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교절: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무교절의 유래== | ==무교절의 유래== | ||
[[야곱]]과 그 가족이 애굽(이집트)으로 이주한 이후, 이스라엘은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0312&cid=50762&categoryId=51387 고센] 땅에서 큰 민족을 이루었다. 그러나 [[요셉 (야곱의 아들)|요셉]]을 알지 못하는 새로운 바로(파라오)가 등극하면서 이스라엘 백성은 애굽의 노예로 전락했다. 그들은 약 400년 동안 애굽의 국고성 비돔과 라암셋을 건축하는 등 힘들고 위험한 노역을 담당했다. 이스라엘 백성의 부르짖음이 하늘에 닿자 [[하나님]]은 그들을 인도해 내기 위해 선지자 [[모세]]를 보내셨다.<br>애굽에는 아홉 가지 재앙에 이어 각 가정의 모든 [[장자]]가 죽음을 당하는 큰 재앙이 내렸다. 이에 바로가 하나님의 권능에 굴복하면서 이스라엘 백성들은 유월절을 지킨 다음 날 애굽을 떠나게 되었다. 급히 나오느라 다른 양식을 준비하지 못한 백성들은 발교되지 못한 반죽으로 떡을 구워 양식을 삼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 |제목=출애굽기 12:29-39 |저널= |인용문= | [[야곱]]과 그 가족이 애굽(이집트)으로 이주한 이후, 이스라엘은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0312&cid=50762&categoryId=51387 고센] 땅에서 큰 민족을 이루었다. 그러나 [[요셉 (야곱의 아들)|요셉]]을 알지 못하는 새로운 [[바로 (파라오)|바로(파라오)]]가 등극하면서 이스라엘 백성은 애굽의 노예로 전락했다. 그들은 약 400년 동안 애굽의 국고성 비돔과 라암셋을 건축하는 등 힘들고 위험한 노역을 담당했다. 이스라엘 백성의 부르짖음이 하늘에 닿자 [[하나님]]은 그들을 인도해 내기 위해 선지자 [[모세]]를 보내셨다.<br>애굽에는 아홉 가지 재앙에 이어 각 가정의 모든 [[장자]]가 죽음을 당하는 큰 재앙이 내렸다. 이에 바로가 하나님의 권능에 굴복하면서 이스라엘 백성들은 유월절을 지킨 다음 날 애굽을 떠나게 되었다. 급히 나오느라 다른 양식을 준비하지 못한 백성들은 발교되지 못한 반죽으로 떡을 구워 양식을 삼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 |제목=출애굽기 12:29-39 |저널= |인용문= }}</ref><br> | ||
성력 1월 15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1719&cid=50762&categoryId=51387 라암셋]에서 출발한 이스라엘 백성들은 [[홍해]] 앞 해변에 도착해 진을 쳤다. 그 수는 남자(장정)의 숫자만도 60만에 달했다. 노동 인력을 잃게 된 바로는 마음이 돌변해 그들을 다시 잡아들이라 명하고 직접 병거를 몰고 군대를 이끌며 추격에 나섰다. 바로의 군대가 눈으로 볼 수 있는 거리까지 접근해 오자 이스라엘 백성들은 두려움과 공포에 휩싸여 하나님께 부르짖고 모세를 원망하기 시작했다. 앞에는 바다가 가로놓이고 뒤에는 적군들이 쫓아오는, 그야말로 진퇴양난의 상황이었다. | 성력 1월 15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1719&cid=50762&categoryId=51387 라암셋]에서 출발한 이스라엘 백성들은 [[홍해]] 앞 해변에 도착해 진을 쳤다. 그 수는 남자(장정)의 숫자만도 60만에 달했다. 노동 인력을 잃게 된 바로는 마음이 돌변해 그들을 다시 잡아들이라 명하고 직접 병거를 몰고 군대를 이끌며 추격에 나섰다. 바로의 군대가 눈으로 볼 수 있는 거리까지 접근해 오자 이스라엘 백성들은 두려움과 공포에 휩싸여 하나님께 부르짖고 모세를 원망하기 시작했다. 앞에는 바다가 가로놓이고 뒤에는 적군들이 쫓아오는, 그야말로 진퇴양난의 상황이었다. | ||
{{인용문5 |내용=애굽 사람들과 바로의 말들, 병거들과 그 마병과 그 군대가 그들의 뒤를 따라 바알스본 맞은편 비하히롯 곁 해변 그 장막 친 데 미치니라 바로가 가까와 올 때에 이스라엘 자손이 눈을 들어 본즉 애굽 사람들이 자기 뒤에 미친지라 이스라엘 자손이 심히 두려워하여 여호와께 부르짖고 …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어찌하여 내게 부르짖느뇨 이스라엘 자손을 명하여 앞으로 나가게 하고 지팡이를 들고 손을 바다 위로 내밀어 그것으로 갈라지게 하라 이스라엘 자손이 바다 가운데 육지로 행하리라 내가 애굽 사람들의 마음을 강퍅케 할 것인즉 그들이 그 뒤를 따라 들어갈 것이라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4장 출애굽기 14:9-17]}} | {{인용문5 |내용=애굽 사람들과 바로의 말들, 병거들과 그 마병과 그 군대가 그들의 뒤를 따라 바알스본 맞은편 비하히롯 곁 해변 그 장막 친 데 미치니라 바로가 가까와 올 때에 이스라엘 자손이 눈을 들어 본즉 애굽 사람들이 자기 뒤에 미친지라 이스라엘 자손이 심히 두려워하여 여호와께 부르짖고 …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어찌하여 내게 부르짖느뇨 이스라엘 자손을 명하여 앞으로 나가게 하고 지팡이를 들고 손을 바다 위로 내밀어 그것으로 갈라지게 하라 이스라엘 자손이 바다 가운데 육지로 행하리라 내가 애굽 사람들의 마음을 강퍅케 할 것인즉 그들이 그 뒤를 따라 들어갈 것이라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4장 출애굽기 14:9-17]}} | ||
| 23번째 줄: | 23번째 줄: | ||
===신약시대 === | ===신약시대 === | ||
이스라엘 백성들이 홍해를 건너기까지 받은 고난은 | 이스라엘 백성들이 홍해를 건너기까지 받은 고난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난을 표상한다. 신약시대에 와서는 성도들이 이날에 [[예배]]를 드리고 [[금식]](禁食)함으로써 [[그리스도]]의 고난에 동참한다. | ||
{{인용문5 |내용=그러나 신랑을 빼앗길 날이 이르리니 그날에는 금식할 것이니라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2장 마가복음 2:20]}} | {{인용문5 |내용=그러나 신랑을 빼앗길 날이 이르리니 그날에는 금식할 것이니라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2장 마가복음 2:20]}} | ||
==예언 성취 == | ==예언 성취 == | ||
무교절은 고난의 절기로, 그 실상은 장차 예수 그리스도가 제자들과 함께 마지막 유월절을 지키신 후에 이튿날 | 무교절은 고난의 절기로, 그 실상은 장차 예수 그리스도가 제자들과 함께 마지막 유월절을 지키신 후에 이튿날 [[십자가]]를 지시고 육신이 운명하시는 때까지 받으실 고난을 표상한 것이다. 유월절 밤에 잡히신 예수님은 그때로부터 고난을 받으시고 다음 날에는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까지 장장 6시간 동안 십자가에 매달려 고통당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제목=마태복음 26-27장 |저널= |인용문= }}</ref> 인류의 죄를 대신할 속죄 제물로서<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0장 |제목=마태복음 20:28 |저널= |인용문=인자가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 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니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5장 |제목=고린도전서 5:7 |저널= |인용문=너희는 누룩 없는 자인데 새 덩어리가 되기 위하여 묵은 누룩을 내어 버리라 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이 되셨느니라 }}</ref> [[성경]]의 예언대로 찔리시고, 상하시고, 채찍에 맞으시고, 곤욕과 심문을 당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53장 |제목=이사야 53:5-8 |저널= |인용문=그가 찔림은 우리의 허물을 인함이요 그가 상함은 우리의 죄악을 인함이라 그가 징계를 받음으로 우리가 평화를 누리고 그가 채찍에 맞음으로 우리가 나음을 입었도다 우리는 다 양 같아서 그릇 행하여 각기 제 길로 갔거늘 여호와께서는 우리 무리의 죄악을 그에게 담당시키셨도다 그가 곤욕을 당하여 괴로울 때에도 그 입을 열지 아니하였음이여 마치 도수장으로 끌려가는 어린양과 털 깎는 자 앞에 잠잠한 양같이 그 입을 열지 아니하였도다 그가 곤욕과 심문을 당하고 끌려갔으니 }}</ref> | ||
이스라엘 백성들이 홍해에 들어간 것은 예수께서 무덤 속에 들어가실 것을, 홍해에서 상륙한 것은 [[예수님의 부활]]을 표상한다. [[침례 (세례)|침례]]는 이러한 뜻을 잘 나타내는 예식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0장 |제목=고린도전서 10:1-2 |저널= |인용문=형제들아 너희가 알지 못하기를 내가 원치 아니하노니 우리 조상들이 다 구름 아래 있고 바다 가운데로 지나며 모세에게 속하여 다 구름과 바다에서 침례를 받고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베드로전서#3장 |제목=베드로전서 3:21 |저널= |인용문=물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하심으로 말미암아 이제 너희를 구원하는 표니 곧 침례라 육체의 더러운 것을 제하여 버림이 아니요 오직 선한 양심이 하나님을 향하여 찾아가는 것이라 }}</ref> 누구든지 믿고 침례를 받으면 홍해를 건너 믿음의 광야로 들어간 사람이 된다. 무교절을 지켜 그리스도와 함께 고난에 참여할 때, 앞으로 당할 환난과 시련을 능히 감당할 수 있도록 하나님께로부터 능력을 받게 되고 [[부활]]의 영광에도 동참하게 된다.<ref>김주철, 《내 양은 내 음성을 듣나니》, 멜기세덱출판사, 2017, 193쪽</ref> | 이스라엘 백성들이 홍해에 들어간 것은 예수께서 무덤 속에 들어가실 것을, 홍해에서 상륙한 것은 [[예수님의 부활]]을 표상한다. [[침례 (세례)|침례]]는 이러한 뜻을 잘 나타내는 예식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0장 |제목=고린도전서 10:1-2 |저널= |인용문=형제들아 너희가 알지 못하기를 내가 원치 아니하노니 우리 조상들이 다 구름 아래 있고 바다 가운데로 지나며 모세에게 속하여 다 구름과 바다에서 침례를 받고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베드로전서#3장 |제목=베드로전서 3:21 |저널= |인용문=물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하심으로 말미암아 이제 너희를 구원하는 표니 곧 침례라 육체의 더러운 것을 제하여 버림이 아니요 오직 선한 양심이 하나님을 향하여 찾아가는 것이라 }}</ref> 누구든지 믿고 침례를 받으면 홍해를 건너 믿음의 광야로 들어간 사람이 된다. 무교절을 지켜 그리스도와 함께 고난에 참여할 때, 앞으로 당할 환난과 시련을 능히 감당할 수 있도록 하나님께로부터 능력을 받게 되고 [[부활]]의 영광에도 동참하게 된다.<ref>김주철, 《내 양은 내 음성을 듣나니》, 멜기세덱출판사, 2017, 193쪽</re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