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람나무: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문자열을 """ 문자열로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문자열을 """ 문자열로
6번째 줄: 6번째 줄:
==감람나무의 용도==
==감람나무의 용도==
[[파일:Bénouville, Samuel sacrant David.jpg |섬네일 | 250픽셀 |이스라엘에서는 왕, 선지자, 제사장이 될 인물의 머리에 올리브기름을 부었다. 프랑수아 레옹 베누빌 작 〈다윗에게 기름을 붓는 사무엘〉]]
[[파일:Bénouville, Samuel sacrant David.jpg |섬네일 | 250픽셀 |이스라엘에서는 왕, 선지자, 제사장이 될 인물의 머리에 올리브기름을 부었다. 프랑수아 레옹 베누빌 작 〈다윗에게 기름을 붓는 사무엘〉]]
감람나무 가지는 [[초막절]]에 초막을 짓는 데에 사용되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느헤미야#8장|제목=느헤미야 8:15|인용문=또 일렀으되 모든 성읍과 예루살렘에 공포하여 이르기를 너희는 산에 가서 감람나무 가지와 들 감람나무 가지와 화석류나무 가지와 종려나무 가지와 기타 무성한 나무 가지를 취하여 기록한 바를 따라 초막을 지으라 하라 하였는지라}}</ref> [[솔로몬]] 시대 세운 [[성전]]에서는 [[지성소]]의 그룹 천사와 지성소로 들어가는 문을 감람목으로 만들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장|제목=신명기 24:23-32|인용문=내소 안에 감람목으로 두 그룹을 만들었는데 그 고가 각각 십 규빗이라 ... 내소에 들어가는 곳에는 감람목으로 문을 만들었는데 그 문 인방과 문설주는 벽의 오분지 일이요 감람목으로 만든 그 두 문짝에 그룹과 종려와 핀 꽃을 아로새기고 금으로 입히되 곧 그룹들과 종려에 금으로 입혔더라}}</ref><ref>"감람나무", 《새성경 사전》, 기독교문서선교회, 1996, 59쪽, "솔로몬 성전의 그룹은 감람목으로 장식하였다(왕상 6:23). 그런데 그룹은 날개 길이가 약 4.5m나 되었기 때문에 몇 개의 나무 조각을 붙여 만들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감람나무는 팔레스타인에서 지금도 고급 가구용으로 쓰이고 있는가 하면, 비뚤어진 짧은 몸체는 긴 목재감으로는 적당하지 못하다. 수년이 지나 쓰기에 적당하게 되면 멋진 호박 색 나뭇결을 띤 목재는 화려한 윤이 날 정도로 광채를 낼 수가 있다.</ref><br>
감람나무 가지는 [[초막절]]에 초막을 짓는 데에 사용되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느헤미야#8장|제목=느헤미야 8:15|인용문=또 일렀으되 모든 성읍과 예루살렘에 공포하여 이르기를 너희는 산에 가서 감람나무 가지와 들 감람나무 가지와 화석류나무 가지와 종려나무 가지와 기타 무성한 나무 가지를 취하여 기록한 바를 따라 초막을 지으라 하라 하였는지라}}</ref> [[솔로몬]] 시대 세운 [[성전]]에서는 [[지성소]]의 그룹 천사와 지성소로 들어가는 문을 감람목으로 만들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장|제목=신명기 24:23-32|인용문=내소 안에 감람목으로 두 그룹을 만들었는데 그 고가 각각 십 규빗이라 ... 내소에 들어가는 곳에는 감람목으로 문을 만들었는데 그 문 인방과 문설주는 벽의 오분지 일이요 감람목으로 만든 그 두 문짝에 그룹과 종려와 핀 꽃을 아로새기고 금으로 입히되 곧 그룹들과 종려에 금으로 입혔더라}}</ref><ref>"감람나무", 《새성경 사전》, 기독교문서선교회, 1996, 59쪽, "솔로몬 성전의 그룹은 감람목으로 장식하였다(왕상 6:23). 그런데 그룹은 날개 길이가 약 4.5m나 되었기 때문에 몇 개의 나무 조각을 붙여 만들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감람나무는 팔레스타인에서 지금도 고급 가구용으로 쓰이고 있는가 하면, 비뚤어진 짧은 몸체는 긴 목재감으로는 적당하지 못하다. 수년이 지나 쓰기에 적당하게 되면 멋진 호박 색 나뭇결을 띤 목재는 화려한 윤이 날 정도로 광채를 낼 수가 있다."</ref><br>
감람나무 열매는 막대기로 가지를 치거나 나무를 흔들어서 수확했다. 하나님은 막대기로 치고 난 후 그 가지를 다시 살피지 말고 고아나 과부들을 위해 열매를 남겨두라고 명하셨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24장|제목=신명기 24:20|인용문=네가 네 감람나무를 떤 후에 그 가지를 다시 살피지 말고 그 남은 것은 객과 고아와 과부를 위하여 버려두며}}</ref> 수확한 열매는 으깨어 기름을 짰다. 감람나무는 가장 중요한 땔감이었으며 기름을 짜고 남은 찌꺼기도 버리는 법이 없었다.<ref>류모세, 《열린다 성경 식물 이야기》, 두란노서원, 2008, 65쪽, "올리브는 나무가 귀한 성서 시대 이스라엘에서 가장 중요한 땔감이었기 때문에 찌꺼기조차 버리는 법이 없었다. 올리브 틀은 부유한 사람만 개인용으로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마을 사람들은 부자에게 값을 지불하고 올리브 틀을 사용했다. 이때 올리브 틀의 주인에게 1%의 기름과 올리브를 짜고 남은 찌꺼기를 준 것으로 볼 때, 올리브는 찌꺼기도 가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ref><br>  
감람나무 열매는 막대기로 가지를 치거나 나무를 흔들어서 수확했다. 하나님은 막대기로 치고 난 후 그 가지를 다시 살피지 말고 고아나 과부들을 위해 열매를 남겨두라고 명하셨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24장|제목=신명기 24:20|인용문=네가 네 감람나무를 떤 후에 그 가지를 다시 살피지 말고 그 남은 것은 객과 고아와 과부를 위하여 버려두며}}</ref> 수확한 열매는 으깨어 기름을 짰다. 감람나무는 가장 중요한 땔감이었으며 기름을 짜고 남은 찌꺼기도 버리는 법이 없었다.<ref>류모세, 《열린다 성경 식물 이야기》, 두란노서원, 2008, 65쪽, "올리브는 나무가 귀한 성서 시대 이스라엘에서 가장 중요한 땔감이었기 때문에 찌꺼기조차 버리는 법이 없었다. 올리브 틀은 부유한 사람만 개인용으로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마을 사람들은 부자에게 값을 지불하고 올리브 틀을 사용했다. 이때 올리브 틀의 주인에게 1%의 기름과 올리브를 짜고 남은 찌꺼기를 준 것으로 볼 때, 올리브는 찌꺼기도 가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ref><br>  
올리브기름은 곡식, 포도주와 더불어 이스라엘 3대 농산물 중 하나였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11장|제목=신명기 11:14|인용문=여호와께서 너희 땅에 이른비, 늦은비를 적당한 때에 내리시리니 너희가 곡식과 포도주와 기름을 얻을 것이요}}</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하#32장|제목=역대하 32:28|인용문=곡식과 새 포도주와 기름의 산물을 위하여 창고를 세우며 온갖 짐승의 외양간을 세우며 양떼의 우리를 갖추며}}</ref> 이스라엘에서 올리브기름은 식용 외에도 등잔을 밝히는 연료,<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5장|제목=마태복음 25:3-4|인용문=미련한 자들은 등을 가지되 기름을 가지지 아니하고 슬기 있는 자들은 그릇에 기름을 담아 등과 함께 가져갔더니}}</ref> 상처에 바르는 의약품,<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10장|제목=누가복음 10:33-34|인용문=어떤 사마리아인은 여행하는 중 거기 이르러 그를 보고 불쌍히 여겨 가까이 가서 기름과 포도주를 그 상처에 붓고 싸매고 자기 짐승에 태워 주막으로 데리고 가서 돌보아 주고}}</ref> 머리를 손질하거나 건조한 피부에 바르는 화장품<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6장|제목=마태복음 6:17|인용문=너는 금식할 때에 머리에 기름을 바르고 얼굴을 씻으라}}</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룻기#3장|제목=룻기 3:3|인용문=그런즉 너는 목욕하고 기름을 바르고 의복을 입고 타작 마당에 내려가서 그 사람이 먹고 마시기를 다 하기까지는 그에게 보이지 말고}}</ref>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생활 필수품이었다. 질 좋은 기름은 수출하기도 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호세아#12장|제목=호세아 12:1|인용문=에브라임은 바람을 먹으며 동풍을 따라가서 날마다 거짓과 포학을 더하며 앗수르와 계약을 맺고 기름을 애굽에 보내도다}}</ref> 솔로몬은 두로 왕 히람에게서 성전을 지을 목재를 수입하면서 올리브기름을 비용으로 지불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5장|제목=열왕기상 5:7-11|인용문=히람이 솔로몬의 말을 듣고 크게 기뻐하여 ... 솔로몬의 모든 원대로 백향목 재목과 잣나무 재목을 주매 솔로몬이 히람에게 그 궁정의 식물로 밀 이만 석과 맑은 기름 이십 석을 주고 해마다 그와 같이 주었더라}}</ref><br>
올리브기름은 곡식, 포도주와 더불어 이스라엘 3대 농산물 중 하나였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11장|제목=신명기 11:14|인용문=여호와께서 너희 땅에 이른비, 늦은비를 적당한 때에 내리시리니 너희가 곡식과 포도주와 기름을 얻을 것이요}}</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하#32장|제목=역대하 32:28|인용문=곡식과 새 포도주와 기름의 산물을 위하여 창고를 세우며 온갖 짐승의 외양간을 세우며 양떼의 우리를 갖추며}}</ref> 이스라엘에서 올리브기름은 식용 외에도 등잔을 밝히는 연료,<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5장|제목=마태복음 25:3-4|인용문=미련한 자들은 등을 가지되 기름을 가지지 아니하고 슬기 있는 자들은 그릇에 기름을 담아 등과 함께 가져갔더니}}</ref> 상처에 바르는 의약품,<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10장|제목=누가복음 10:33-34|인용문=어떤 사마리아인은 여행하는 중 거기 이르러 그를 보고 불쌍히 여겨 가까이 가서 기름과 포도주를 그 상처에 붓고 싸매고 자기 짐승에 태워 주막으로 데리고 가서 돌보아 주고}}</ref> 머리를 손질하거나 건조한 피부에 바르는 화장품<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6장|제목=마태복음 6:17|인용문=너는 금식할 때에 머리에 기름을 바르고 얼굴을 씻으라}}</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룻기#3장|제목=룻기 3:3|인용문=그런즉 너는 목욕하고 기름을 바르고 의복을 입고 타작 마당에 내려가서 그 사람이 먹고 마시기를 다 하기까지는 그에게 보이지 말고}}</ref>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생활 필수품이었다. 질 좋은 기름은 수출하기도 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호세아#12장|제목=호세아 12:1|인용문=에브라임은 바람을 먹으며 동풍을 따라가서 날마다 거짓과 포학을 더하며 앗수르와 계약을 맺고 기름을 애굽에 보내도다}}</ref> 솔로몬은 두로 왕 히람에게서 성전을 지을 목재를 수입하면서 올리브기름을 비용으로 지불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5장|제목=열왕기상 5:7-11|인용문=히람이 솔로몬의 말을 듣고 크게 기뻐하여 ... 솔로몬의 모든 원대로 백향목 재목과 잣나무 재목을 주매 솔로몬이 히람에게 그 궁정의 식물로 밀 이만 석과 맑은 기름 이십 석을 주고 해마다 그와 같이 주었더라}}</ref><br>
구약 역사 속에서는 왕이나 선지자, [[제사장]]이 될 인물의 머리에 기름을 부었는데,<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5장|제목=사무엘하 5:3|인용문=이에 이스라엘 모든 장로가 헤브론에 이르러 왕에게 나아오매 다윗왕이 헤브론에서 여호와 앞에서 저희와 언약을 세우매 저희가 다윗에게 기름을 부어 이스라엘 왕을 삼으니라}}</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19장|제목=열왕기상 19:16|인용문=너는 또 님시의 아들 예후에게 기름을 부어 이스라엘 왕이 되게 하고 또 아벨므흘라 사밧의 아들 엘리사에게 기름을 부어 너를 대신하여 선지자가 되게 하라}}</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8장|제목=출애굽기 28:41|인용문=너는 그것들로 네 형 아론과 그와 함께한 그 아들들에게 입히고 그들에게 기름을 부어 위임하고 거룩하게 하여 그들로 제사장 직분을 내게 행하게 할지며}}</ref> 이 기름은 올리브기름에 액체 몰약, 육계, 창포, 계피를 넣어 만든 것이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0장|제목=출애굽기 30:23-30|인용문=너는 상등 향품을 취하되 액체 몰약 오백 세겔과 그 반수의 향기로운 육계 이백 오십 세겔과 향기로운 창포 이백 오십 세겔과 계피 오백 세겔을 성소의 세겔대로 하고 감람 기름 한 힌을 취하여 그것으로 거룩한 관유를 만들되 향을 제조하는 법대로 향기름을 만들지니 그것이 거룩한 관유가 될지라 ... 너는 아론과 그 아들들에게 기름을 발라 그들을 거룩하게 하고 그들로 내게 제사장 직분을 행하게 하고}}</ref> 구세주를 가리키는 '[[메시아]]'라는 단어는 '기름 부음 받은 자'라는 뜻이다. 이는 장차 등장할 구원자가 영적으로 왕, 선지자, 제사장의 역할을 할 것을 알려준다. <br><small>{{참고|메시아|설명=더 자세한 내용은}}</small>
구약 역사 속에서는 왕이나 선지자, [[제사장]]이 될 인물의 머리에 기름을 부었는데,<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5장|제목=사무엘하 5:3|인용문=이에 이스라엘 모든 장로가 헤브론에 이르러 왕에게 나아오매 다윗왕이 헤브론에서 여호와 앞에서 저희와 언약을 세우매 저희가 다윗에게 기름을 부어 이스라엘 왕을 삼으니라}}</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19장|제목=열왕기상 19:16|인용문=너는 또 님시의 아들 예후에게 기름을 부어 이스라엘 왕이 되게 하고 또 아벨므흘라 사밧의 아들 엘리사에게 기름을 부어 너를 대신하여 선지자가 되게 하라}}</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8장|제목=출애굽기 28:41|인용문=너는 그것들로 네 형 아론과 그와 함께한 그 아들들에게 입히고 그들에게 기름을 부어 위임하고 거룩하게 하여 그들로 제사장 직분을 내게 행하게 할지며}}</ref> 이 기름은 올리브기름에 액체 몰약, 육계, 창포, 계피를 넣어 만든 것이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0장|제목=출애굽기 30:23-30|인용문=너는 상등 향품을 취하되 액체 몰약 오백 세겔과 그 반수의 향기로운 육계 이백 오십 세겔과 향기로운 창포 이백 오십 세겔과 계피 오백 세겔을 성소의 세겔대로 하고 감람 기름 한 힌을 취하여 그것으로 거룩한 관유를 만들되 향을 제조하는 법대로 향기름을 만들지니 그것이 거룩한 관유가 될지라 ... 너는 아론과 그 아들들에게 기름을 발라 그들을 거룩하게 하고 그들로 내게 제사장 직분을 행하게 하고}}</ref> 구세주를 가리키는 '[[메시아]]'라는 단어는 '기름 부음 받은 자'라는 뜻이다. 이는 장차 등장할 구원자가 영적으로 왕, 선지자, 제사장의 역할을 할 것을 알려준다. <br><small>{{참고|메시아|설명=더 자세한 내용은}}</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