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엘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문자열을 """ 문자열로 |
편집 요약 없음 |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사무엘하 시대 배경== | ==사무엘하 시대 배경== | ||
다윗은 30세에 이스라엘의 왕이 되어 40년간 통치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5장 |제목=사무엘하 5:4 |저널= |인용문= 다윗이 삼십 세에 위에 나아가서 사십 년을 다스렸으되}}</ref> 다윗이 매사에 | 다윗은 30세에 이스라엘의 왕이 되어 40년간 통치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5장 |제목=사무엘하 5:4 |저널= |인용문= 다윗이 삼십 세에 위에 나아가서 사십 년을 다스렸으되}}</ref> 다윗이 매사에 [[하나님]]을 찾으며 의뢰하므로 그가 다스리는 동안 이스라엘은 번성하고 나라는 점점 부강해졌다. | ||
==사무엘하의 내용 구성== | ==사무엘하의 내용 구성== | ||
| 46번째 줄: | 46번째 줄: | ||
===사울의 죽음을 애도한 다윗[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1장 (1장)]=== | ===사울의 죽음을 애도한 다윗[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1장 (1장)]=== | ||
블레셋과의 전투에서 | 블레셋과의 전투에서 [[사울]]과 그의 아들들이 최후를 맞았다. 다윗은 자신을 죽이려는 사울 때문에 오랫동안 피신 다녔지만, 하나님께 기름 부음 받은 사울의 죽음을 애도했다. | ||
===왕이 된 다윗[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2장 (2-5장)]=== | ===왕이 된 다윗[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2장 (2-5장)]=== | ||
| 52번째 줄: | 52번째 줄: | ||
다윗은 유다 지파의 왕이 되었다. 나머지 이스라엘 지파들은 사울의 아들 이스보셋이 다스렸다. 다윗과 이스보셋의 군대가 여러 번 전쟁을 벌였지만, 다윗이 다스리는 유다 지파의 힘이 더 강했다.<br> | 다윗은 유다 지파의 왕이 되었다. 나머지 이스라엘 지파들은 사울의 아들 이스보셋이 다스렸다. 다윗과 이스보셋의 군대가 여러 번 전쟁을 벌였지만, 다윗이 다스리는 유다 지파의 힘이 더 강했다.<br> | ||
* '''전 이스라엘의 왕이 된 다윗(5장)'''<br> | * '''전 이스라엘의 왕이 된 다윗(5장)'''<br> | ||
이스보셋이 죽자 이스라엘 모든 | 이스보셋이 죽자 이스라엘 모든 [[열두 지파|지파]]가 다윗을 왕으로 삼기를 바랐다. 다윗은 이스라엘 전체를 다스리는 왕으로 기름 부음 받았다.<br> | ||
이스라엘 백성들은 [[출애굽]] 후 가나안을 정복했지만, [[시온]]만큼은 정복하지 못했다. 시온성에 살고 있던 여부스 사람들은 다윗도 시온성을 정복하지 못할 것이라며 비웃었다. 그러나 다윗은 시온성을 정복하고 그곳을 [[다윗성]]이라 이름했다. 하나님이 함께하시므로 다윗은 갈수록 세력이 강성해졌다. | 이스라엘 백성들은 [[출애굽]] 후 가나안을 정복했지만, [[시온]]만큼은 정복하지 못했다. 시온성에 살고 있던 여부스 사람들은 다윗도 시온성을 정복하지 못할 것이라며 비웃었다. 그러나 다윗은 시온성을 정복하고 그곳을 [[다윗성]]이라 이름했다. 하나님이 함께하시므로 다윗은 갈수록 세력이 강성해졌다. | ||
===예루살렘으로 옮겨진 언약궤[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6장 (6장)]=== | ===예루살렘으로 옮겨진 언약궤[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6장 (6장)]=== | ||
다윗은 아비나답의 집에 보관돼 있던 [[언약궤]]를 [[예루살렘]]으로 옮겨오기로 했다. 언약궤를 수레에 싣고 이동하던 중 웃사가 손으로 언약궤를 붙잡았다가 목숨을 잃었다. 언약궤는 가드에 사는 오벧에돔의 집에 임시로 보관됐다. 언약궤가 머무는 동안 오벧에돔과 온 집이 축복을 받았다.<br> | 다윗은 아비나답의 집에 보관돼 있던 [[언약궤]]를 [[예루살렘]]으로 옮겨오기로 했다. 언약궤를 수레에 싣고 이동하던 중 웃사가 손으로 언약궤를 붙잡았다가 목숨을 잃었다. 언약궤는 가드에 사는 오벧에돔의 집에 임시로 보관됐다. 언약궤가 머무는 동안 오벧에돔과 온 집이 축복을 받았다.<br> | ||
석 달 후에 다윗은 다시 언약궤를 다윗성으로 옮겨오기로 하고, 하나님께 [[구약의 제사|제사]]를 드렸다. | 석 달 후에 다윗은 다시 언약궤를 다윗성으로 옮겨오기로 하고, 하나님께 [[구약의 제사|제사]]를 드렸다. [[제사장]]들이 언약궤를 어깨에 메고 성으로 들어올 때, 다윗과 백성들은 함께 환호하고 언약궤 옆에서 춤추며 기뻐했다. | ||
===다윗이 성전 건축을 소원함[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7장 (7장)]=== | ===다윗이 성전 건축을 소원함[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7장 (7장)]=== | ||
| 72번째 줄: | 72번째 줄: | ||
===다윗의 범죄와 회개[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11장 (11-12장)]=== | ===다윗의 범죄와 회개[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11장 (11-12장)]=== | ||
다윗이 우리아의 아내 밧세바를 아내로 맞는 큰 죄를 저지르자 하나님께서 선지자 나단을 보내 다윗을 꾸짖으셨다. 다윗은 나단에게 자신의 죄를 고백하고 하나님 앞에 회개했다.<br> | 다윗이 우리아의 아내 밧세바를 아내로 맞는 큰 죄를 저지르자 하나님께서 선지자 나단을 보내 다윗을 꾸짖으셨다. 다윗은 나단에게 자신의 죄를 고백하고 하나님 앞에 회개했다.<br> | ||
이후 밧세바가 다윗에게 낳은 첫 아들이 죽고, 두 번째 낳은 아들이 [[솔로몬]]이다. 하나님은 솔로몬에게 여디디야(' | 이후 밧세바가 다윗에게 낳은 첫 아들이 죽고, 두 번째 낳은 아들이 [[솔로몬]]이다. 하나님은 솔로몬에게 여디디야('[[여호와]]께 사랑을 입음'이란 뜻)라는 이름을 주셨다. | ||
===압살롬의 반란[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13장 (13-19장)]=== | ===압살롬의 반란[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13장 (13-19장)]=== | ||
| 86번째 줄: | 86번째 줄: | ||
===인구조사와 그 결과[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24장 (24장)]=== | ===인구조사와 그 결과[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24장 (24장)]=== | ||
다윗이 자신의 권력을 과시하기 위해 이스라엘 인구조사를 벌였다. 다윗은 양심의 가책을 느끼고, 하나님께 죄를 자백했다. 죄의 대가로 3일 동안 이스라엘에 전염병이 내려 7만 명이 죽었다.<br> | 다윗이 자신의 권력을 과시하기 위해 이스라엘 인구조사를 벌였다. 다윗은 양심의 가책을 느끼고, 하나님께 죄를 자백했다. 죄의 대가로 3일 동안 이스라엘에 전염병이 내려 7만 명이 죽었다.<br> | ||
전염병을 내리는 | 전염병을 내리는 [[천사]]가 예루살렘에 이르렀을 때, 선지자 갓이 다윗에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4580&cid=50762&categoryId=51387 아라우나(오르난)의 타작 마당]으로 가서 하나님께 번제를 드리라고 말했다. 다윗이 아라우나의 타작 마당을 사고, 그곳에서 하나님께 이스라엘과 백성들을 위해 번제를 드리자 이스라엘에 전염병이 그쳤다. | ||
==같이 보기== | ==같이 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