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윗의 뿌리: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문자열을 "'" 문자열로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다윗의 뿌리(영어: The Root of David)는 [[그리스도]]를 가리키는 칭호 중 하나다. | 다윗의 뿌리(영어: The Root of David)는 [[그리스도]]를 가리키는 칭호 중 하나다. '이새의 뿌리'에서 유래된 말로,<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11장 |제목=이사야 11:1, 10 |인용문=이새의 줄기에서 한 싹이 나며 그 뿌리에서 한 가지가 나서 결실할 것이요 ... 그날에 이새의 뿌리에서 한 싹이 나서 만민의 기호로 설 것이요 열방이 그에게로 돌아오리니 그 거한 곳이 영화로우리라}}</ref> 이스라엘 통일왕국 제2대 왕인 [[다윗]]이 이새의 혈통에서 태어났듯 [[메시아]]가 다윗의 혈통을 통해 탄생하신 것을 나타낸 표현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1장 |제목=로마서 1:3–4 |인용문=이 아들로 말하면 육신으로는 다윗의 혈통에서 나셨고 성결의 영으로는 죽은 가운데서 부활하여 능력으로 하나님의 아들로 인정되셨으니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시니라}}</ref><br> | ||
'다윗의 뿌리'라는 말은 [[요한계시록]]에 2번 나오며, 일곱 인으로 봉해진 하나님의 책을 개봉할 수 있는 유일한 존재로 예언되었다. | |||
==다윗의 뿌리와 진리의 개봉== | ==다윗의 뿌리와 진리의 개봉== |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인용문5 |내용= 나 '''예수'''는 교회들을 위하여 내 사자를 보내어 이것들을 너희에게 증거하게 하였노라 나는 '''다윗의 뿌리'''요 자손이니 곧 광명한 새벽별이라 하시더라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2장 요한계시록 22:16] }} | {{인용문5 |내용= 나 '''예수'''는 교회들을 위하여 내 사자를 보내어 이것들을 너희에게 증거하게 하였노라 나는 '''다윗의 뿌리'''요 자손이니 곧 광명한 새벽별이라 하시더라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2장 요한계시록 22:16] }} | ||
요한계시록 5장에 예언된 다윗의 뿌리는 2000년 전의 예수님이 아니라 [[재림 예수님 (재림 그리스도)|재림 예수님]]을 뜻한다. 새 언약 진리가 사라지고 사람의 계명이 만연해져 하나님의 책이 봉해진 때는 예수님 승천 후이기 때문이다.<br> | 요한계시록 5장에 예언된 다윗의 뿌리는 2000년 전의 예수님이 아니라 [[재림 예수님 (재림 그리스도)|재림 예수님]]을 뜻한다. 새 언약 진리가 사라지고 사람의 계명이 만연해져 하나님의 책이 봉해진 때는 예수님 승천 후이기 때문이다.<br> | ||
또한 요한계시록 5장에서는 하나님의 책을 개봉하는 인물이 | 또한 요한계시록 5장에서는 하나님의 책을 개봉하는 인물이 '다윗의 뿌리'라고 한 동시에 '일찍 죽임을 당한 어린양'이 책의 인봉을 뗀다고 했다. | ||
{{인용문5 |내용=내가 또 보니 보좌와 네 생물과 장로들 사이에 '''어린양'''이 섰는데 '''일찍 죽임을 당한 것 같더라''' ... 어린양이 나아와서 보좌에 앉으신 이의 오른손에서 책을 취하시니라 ... 책을 가지시고 그 '''인봉을 떼기에 합당하시도다'''|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5장 요한계시록 5:6–9] }} | {{인용문5 |내용=내가 또 보니 보좌와 네 생물과 장로들 사이에 '''어린양'''이 섰는데 '''일찍 죽임을 당한 것 같더라''' ... 어린양이 나아와서 보좌에 앉으신 이의 오른손에서 책을 취하시니라 ... 책을 가지시고 그 '''인봉을 떼기에 합당하시도다'''|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5장 요한계시록 5:6–9] }} | ||
다윗의 뿌리가 곧 일찍 죽임을 당한 어린양이다. 어린양 역시 예수님에 대한 표현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장 |제목=요한복음 1:29 |인용문=이튿날 요한이 예수께서 자기에게 나아오심을 보고 가로되 보라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양이로다}}</ref> 어린양의 죽음은 예수님의 십자가 희생을 의미하므로 | 다윗의 뿌리가 곧 일찍 죽임을 당한 어린양이다. 어린양 역시 예수님에 대한 표현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장 |제목=요한복음 1:29 |인용문=이튿날 요한이 예수께서 자기에게 나아오심을 보고 가로되 보라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양이로다}}</ref> 어린양의 죽음은 예수님의 십자가 희생을 의미하므로 '일찍 죽임을 당한 어린양'은 십자가 고난 이후 등장하실 다시 오시는 예수님이다. 즉 다윗의 뿌리가 봉해진 책을 개봉한다는 예언은, 이 세상에 재림한 예수님이 새 언약 진리를 회복해 인류에게 다시 구원을 베푸실 예언이다. | ||
==다윗의 뿌리 안상홍님== | ==다윗의 뿌리 안상홍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