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문자열을 "'" 문자열로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문자열을 """ 문자열로
3번째 줄: 3번째 줄:


==어원==
==어원==
교회라는 명칭의 기원은 구약성경 '카할(קָהָל)'<ref>"[https://dict.naver.com/hbokodict/hebrew/#/entry/hboko/5dc6200c3e8b4edb840ca3f4a5142864 קָהָל]", 《고대 히브리어사전》</ref>에서 찾을 수 있다. '회중' 또는 '모임'이라는 뜻을 가진 카할은 종교적인 의미뿐 아니라<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하#30장 |제목=역대하 30:17 |저널= |인용문=회중에 많은 사람이 성결케 하지 못한고로 레위 사람들이 모든 부정한 사람을 위하여 유월절 양을 잡아 저희로 여호와 앞에서 성결케 하였으나}}</ref> 일반적으로도 널리 사용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상#29장 |제목=역대상 29:1 |저널= |인용문=다윗 왕이 온 회중에게 이르되 내 아들 솔로몬이 홀로 하나님의 택하신 바 되었으나 오히려 어리고 연약하고 이 역사는 크도다 이 전은 사람을 위한 것이 아니요 여호와 하나님을 위한 것이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26장 |제목=예레미야 26:17 |저널= |인용문=때에 그 땅 장로 중 몇 사람이 일어나 백성의 온 회중에 말하여 가로되}}</ref> 구약의 '카할'이 신약성경에서 헬라어 '에클레시아(ἐκκλησία)'라는 단어로 사용되었다. 에클레시아는 '함께 불러내서 만남', '불러내서 모인 사람들'이라는 뜻으로 한글판 성경에 '교회'로 번역되었다.<ref>"교회", 《아가페 성경사전》, 아가페 서원, 1996. 137쪽, "신약의 헬라어 '에클레시아'는 구약의 히브리어 '카할'이 지닌 회중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단어로 문자적으로는 “함께 불러내서 만남”이라는 뜻이 된다."</ref><ref>"[http://www.duranno.com/bdictionary/result_vision_detail.asp?cts_id=20153 회중(Assembly)]", 하용조, 《비전성경사전》, 두란노, 2001, "특별한 목적을 위해 한 곳에 모인 많은 사람의 무리를 말한다(레 8:3; 민 3:7; 14:36; 15:33; 수 9:19; 시 89:7). 구약에서는 히브리어로 '회막에 붙여야 할 자'란 뜻의 '에다'(edah)와 '함께 부르심을 받은 자'란 뜻의 '카할'(qahal)이 쓰였으며(출 12:6, 19; 레 4:13) 하나님과 관계되어 구별된 이스라엘 백성들을 가리켰다(출 12:19; 16:2; 민 16:3; 20:22). 신약성경에서는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받은 사람들의 무리(행 19:32, 41)인 교회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 교회로 번역된 헬라어 '에클레시아'는 70인역 성경이 히브리어 '카할'(qahal)을 옮긴 것이다. 히브리어 '카할'(qahal)은 개역성경에서 '집회'(창 49:6; 시 26:5)나 '총회'(민 19:20; 20:12; 신 9:10; 삿 20:2; 기타)로도 번역되었다."</ref> 교회를 의미하는 영어 '처치(Church)'는 '주(主)께 속하는' 또는 '주의 것'이라는 뜻의 헬라어 '퀴리아코스(κυριακος)'<ref>"[https://dict.naver.com/grckodict/ancientgreek/#/entry/grcko/cf3f38d77f834fbea89afb57150756c6 κυριακος]", 《고대 그리스어사전》
교회라는 명칭의 기원은 구약성경 '카할(קָהָל)'<ref>"[https://dict.naver.com/hbokodict/hebrew/#/entry/hboko/5dc6200c3e8b4edb840ca3f4a5142864 קָהָל]", 《고대 히브리어사전》</ref>에서 찾을 수 있다. '회중' 또는 '모임'이라는 뜻을 가진 카할은 종교적인 의미뿐 아니라<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하#30장 |제목=역대하 30:17 |저널= |인용문=회중에 많은 사람이 성결케 하지 못한고로 레위 사람들이 모든 부정한 사람을 위하여 유월절 양을 잡아 저희로 여호와 앞에서 성결케 하였으나}}</ref> 일반적으로도 널리 사용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상#29장 |제목=역대상 29:1 |저널= |인용문=다윗 왕이 온 회중에게 이르되 내 아들 솔로몬이 홀로 하나님의 택하신 바 되었으나 오히려 어리고 연약하고 이 역사는 크도다 이 전은 사람을 위한 것이 아니요 여호와 하나님을 위한 것이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26장 |제목=예레미야 26:17 |저널= |인용문=때에 그 땅 장로 중 몇 사람이 일어나 백성의 온 회중에 말하여 가로되}}</ref> 구약의 '카할'이 신약성경에서 헬라어 '에클레시아(ἐκκλησία)'라는 단어로 사용되었다. 에클레시아는 '함께 불러내서 만남', '불러내서 모인 사람들'이라는 뜻으로 한글판 성경에 '교회'로 번역되었다.<ref>"교회", 《아가페 성경사전》, 아가페 서원, 1996. 137쪽, "신약의 헬라어 '에클레시아'는 구약의 히브리어 '카할'이 지닌 회중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단어로 문자적으로는 “함께 불러내서 만남"이라는 뜻이 된다."</ref><ref>"[http://www.duranno.com/bdictionary/result_vision_detail.asp?cts_id=20153 회중(Assembly)]", 하용조, 《비전성경사전》, 두란노, 2001, "특별한 목적을 위해 한 곳에 모인 많은 사람의 무리를 말한다(레 8:3; 민 3:7; 14:36; 15:33; 수 9:19; 시 89:7). 구약에서는 히브리어로 '회막에 붙여야 할 자'란 뜻의 '에다'(edah)와 '함께 부르심을 받은 자'란 뜻의 '카할'(qahal)이 쓰였으며(출 12:6, 19; 레 4:13) 하나님과 관계되어 구별된 이스라엘 백성들을 가리켰다(출 12:19; 16:2; 민 16:3; 20:22). 신약성경에서는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받은 사람들의 무리(행 19:32, 41)인 교회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 교회로 번역된 헬라어 '에클레시아'는 70인역 성경이 히브리어 '카할'(qahal)을 옮긴 것이다. 히브리어 '카할'(qahal)은 개역성경에서 '집회'(창 49:6; 시 26:5)나 '총회'(민 19:20; 20:12; 신 9:10; 삿 20:2; 기타)로도 번역되었다."</ref> 교회를 의미하는 영어 '처치(Church)'는 '주(主)께 속하는' 또는 '주의 것'이라는 뜻의 헬라어 '퀴리아코스(κυριακος)'<ref>"[https://dict.naver.com/grckodict/ancientgreek/#/entry/grcko/cf3f38d77f834fbea89afb57150756c6 κυριακος]", 《고대 그리스어사전》
</ref>에서 유래되었다.
</ref>에서 유래되었다.


원본 주소 "https://watv.kr/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