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계명: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문자열을 "'" 문자열로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문자열을 """ 문자열로
1번째 줄: 1번째 줄:
[[File:Jerusalem-Menora-36-Gesetzestafeln-2010-gje.jpg|Jerusalem-Menora-36-Gesetzestafeln-2010-gje|섬네일|230px|히브리어로 기록된 십계명(이스라엘 입법부에 있는 청동 촛대 조각상<sup>Knesset Menorah</sup>의 일부) ]]
[[File:Jerusalem-Menora-36-Gesetzestafeln-2010-gje.jpg|Jerusalem-Menora-36-Gesetzestafeln-2010-gje|섬네일|230px|히브리어로 기록된 십계명(이스라엘 입법부에 있는 청동 촛대 조각상<sup>Knesset Menorah</sup>의 일부) ]]
십계명 중 '''첫째 계명'''은 '''나 외에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다. [[하나님]]이 시내산에서 [[십계명]]을 반포할 때 으뜸으로 삼으신 계명이다. 신약시대 [[예수 그리스도]]는 가장 크고 첫째 되는 계명이 '''마음과 목숨과 뜻을 다해 하나님을 사랑하라'''”라고 하셨다. 이를 '가장 큰 계명', '대계명'이라고도 한다. 신구약의 첫째 계명이 상충하는 내용은 아니다. 하나님을 마음 다해 사랑하면 다른 신을 섬기지 않고 하나님만 섬기게 되기 때문이다. <br>
십계명 중 '''첫째 계명'''은 "'''나 외에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다. [[하나님]]이 시내산에서 [[십계명]]을 반포할 때 으뜸으로 삼으신 계명이다. 신약시대 [[예수 그리스도]]는 가장 크고 첫째 되는 계명이 "'''마음과 목숨과 뜻을 다해 하나님을 사랑하라'''”라고 하셨다. 이를 '가장 큰 계명', '대계명'이라고도 한다. 신구약의 첫째 계명이 상충하는 내용은 아니다. 하나님을 마음 다해 사랑하면 다른 신을 섬기지 않고 하나님만 섬기게 되기 때문이다. <br>
하나님의 첫째 계명에 대해 확실하게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첫째 계명을 이룰 수 있는 원리를 아는 사람은 더더욱 적다. [[구약성경]]에는 하나님을 믿고 사랑한다고 자부했던 이스라엘 백성이 다른 신과 우상을 섬긴 역사가 수없이 기록되었다. 인간의 생각과 방법으로는 첫째 계명을 이루지 못한다. 다른 신을 섬기지 않고 오직 하나님만 섬기고 사랑할 수 있는 방법은 [[하나님의 계명]], [[유월절]]을 지키는 것이다.
하나님의 첫째 계명에 대해 확실하게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첫째 계명을 이룰 수 있는 원리를 아는 사람은 더더욱 적다. [[구약성경]]에는 하나님을 믿고 사랑한다고 자부했던 이스라엘 백성이 다른 신과 우상을 섬긴 역사가 수없이 기록되었다. 인간의 생각과 방법으로는 첫째 계명을 이루지 못한다. 다른 신을 섬기지 않고 오직 하나님만 섬기고 사랑할 수 있는 방법은 [[하나님의 계명]], [[유월절]]을 지키는 것이다.


9번째 줄: 9번째 줄:
{{인용문5 |내용= '''너는 나 외에는 다른 신들을 네게 있게 말지니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0장 출애굽기 20:3] }}
{{인용문5 |내용= '''너는 나 외에는 다른 신들을 네게 있게 말지니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0장 출애굽기 20:3] }}
첫째 계명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와 '나(하나님)만 섬기라'다. 하나님이 무조건 '나 외에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는 독재적인 요구를 하신 것이 아니다. 첫째 계명을 주신 이유는 하나님이 애굽(이집트)에서 종노릇하던 이스라엘을 구원하신 구원자이기 때문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3장|제목=출애굽기 13:3|인용문= 모세가 백성에게 이르되 너희는 애굽에서 곧 종 되었던 집에서 나온 그날을 기념하여 유교병을 먹지 말라 여호와께서 그 손의 권능으로 너희를 그곳에서 인도하여 내셨음이니라}}</ref> 그래서 하나님은 첫째 계명을 말할 때 '애굽에서 인도한 너희 하나님'이라는 말을 앞에 붙이셨다.
첫째 계명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와 '나(하나님)만 섬기라'다. 하나님이 무조건 '나 외에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는 독재적인 요구를 하신 것이 아니다. 첫째 계명을 주신 이유는 하나님이 애굽(이집트)에서 종노릇하던 이스라엘을 구원하신 구원자이기 때문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3장|제목=출애굽기 13:3|인용문= 모세가 백성에게 이르되 너희는 애굽에서 곧 종 되었던 집에서 나온 그날을 기념하여 유교병을 먹지 말라 여호와께서 그 손의 권능으로 너희를 그곳에서 인도하여 내셨음이니라}}</ref> 그래서 하나님은 첫째 계명을 말할 때 '애굽에서 인도한 너희 하나님'이라는 말을 앞에 붙이셨다.
* “나는 너를 '''애굽 땅, 종 되었던 집에서 인도하여 낸 너의 하나님''' 여호와로라 너는 '''나 외에는 다른 신들을 네게 있게 말지니라'''”([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0장 출애굽기 20:2–3])
* "나는 너를 '''애굽 땅, 종 되었던 집에서 인도하여 낸 너의 하나님''' 여호와로라 너는 '''나 외에는 다른 신들을 네게 있게 말지니라'''”([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0장 출애굽기 20:2–3])
* “나는 너를 '''애굽 땅에서 종 되었던 집에서 인도하여 낸 너희 하나님''' 여호와로라 '''나 외에는 위하는 신들을 네게 있게 말지니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5장 신명기 5:6–7])
* "나는 너를 '''애굽 땅에서 종 되었던 집에서 인도하여 낸 너희 하나님''' 여호와로라 '''나 외에는 위하는 신들을 네게 있게 말지니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5장 신명기 5:6–7])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을 애굽에서 인도하신 날은 유월절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제목=출애굽기 12:27–42|인용문= 이는 여호와의 유월절 제사라 여호와께서 애굽 사람을 치실 때에 애굽에 있는 이스라엘 자손의 집을 넘으사 우리의 집을 구원하셨느니라 하라 하매 백성이 머리 숙여 경배하니라 ... 이 밤은 그들을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심을 인하여 여호와 앞에 지킬 것이니 이는 여호와의 밤이라 이스라엘 자손이 다 대대로 지킬 것이니라}}</ref> 권능의 손길로 유월절에 이스라엘 백성들을 인도해 내셨으므로 구속하신 날인 유월절을 지키라 하셨고, [[구속주]]이신 하나님 외에 다른 신들을 섬기지 말라고 하신 것이다.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을 애굽에서 인도하신 날은 유월절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제목=출애굽기 12:27–42|인용문= 이는 여호와의 유월절 제사라 여호와께서 애굽 사람을 치실 때에 애굽에 있는 이스라엘 자손의 집을 넘으사 우리의 집을 구원하셨느니라 하라 하매 백성이 머리 숙여 경배하니라 ... 이 밤은 그들을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심을 인하여 여호와 앞에 지킬 것이니 이는 여호와의 밤이라 이스라엘 자손이 다 대대로 지킬 것이니라}}</ref> 권능의 손길로 유월절에 이스라엘 백성들을 인도해 내셨으므로 구속하신 날인 유월절을 지키라 하셨고, [[구속주]]이신 하나님 외에 다른 신들을 섬기지 말라고 하신 것이다.


44번째 줄: 44번째 줄:


* '''여로보암의 죄'''
* '''여로보암의 죄'''
:옛적 북 이스라엘 초대 왕 여로보암은 백성들이 유월절을 비롯한 [[하나님의 절기]]를 지키기 위해 [[예루살렘]]으로 가는 일을 막으려 했다. 그래서 금송아지 둘을 만들어 벧엘과 단에 하나씩 두고 백성들에게 “이스라엘아, 이는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올린 너희 신이라”고 하며, 하나님이 정하신 예배일이 아닌 다른 날로 절기를 정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12장|제목=열왕기상 12:25–33|인용문= 여로보암이 ... 두 금송아지를 만들고 무리에게 말하기를 너희가 다시는 예루살렘에 올라갈 것이 없도다 이스라엘아 이는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올린 너희 신이라 하고 하나는 벧엘에 두고 하나는 단에 둔지라 ... 저가 또 산당들을 짓고 레위 자손 아닌 보통 백성으로 제사장을 삼고 8월 곧 그 달 15일로 절기를 정하여 유다의 절기와 비슷하게 하고 단에 올라가되 벧엘에서 그와 같이 행하여 그 만든 송아지에게 제사를 드렸으며 그 지은 산당의 제사장은 벧엘에서 세웠더라 저가 자기 마음대로 정한 달 곧 8월 15일로 이스라엘 자손을 위하여 절기로 정하고 벧엘에 쌓은 단에 올라가서 분향하였더라}}</ref> 이로써 북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절기를 버림과 동시에 하나님을 믿는다는 명분 아래 다른 신을 섬기게 되었다. 이 역사 역시 유월절을 지키지 않으면 자기 자신도 알지 못하는 순간에 다른 신을 섬기게 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사례다.
:옛적 북 이스라엘 초대 왕 여로보암은 백성들이 유월절을 비롯한 [[하나님의 절기]]를 지키기 위해 [[예루살렘]]으로 가는 일을 막으려 했다. 그래서 금송아지 둘을 만들어 벧엘과 단에 하나씩 두고 백성들에게 "이스라엘아, 이는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올린 너희 신이라”고 하며, 하나님이 정하신 예배일이 아닌 다른 날로 절기를 정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12장|제목=열왕기상 12:25–33|인용문= 여로보암이 ... 두 금송아지를 만들고 무리에게 말하기를 너희가 다시는 예루살렘에 올라갈 것이 없도다 이스라엘아 이는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올린 너희 신이라 하고 하나는 벧엘에 두고 하나는 단에 둔지라 ... 저가 또 산당들을 짓고 레위 자손 아닌 보통 백성으로 제사장을 삼고 8월 곧 그 달 15일로 절기를 정하여 유다의 절기와 비슷하게 하고 단에 올라가되 벧엘에서 그와 같이 행하여 그 만든 송아지에게 제사를 드렸으며 그 지은 산당의 제사장은 벧엘에서 세웠더라 저가 자기 마음대로 정한 달 곧 8월 15일로 이스라엘 자손을 위하여 절기로 정하고 벧엘에 쌓은 단에 올라가서 분향하였더라}}</ref> 이로써 북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절기를 버림과 동시에 하나님을 믿는다는 명분 아래 다른 신을 섬기게 되었다. 이 역사 역시 유월절을 지키지 않으면 자기 자신도 알지 못하는 순간에 다른 신을 섬기게 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사례다.


====역사의 반복====
====역사의 반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