에서 죽게 하는고 이곳에는 식물도 없고 물도 없도다 우리 마음이 이 박한 식물을 싫어하노라 하매}}</ref> 하나님은 원망하는 백성들에게 불뱀을 보내 그들을 물게 하셨고, 많은 백성이 죽어나가기 시작했다. 그러자 백성들은 모세를 찾아와 자신들이 죄를 지었다고 자복하며 뱀들이 물러가게 하나님께 기도해 달라고 간청했다. 모세의 기도에 하나님은 백성들이 살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셨다. 모세는 하나님의 말씀대로 놋뱀을 만들어 장대 위에 매달았다. 뱀에게 물린 자마다 놋뱀을 쳐다보니 살아났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1장 민수기 21:6-9]. "여호와께서 불뱀들을 백성 중에 보내어 백성을 물게 하시므로 이스라엘 백성 중에 죽은 자가 많은지라 백성이 모세에게 이르러 가로되 우리가 여호와와 당신을 향하여 원망하므로 범죄하였사오니 여호와께 기도하여 이 뱀들을 우리에게서 떠나게 하소서 모세가 백성을 위하여 기도하매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불뱀을 만들어 장대 위에 달라 물린 자마다 그것을 보면 살리라 모세가 놋뱀을 만들어 장대 위에 다니 뱀에게 물린 자마다 놋뱀을 쳐다본즉 살더라"</ref><br>
불뱀 사건 이후, 모세는 아모리인의 땅을 통과하기 위해 아모리 왕 시혼에게 사자를 보냈다. 시혼은 이스라엘의 요청을 거절하며 군사를 이끌고 나와 이스라엘을 공격했다. 이에 이스라엘은 그들과 맞서 싸웠고, 아모리인의 땅을 정복했다. 바산 왕의 땅까지 점령한 이스라엘은 요단 동편의 땅을 차지하게 됐다. 이 땅들은 나중에 르우벤 지파, 갓 지파, 므낫세 반 지파의 기업이 되었다.  
불뱀 사건 이후, 모세는 아모리인의 땅을 통과하기 위해 아모리 왕 시혼에게 사자를 보냈다. 시혼은 이스라엘의 요청을 거절하며 군사를 이끌고 나와 이스라엘을 공격했다. 이에 이스라엘은 그들과 맞서 싸웠고, 아모리인의 땅을 정복했다. 바산 왕의 땅까지 점령한 이스라엘은 요단 동편의 땅을 차지하게 됐다. 이 땅들은 나중에 르우벤 지파, 갓 지파, 므낫세 반 지파의 기업이 되었다.  


61번째 줄: 61번째 줄:
=== 가나안 입성 ===
=== 가나안 입성 ===
==== 요단강을 건넘 ====
==== 요단강을 건넘 ====
[[파일:Benjamin West - Joshua passing the River Jordan with the Ark of the Covenant - Google Art Project.jpg |섬네일 | px |벤저민 웨스트(Benjamin West), <언약궤와 더불어 요단강을 건너는 여호수아>]]
[[파일:Benjamin West - Joshua passing the River Jordan with the Ark of the Covenant - Google Art Project.jpg |섬네일 | px |벤저민 웨스트(Benjamin West), <언약궤와 더불어 요단강을 건너는 여호수아>, 1800.]]
여호수아와 이스라엘 백성들은 가나안에 들어가기 위해 [[요단강]]을 건너야 했다. 백성들이 요단을 건너려던 때는 곡식을 거두는 시기로, 강물이 둑을 넘을 정도로 범람하고 있었다. 하나님은 언약궤를 멘 제사장들의 발이 물에 잠기면 흐르는 물이 끊어져 쌓일 것이라고 말씀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여호수아#3장 |제목=여호수아 3:13 |저널= |인용문= 온 땅의 주 여호와의 궤를 멘 제사장들의 발바닥이 요단 물을 밟고 멈추면 요단 물 곧 위에서부터 흘러내리던 물이 끊어지고 쌓여 서리라}}</ref> 이스라엘 백성들은 요동치 않고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여 그대로 행했다. 그러자 강물이 끊어져 그 위로 쌓이고 마른 땅으로 건너게 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여호수아#3장 |제목=여호수아 3:15-17 |저널= |인용문= (요단이 모맥 거두는 시기에는 항상 언덕에 넘치더라) 궤를 멘 자들이 요단에 이르며 궤를 멘 제사장들의 발이 물가에 잠기자 곧 위에서부터 흘러내리던 물이 그쳐서 심히 멀리 사르단에 가까운 아담 읍 변방에 일어나 쌓이고 아라바의 바다 염해로 향하여 흘러가는 물은 온전히 끊어지매 백성이 여리고 앞으로 바로 건널새 여호와의 언약궤를 멘 제사장들은 요단 가운데 마른 땅에 굳게 섰고 온 이스라엘 백성은 마른 땅으로 행하여 요단을 건너니라}}</ref> 모든 백성이 강을 건너고 언약궤를 멘 제사장들이 강에서 올라오자, 동시에 강물이 제자리로 돌아와 이전처럼 강둑에 넘쳐흘렀다. 1월 10일에 요단을 건넌 이스라엘 백성들은 [[여리고]] 동편 길갈에 진을 치고, 요단강에서 가져온 12개의 돌을 그곳에 세웠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여호수아#4장 |제목=여호수아 4:19-20 |저널= |인용문= 정월 십 일에 백성이 요단에서 올라와서 여리고 동편 지경 길갈에 진 치매 여호수아가 그 요단에서 가져온 열두 돌을 길갈에 세우고}}</ref>
여호수아와 이스라엘 백성들은 가나안에 들어가기 위해 [[요단강]]을 건너야 했다. 백성들이 요단을 건너려던 때는 곡식을 거두는 시기로, 강물이 둑을 넘을 정도로 범람하고 있었다. 하나님은 언약궤를 멘 제사장들의 발이 물에 잠기면 흐르는 물이 끊어져 쌓일 것이라고 말씀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여호수아#3장 |제목=여호수아 3:13 |저널= |인용문= 온 땅의 주 여호와의 궤를 멘 제사장들의 발바닥이 요단 물을 밟고 멈추면 요단 물 곧 위에서부터 흘러내리던 물이 끊어지고 쌓여 서리라}}</ref> 이스라엘 백성들은 요동치 않고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여 그대로 행했다. 그러자 강물이 끊어져 그 위로 쌓이고 마른 땅으로 건너게 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여호수아#3장 |제목=여호수아 3:15-17 |저널= |인용문= (요단이 모맥 거두는 시기에는 항상 언덕에 넘치더라) 궤를 멘 자들이 요단에 이르며 궤를 멘 제사장들의 발이 물가에 잠기자 곧 위에서부터 흘러내리던 물이 그쳐서 심히 멀리 사르단에 가까운 아담 읍 변방에 일어나 쌓이고 아라바의 바다 염해로 향하여 흘러가는 물은 온전히 끊어지매 백성이 여리고 앞으로 바로 건널새 여호와의 언약궤를 멘 제사장들은 요단 가운데 마른 땅에 굳게 섰고 온 이스라엘 백성은 마른 땅으로 행하여 요단을 건너니라}}</ref> 모든 백성이 강을 건너고 언약궤를 멘 제사장들이 강에서 올라오자, 동시에 강물이 제자리로 돌아와 이전처럼 강둑에 넘쳐흘렀다. 1월 10일에 요단을 건넌 이스라엘 백성들은 [[여리고]] 동편 길갈에 진을 치고, 요단강에서 가져온 12개의 돌을 그곳에 세웠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여호수아#4장 |제목=여호수아 4:19-20 |저널= |인용문= 정월 십 일에 백성이 요단에서 올라와서 여리고 동편 지경 길갈에 진 치매 여호수아가 그 요단에서 가져온 열두 돌을 길갈에 세우고}}</ref>


150번째 줄: 150번째 줄:
| <center>에드레이</center> || 바산 왕 옥의 영토를 정복함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1장 민 21:33-35]<br>[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3장 신 3:1-12]
| <center>에드레이</center> || 바산 왕 옥의 영토를 정복함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1장 민 21:33-35]<br>[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3장 신 3:1-12]
|-
|-
| <center>아라바 광야</center> || 모세가 하나님께 받은 율법을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설명함(11월 1일<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1장 |제목=신명기 1:3-4 |저널= |인용문= 제사십년 십일월 그달 초일일에 모세가 이스라엘 자손에게 여호와께서 그들을 위하여 자기에게 주신 명령을 다 고하였으니 때는 모세가 헤스본에 거하는 아모리 왕 시혼을 쳐 죽이고 에드레이에서 아스다롯에 거하는 바산 왕 옥을 쳐 죽인 후라}}</ref>)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1장 신 1:1-28:68]
| <center>아라바 광야</center> || 모세가 하나님께 받은 [[모세의 율법|율법]]을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설명함(11월 1일<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1장 |제목=신명기 1:3-4 |저널= |인용문= 제사십년 십일월 그달 초일일에 모세가 이스라엘 자손에게 여호와께서 그들을 위하여 자기에게 주신 명령을 다 고하였으니 때는 모세가 헤스본에 거하는 아모리 왕 시혼을 쳐 죽이고 에드레이에서 아스다롯에 거하는 바산 왕 옥을 쳐 죽인 후라}}</ref>)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1장 신 1:1-28:68]
|-
|-
| rowspan="7" | <center>모압 평지<br>(싯딤)</center> || 모압 왕 발락이 미디안 술사 발람에게 이스라엘을 저주하라고 명했지만 오히려 이스라엘을 축복함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2장 민 22:1-24:25]
| rowspan="7" | <center>모압 평지<br>(싯딤)</center> || 모압 왕 발락이 미디안 술사 발람에게 이스라엘을 저주하라고 명했지만 오히려 이스라엘을 축복함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2장 민 22:1-24:25]
184번째 줄: 184번째 줄:
== 광야 생활 인구조사 ==
== 광야 생활 인구조사 ==
이스라엘 백성들은 광야에서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총 2회 인구조사를 했다. '''1차 인구조사'''는 애굽에서 나온 후 제2년 2월 1일에 시내 광야에서 진행했다. 20세 이상 싸움에 나갈 만한 장정의 수를 세어 보니 60만 3550명이었다.<ref name=":0">{{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장 |제목=민수기 1:45-46 |저널= |인용문= 이같이 이스라엘 자손의 그 종족을 따라 이십 세 이상으로 싸움에 나갈 만한 자가 이스라엘 중에서 다 계수함을 입었으니 계수함을 입은 자의 총계가 육십만 삼천오백오십 명이었더라}}</ref> 이때 레위 지파는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성막을 담당하는 봉사를 맡았으므로 장정 숫자에서 제외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장 |제목=민수기 1:49-50 |저널= |인용문= 레위 지파만은 너는 계수치 말며 그들을 이스라엘 자손 계수 중에 넣지 말고 그들로 증거막과 그 모든 기구와 그 모든 부속품을 관리하게 하라 그들은 그 장막과 그 모든 기구를 운반하며 거기서 봉사하며 장막 사면에 진을 칠지며}}</ref><br>
이스라엘 백성들은 광야에서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총 2회 인구조사를 했다. '''1차 인구조사'''는 애굽에서 나온 후 제2년 2월 1일에 시내 광야에서 진행했다. 20세 이상 싸움에 나갈 만한 장정의 수를 세어 보니 60만 3550명이었다.<ref name=":0">{{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장 |제목=민수기 1:45-46 |저널= |인용문= 이같이 이스라엘 자손의 그 종족을 따라 이십 세 이상으로 싸움에 나갈 만한 자가 이스라엘 중에서 다 계수함을 입었으니 계수함을 입은 자의 총계가 육십만 삼천오백오십 명이었더라}}</ref> 이때 레위 지파는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성막을 담당하는 봉사를 맡았으므로 장정 숫자에서 제외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장 |제목=민수기 1:49-50 |저널= |인용문= 레위 지파만은 너는 계수치 말며 그들을 이스라엘 자손 계수 중에 넣지 말고 그들로 증거막과 그 모든 기구와 그 모든 부속품을 관리하게 하라 그들은 그 장막과 그 모든 기구를 운반하며 거기서 봉사하며 장막 사면에 진을 칠지며}}</ref><br>
하나님은 가나안에 들어가기 직전 요단강 동편 모압 평지에서 '''2차 인구조사'''를 명하셨다. 약 40년 만에 레위인을 제외하고 20세 이상의 장정 수를 세어보니 60만 1730명으로, 1차 조사 때와 비교해 큰 차이가 없었다.<ref name=":1">{{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6장 |제목=민수기 26:51 |저널= |인용문= 이스라엘 자손의 계수함을 입은 자가 육십만 일천칠백삼십 명이었더라}}</ref> 1차 인구조사 때 시내 광야에서 계수된 이스라엘 자손은 하나님의 말씀대로 모두 광야에서 죽고, 오직 하나님께 온전히 순종한 갈렙과 여호수아 그리고 백성들을 인도한 모세만 남아 있었다. 하나님은 인구조사 결과를 토대로 가나안 땅을 나눠주어 기업을 삼게 하라고 하셨다.<br>
하나님은 가나안에 들어가기 직전 요단강 동편 모압 평지에서 '''2차 인구조사'''를 명하셨다. 약 40년 만에 [[레위인]]을 제외하고 20세 이상의 장정 수를 세어보니 60만 1730명으로, 1차 조사 때와 비교해 큰 차이가 없었다.<ref name=":1">{{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6장 |제목=민수기 26:51 |저널= |인용문= 이스라엘 자손의 계수함을 입은 자가 육십만 일천칠백삼십 명이었더라}}</ref> 1차 인구조사 때 시내 광야에서 계수된 이스라엘 자손은 하나님의 말씀대로 모두 광야에서 죽고, 오직 하나님께 온전히 순종한 갈렙과 여호수아 그리고 백성들을 인도한 모세만 남아 있었다. 하나님은 인구조사 결과를 토대로 가나안 땅을 나눠주어 기업을 삼게 하라고 하셨다.<br>
야곱이 모든 식솔을 이끌고 애굽으로 이주할 때 그들의 숫자는 70명에 불과했다. 그러나 애굽에서 큰 민족을 이루게 해주신다는 하나님의 약속을 힘입어, [[출애굽]] 당시에는 20세 이상의 장정의 수만 60만 명에 이르렀다.<ref name=":0" /> 그런데 광야에서 40년을 지내고 가나안 땅에 들어가기 전에 조사했을 때는 숫자가 조금도 늘지 않고 그대로 60만 명에 그치고 말았다.<ref name=":1"/> 하나님의 축복으로 놀랍게 번성하던 이스라엘 백성들의 성장은 광야에서 많은 사람이 시험에 빠져 죽으며 멈춰버렸다.  
야곱이 모든 식솔을 이끌고 애굽으로 이주할 때 그들의 숫자는 70명에 불과했다. 그러나 애굽에서 큰 민족을 이루게 해주신다는 하나님의 약속을 힘입어, [[출애굽]] 당시에는 20세 이상의 장정의 수만 60만 명에 이르렀다.<ref name=":0" /> 그런데 광야에서 40년을 지내고 가나안 땅에 들어가기 전에 조사했을 때는 숫자가 조금도 늘지 않고 그대로 60만 명에 그치고 말았다.<ref name=":1"/> 하나님의 축복으로 놀랍게 번성하던 이스라엘 백성들의 성장은 광야에서 많은 사람이 시험에 빠져 죽으며 멈춰버렸다.  


205번째 줄: 205번째 줄:
== 각주 ==
== 각주 ==
<references />
<references />
{{이스라엘 둘러보기}}


[[분류: 성경 상식]]
[[분류: 성경 상식]]
[[분류: 성경 용어]]
[[분류: 성경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