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 하나님: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문자열을 """ 문자열로
56번째 줄: 56번째 줄:
'신은 모든 곳에 있을 수 없기에 어머니를 만들었다'는 격언이 있다. 신이 정말 모든 곳에 있을 능력이 없어서 어머니를 존재케 했다는 뜻이 아니라, 자녀를 향한 어머니의 사랑이 그만큼 무한하고 자녀를 위해서라면 어머니는 마치 신과 같이 초인적인 힘을 발휘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br>
'신은 모든 곳에 있을 수 없기에 어머니를 만들었다'는 격언이 있다. 신이 정말 모든 곳에 있을 능력이 없어서 어머니를 존재케 했다는 뜻이 아니라, 자녀를 향한 어머니의 사랑이 그만큼 무한하고 자녀를 위해서라면 어머니는 마치 신과 같이 초인적인 힘을 발휘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br>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90755 안데르센]의 작품 '[https://en.wikipedia.org/wiki/The_Story_of_a_Mother 어머니 이야기]'에 등장하는 어머니는 잃어버린 아들을 찾기 위해 가시나무의 요구대로 품에 가시나무를 안아 피를 흘리고, 자신의 고운 머리카락을 노파의 백발과 바꾼다. 호수의 신에게는 눈까지 빼어 준다. 동화이기 때문에 어머니의 사랑을 과장되게 묘사했다고 생각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자녀를 위해서라면 그 무엇도 아끼지 않는 것이 어머니의 사랑임을 누구나 알고 공감하기 때문이다. <br>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90755 안데르센]의 작품 '[https://en.wikipedia.org/wiki/The_Story_of_a_Mother 어머니 이야기]'에 등장하는 어머니는 잃어버린 아들을 찾기 위해 가시나무의 요구대로 품에 가시나무를 안아 피를 흘리고, 자신의 고운 머리카락을 노파의 백발과 바꾼다. 호수의 신에게는 눈까지 빼어 준다. 동화이기 때문에 어머니의 사랑을 과장되게 묘사했다고 생각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자녀를 위해서라면 그 무엇도 아끼지 않는 것이 어머니의 사랑임을 누구나 알고 공감하기 때문이다. <br>
실제로 극한 상황에서 오직 자녀만을 생각한 어머니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존재한다. 1988년 12월, 아르메니아 중부에 7.0 규모의 강진이<ref>{{웹 인용 |url=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0273 |제목=아르메니아지진 |웹사이트= |저널=두피디아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1988년 12월 7일 오전 11시 41분(현지시간), 터키 북동쪽에 있는 아르메니아에서 발생한 지진. }}</ref> 발생했을 당시 한 어머니(Susanna Petrosyan)가 네 살 딸과 함께 무너진 건물 속에 갇혔다. 딸이 목말라하자 어머니는 유리 조각으로 자신의 손가락을 찔러 딸에게 피를 주었다. 어린 딸은 어머니의 사랑으로 추위와 배고픔을 견딜 수 있었고, 모녀는 극적으로 살아서 구조되었다. 어머니는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나는 내가 죽을 거라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딸은 살기를 바랐습니다.”<ref>{{웹 인용 |url=https://apnews.com/article/edb7271a218c0874df4479740ec5d340 |제목=Trapped Woman Gave Daughter Her Blood to Keep Her Alive |웹사이트= |저널=AP NEWS |출판사= |날짜=1988.12.29. |연도= |저자=JOHN-THOR DAHLBURG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I knew I was going to die,″ Mrs. Petrosyan said. ″But I wanted my daughter to live.″}}</ref> <br>
실제로 극한 상황에서 오직 자녀만을 생각한 어머니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존재한다. 1988년 12월, 아르메니아 중부에 7.0 규모의 강진이<ref>{{웹 인용 |url=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0273 |제목=아르메니아지진 |웹사이트= |저널=두피디아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1988년 12월 7일 오전 11시 41분(현지시간), 터키 북동쪽에 있는 아르메니아에서 발생한 지진. }}</ref> 발생했을 당시 한 어머니(Susanna Petrosyan)가 네 살 딸과 함께 무너진 건물 속에 갇혔다. 딸이 목말라하자 어머니는 유리 조각으로 자신의 손가락을 찔러 딸에게 피를 주었다. 어린 딸은 어머니의 사랑으로 추위와 배고픔을 견딜 수 있었고, 모녀는 극적으로 살아서 구조되었다. 어머니는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나는 내가 죽을 거라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딸은 살기를 바랐습니다.”<ref>{{웹 인용 |url=https://apnews.com/article/edb7271a218c0874df4479740ec5d340 |제목=Trapped Woman Gave Daughter Her Blood to Keep Her Alive |웹사이트= |저널=AP NEWS |출판사= |날짜=1988.12.29. |연도= |저자=JOHN-THOR DAHLBURG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I knew I was going to die,″ Mrs. Petrosyan said. ″But I wanted my daughter to live.″}}</ref> <br>
2008년 중국 쓰촨성 지진<ref>{{웹 인용 |url=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97130 |제목=2008년 쓰촨성 대지진 |웹사이트= |저널=두피디아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2008년 5월 12일 중국 쓰촨성 원촨현에서 발생한 규모 8.0의 대지진. }}</ref> 때에는 흙더미 속에서 아이를 품에 꼭 안은 어머니가 발견되기도 했고,<ref>{{웹 인용 |url=https://www.ytn.co.kr/_ln/0104_200809050235413274 |제목=지진참사 현장에 핀 모성애 |웹사이트= |저널=YTN |출판사= |날짜=2008.09.05.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국내에서는 불이 난 아파트에서 한 어머니가 온몸으로 불길을 막아 다섯 살 아들을 살리고 떠난 일도 있었다.<ref>{{웹 인용 |url= https://www.ytn.co.kr/_ln/0103_201501242056573472 |제목=불길 속 아들 구한 엄마 하늘나라로 |웹사이트= |저널=YTN |출판사= |날짜=2015.1.24.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사람은 위험이 닥치면 본능적으로 자신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한다. 그러나 어머니는 자신보다 자녀의 안위가 먼저다. 어머니는 자녀에게 이미 생명을 주었지만, 자녀를 위해서라면 자신의 단 하나뿐인 목숨도 아끼지 않는다. 사람이 가진 가장 큰 사랑은 자녀를 향한 어머니의 사랑이다.
2008년 중국 쓰촨성 지진<ref>{{웹 인용 |url=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97130 |제목=2008년 쓰촨성 대지진 |웹사이트= |저널=두피디아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2008년 5월 12일 중국 쓰촨성 원촨현에서 발생한 규모 8.0의 대지진. }}</ref> 때에는 흙더미 속에서 아이를 품에 꼭 안은 어머니가 발견되기도 했고,<ref>{{웹 인용 |url=https://www.ytn.co.kr/_ln/0104_200809050235413274 |제목=지진참사 현장에 핀 모성애 |웹사이트= |저널=YTN |출판사= |날짜=2008.09.05.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국내에서는 불이 난 아파트에서 한 어머니가 온몸으로 불길을 막아 다섯 살 아들을 살리고 떠난 일도 있었다.<ref>{{웹 인용 |url= https://www.ytn.co.kr/_ln/0103_201501242056573472 |제목=불길 속 아들 구한 엄마 하늘나라로 |웹사이트= |저널=YTN |출판사= |날짜=2015.1.24.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사람은 위험이 닥치면 본능적으로 자신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한다. 그러나 어머니는 자신보다 자녀의 안위가 먼저다. 어머니는 자녀에게 이미 생명을 주었지만, 자녀를 위해서라면 자신의 단 하나뿐인 목숨도 아끼지 않는다. 사람이 가진 가장 큰 사랑은 자녀를 향한 어머니의 사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