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양의 아내 (신부):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문자열을 "'" 문자열로 |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문자열을 """ 문자열로 |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어린양의 혼인 잔치에 청함을 입은, 복 있는 자가 되려면 신랑과 신부를 알아야 한다. 신랑은 어린양이며 신부는 어린양의 아내이다. 같은 단어라도 문맥에 따라 전혀 다른 뜻을 지니는 경우가 있는데, 성경에서 '어린양'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뜻을 지닌다. <br> | 어린양의 혼인 잔치에 청함을 입은, 복 있는 자가 되려면 신랑과 신부를 알아야 한다. 신랑은 어린양이며 신부는 어린양의 아내이다. 같은 단어라도 문맥에 따라 전혀 다른 뜻을 지니는 경우가 있는데, 성경에서 '어린양'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뜻을 지닌다. <br> | ||
첫째는, 아직 성체가 되지 않은 양(羊)으로서 [[구약의 제사#번제|번제]]를 드릴 때 제물로 바치던 '''짐승'''을 뜻한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 |제목=출애굽기 12:21 |저널= |인용문= 모세가 이스라엘 모든 장로를 불러서 그들에게 이르되 너희는 나가서 너희 가족대로 어린양을 택하여 유월절 양으로 잡고 }}</ref><br> | 첫째는, 아직 성체가 되지 않은 양(羊)으로서 [[구약의 제사#번제|번제]]를 드릴 때 제물로 바치던 '''짐승'''을 뜻한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 |제목=출애굽기 12:21 |저널= |인용문= 모세가 이스라엘 모든 장로를 불러서 그들에게 이르되 너희는 나가서 너희 가족대로 어린양을 택하여 유월절 양으로 잡고 }}</ref><br> | ||
둘째는, '''성도'''를 뜻한다. 예수님은 당신을 목자로, 성도들을 양으로 비유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0장 |제목=요한복음 10:16 |저널= |인용문= 또 이 우리에 들지 아니한 다른 양들이 내게 있어 내가 인도하여야 할 터이니 저희도 내 음성을 듣고 한 무리가 되어 한 목자에게 있으리라 }}</ref> 승천하시기 전에는 베드로에게 성도들을 부탁한다는 뜻으로 “내 어린양을 | 둘째는, '''성도'''를 뜻한다. 예수님은 당신을 목자로, 성도들을 양으로 비유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0장 |제목=요한복음 10:16 |저널= |인용문= 또 이 우리에 들지 아니한 다른 양들이 내게 있어 내가 인도하여야 할 터이니 저희도 내 음성을 듣고 한 무리가 되어 한 목자에게 있으리라 }}</ref> 승천하시기 전에는 베드로에게 성도들을 부탁한다는 뜻으로 “내 어린양을 먹이라"고 말씀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21장 |제목=요한복음 21:15 |저널= |인용문= 저희가 조반 먹은 후에 예수께서 시몬 베드로에게 이르시되 요한의 아들 시몬아 네가 이 사람들보다 나를 더 사랑하느냐 하시니 가로되 주여 그러하외다 내가 주를 사랑하는 줄 주께서 아시나이다 가라사대 내 어린양을 먹이라 하시고 }}</ref> 아직 영적으로 장성하지 못해 보살핌이 필요한 성도들을 어린양으로 표현하신 것이다.<br> | ||
셋째는, '''그리스도'''를 뜻한다. 구약시대에 희생 제물로 드려지던 양의 실체가 예수님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5장 |제목=고린도전서 5:7 |저널= |인용문= 너희는 누룩 없는 자인데 새 덩어리가 되기 위하여 묵은 누룩을 내어버리라 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이 되셨느니라 }}</ref> 침례 요한은 예수님을 보고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 셋째는, '''그리스도'''를 뜻한다. 구약시대에 희생 제물로 드려지던 양의 실체가 예수님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5장 |제목=고린도전서 5:7 |저널= |인용문= 너희는 누룩 없는 자인데 새 덩어리가 되기 위하여 묵은 누룩을 내어버리라 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이 되셨느니라 }}</ref> 침례 요한은 예수님을 보고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양"이라고 말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장 |제목=요한복음 1:29 |저널= |인용문= 이튿날 요한이 예수께서 자기에게 나아오심을 보고 가로되 보라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양이로다 }}</ref> 사도 요한은 예수님을 가리켜 '일찍 죽임을 당한 어린양'이라 기록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5장 |제목=요한계시록 5:6 |저널= |인용문= 내가 또 보니 보좌와 네 생물과 장로들 사이에 어린양이 섰는데 일찍 죽임을 당한 것 같더라 }}</ref><br> | ||
이 세 가지 뜻 중에서 천국 혼인 잔치의 어린양은 예수님을 가리킨다. 성도를 어린양으로 비유한 구절을 근거로 혼인 잔치의 어린양 역시 성도라고 주장할 수는 없다. 사도 요한이 계시로 본 어린양은 아내가 있으므로 2000년 전 이 땅에 오신 예수님이 아닌 [[재림 예수님 (재림 그리스도)|재림 예수님]]이다. [[성삼위일체]]로 볼 때, 신부와 함께 성도들을 천국 혼인 잔치로 초청하는 어린양은 아버지 하나님을 의미한다. | 이 세 가지 뜻 중에서 천국 혼인 잔치의 어린양은 예수님을 가리킨다. 성도를 어린양으로 비유한 구절을 근거로 혼인 잔치의 어린양 역시 성도라고 주장할 수는 없다. 사도 요한이 계시로 본 어린양은 아내가 있으므로 2000년 전 이 땅에 오신 예수님이 아닌 [[재림 예수님 (재림 그리스도)|재림 예수님]]이다. [[성삼위일체]]로 볼 때, 신부와 함께 성도들을 천국 혼인 잔치로 초청하는 어린양은 아버지 하나님을 의미한다. | ||
| 40번째 줄: | 40번째 줄: | ||
세상에서 찬송받을 예루살렘은 하늘 어머니를 상징한다. 여호와께서 예루살렘을 세운다는 뜻은 아버지 하나님께서 어머니 하나님을 증거하신다는 뜻이다. 어린양인 재림 그리스도의 증거를 받는 분이 어린양의 아내 곧 신부인 것이다. 옛적 아담 역시 그 아내 하와를 직접 증거했다. | 세상에서 찬송받을 예루살렘은 하늘 어머니를 상징한다. 여호와께서 예루살렘을 세운다는 뜻은 아버지 하나님께서 어머니 하나님을 증거하신다는 뜻이다. 어린양인 재림 그리스도의 증거를 받는 분이 어린양의 아내 곧 신부인 것이다. 옛적 아담 역시 그 아내 하와를 직접 증거했다. | ||
{{인용문5 |내용= 여호와 하나님이 아담에게서 취하신 그 갈빗대로 여자를 만드시고 그를 아담에게로 이끌어 오시니 '''아담이 가로되 이는 내 뼈 중의 뼈요 살 중의 살이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2장 창세기 2:22-23]}} | {{인용문5 |내용= 여호와 하나님이 아담에게서 취하신 그 갈빗대로 여자를 만드시고 그를 아담에게로 이끌어 오시니 '''아담이 가로되 이는 내 뼈 중의 뼈요 살 중의 살이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2장 창세기 2:22-23]}} | ||
아담은 아내를 가리켜 “이는 내 뼈 중의 뼈요 살 중의 | 아담은 아내를 가리켜 “이는 내 뼈 중의 뼈요 살 중의 살이라" 하며 하와(생명)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3장 |제목=창세기 3:20 |저널= |인용문= 아담이 그 아내를 하와[난하주-생명]라 이름하였으니 그는 모든 산 자의 어미가 됨이더라}}</ref> 아담이 자기 아내를 생명이라 명명한 것은 재림 그리스도가 생명의 실체이신 어머니 하나님을 선포하실 일의 그림자다. 재림 그리스도 [[안상홍|안상홍님]]은 성경에 예언된 대로, 기약이 이르러 어린양의 아내(신부)이신 [[하늘 어머니]]를 친히 알려주셨다. 마지막 때 등장하시는 하늘 아버지와 어머니를 믿고 따르는 자들이, 어린양의 혼인 잔치에 청함을 입어 영원한 천국에 나아갈 복된 자들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19장 |제목=요한계시록 19:9 |저널= |인용문= 천사가 내게 말하기를 기록하라 어린양의 혼인 잔치에 청함을 입은 자들이 복이 있도다 }}</ref> | ||
==같이 보기== | ==같이 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