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의 형상: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문자열을 """ 문자열로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문자열을 """ 문자열로
10번째 줄: 10번째 줄:
{{인용문5 |내용=하나님이 가라사대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장 창세기 1:26] }}
{{인용문5 |내용=하나님이 가라사대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장 창세기 1:26] }}
하나님이 아버지 하나님 한 분으로만 존재한다면, 이 기록은 "나의 형상을 따라 나의 모양대로 내가 사람을 만들고"라고 기록되어야 한다. 그러나 '나'라는 단수형으로 표현하지 않고 '우리'라는 1인칭 복수 대명사로 표현했다. 이것은 오래전부터 기독교계의 논란이 되어왔고<ref>{{웹 인용 |url=http://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C02&nNewsNumb=002450100014 |제목='하나님의 교회' 급성장의 비결 |웹사이트= |저널=주간조선 |출판사=조선뉴스프레스 |날짜=2017년 3월 27일 |연도= |저자= |쪽= |시리즈=2450호 |isbn= |인용문= }}</ref> 지금도 명확한 해답을 찾지 못해 수수께끼로 남았다.
하나님이 아버지 하나님 한 분으로만 존재한다면, 이 기록은 "나의 형상을 따라 나의 모양대로 내가 사람을 만들고"라고 기록되어야 한다. 그러나 '나'라는 단수형으로 표현하지 않고 '우리'라는 1인칭 복수 대명사로 표현했다. 이것은 오래전부터 기독교계의 논란이 되어왔고<ref>{{웹 인용 |url=http://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C02&nNewsNumb=002450100014 |제목='하나님의 교회' 급성장의 비결 |웹사이트= |저널=주간조선 |출판사=조선뉴스프레스 |날짜=2017년 3월 27일 |연도= |저자= |쪽= |시리즈=2450호 |isbn= |인용문= }}</ref> 지금도 명확한 해답을 찾지 못해 수수께끼로 남았다.
{{인용문 |하나님은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자”(창세기 1:26)고 말한다. 이 대목은 오랫동안 성서를 해석하는 사람들에게 수수께끼가 되어왔다. |《성서 속의 불가사의》, 동아출판사, 1991, 21쪽}}
{{인용문 |하나님은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자"(창세기 1:26)고 말한다. 이 대목은 오랫동안 성서를 해석하는 사람들에게 수수께끼가 되어왔다. |《성서 속의 불가사의》, 동아출판사, 1991, 21쪽}}
성경의 해답은 성경에 있다. '우리'라고 하신 하나님 형상의 해답은 바로 그다음 구절에 나온다.
성경의 해답은 성경에 있다. '우리'라고 하신 하나님 형상의 해답은 바로 그다음 구절에 나온다.
{{인용문5 |내용=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장 창세기 1:27] }}
{{인용문5 |내용=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장 창세기 1:27] }}
54번째 줄: 54번째 줄: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형상==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형상==
신약성경에는 그리스도를 하나님의 형상이라고도 했다.
신약성경에는 그리스도를 하나님의 형상이라고도 했다.
*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형상이니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후서#4장 고린도후서 4장 4절])
*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형상이니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후서#4장 고린도후서 4장 4절])
* "그[예수]는 보이지 아니하시는 하나님의 형상이요 모든 창조물보다 먼저 나신 자니”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골로새서#1장 골로새서 1장 15절])
* "그[예수]는 보이지 아니하시는 하나님의 형상이요 모든 창조물보다 먼저 나신 자니"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골로새서#1장 골로새서 1장 15절])
사람의 육안으로 볼 수 없는 하나님이<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디모데전서#6장 |제목=디모데전서 6:16 |저널= |인용문=오직 그에게만 죽지 아니함이 있고 가까이 가지 못할 빛에 거하시고 아무 사람도 보지 못하였고 또 볼 수 없는 자시니 그에게 존귀와 영원한 능력을 돌릴지어다 아멘 }}</ref> 2000년 전 이 세상에 나타나셨다. 그분이 바로 [[예수 그리스도]]다. 인류는 예수님을 통해 보이지 않는 하나님을 마치 눈으로 보듯이 알게 되었다. 그래서 예수님은 하나님의 형상이다. 예를 들어, [[예수님의 부활|부활하신 그리스도]]의 모습을 통해 인류는 창세 전부터 하늘에 계시며 구속사를 이끌어오신 하나님의 형상을 일부 이해하게 되었고 우리가 부활하면 그와 같은 형상을 입게 될 것도 믿게 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5장 |제목=고린도전서 15:49 |저널= |인용문=우리가 흙에 속한 자의 형상을 입은 것같이 또한 하늘에 속한 자의 형상을 입으리라 }}</ref><ref name=":0">{{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빌립보서#3장 |제목=빌립보서 3:20-21 |저널= |인용문=오직 우리의 시민권은 하늘에 있는지라 거기로서 구원하는 자 곧 주 예수 그리스도를 기다리노니 그가 만물을 자기에게 복종케 하실 수 있는 자의 역사로 우리의 낮은 몸을 자기 영광의 몸의 형체와 같이 변케 하시리라 }}</ref><ref>{{인용|url=|제목=천사세계에서 온 손님들|웹사이트=|저널=|출판사=멜기세덱출판사|날짜=|연도=|저자=안상홍|쪽=|시리즈=|isbn=|인용문=그러므로 사도 바울은 말하기를 "보이지 아니하시는 하나님의 형상이요"(골 1장 15절) 하리만큼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은 일반 사람으로서는 능히 볼 수 없는 하나님의 형상의 옷을 다시 입으시는 것을 의미한다.}}</ref> 또한 그리스도를 통해 거룩하신 하나님의 성품도 깨달을 수 있다. 예수 그리스도는 온유하고 겸손하신 분으로,<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1장|제목=마태복음 11:29|인용문=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나의 멍에를 메고 내게 배우라 그러면 너희 마음이 쉼을 얻으리니}}</ref> 근본 하나님이지만 피조물인 사람에게 섬김을 받지 않고 오히려 사람들을 섬기셨다.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하늘 영광을 버리고 이 땅에 오셔서 당신의 생명을 희생하는 사랑을 실천하셨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0장|제목=마태복음 20:26–28|인용문=너희 중에 누구든지 크고자 하는 자는 너희를 섬기는 자가 되고 너희 중에 누구든지 으뜸이 되고자 하는 자는 너희 종이 되어야 하리라 인자가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 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니라}}</ref> 이러한 그리스도의 품성은 [[그리스도인]]들이 지녀야 할 신의 성품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베드로후서#1장|제목=베드로후서 1:4|인용문=이로써 그 보배롭고 지극히 큰 약속을 우리에게 주사 이 약속으로 말미암아 너희로 정욕을 인하여 세상에서 썩어질 것을 피하여 신의 성품에 참예하는 자가 되게 하려 하셨으니}}</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3장|제목=요한복음 13:15|인용문=내가 너희에게 행한 것같이 너희도 행하게 하려하여 본을 보였노라}}</ref> 그래서 사도 바울은 그리스도인의 속사람, 곧 내면의 모습이 하나님의 형상을 닮아 새사람으로 창조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갈라디아서#4장 |제목=갈라디아서 4:19|저널= |인용문=나의 자녀들아 너희 속에 그리스도의 형상이 이루기까지 다시 너희를 위하여 해산하는 수고를 하노니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골로새서#3장|제목=골로새서 3:5–14 |저널= |인용문=땅에 있는 지체를 죽이라 곧 음란과 부정과 사욕과 악한 정욕과 탐심이니 탐심은 우상 숭배니라 ... 옛사람과 그 행위를 벗어버리고 새사람을 입었으니 이는 자기를 창조하신 자의 형상을 좇아 지식에까지 새롭게 하심을 받는 자니라 ... 그러므로 너희는 하나님의 택하신 거룩하고 사랑하신 자처럼 긍휼과 자비와 겸손과 온유와 오래 참음을 옷 입고 누가 뉘게 혐의가 있거든 서로 용납하여 피차 용서하되 주께서 너희를 용서하신 것과 같이 너희도 그리하고 이 모든 것 위에 사랑을 더하라 }}</ref>
사람의 육안으로 볼 수 없는 하나님이<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디모데전서#6장 |제목=디모데전서 6:16 |저널= |인용문=오직 그에게만 죽지 아니함이 있고 가까이 가지 못할 빛에 거하시고 아무 사람도 보지 못하였고 또 볼 수 없는 자시니 그에게 존귀와 영원한 능력을 돌릴지어다 아멘 }}</ref> 2000년 전 이 세상에 나타나셨다. 그분이 바로 [[예수 그리스도]]다. 인류는 예수님을 통해 보이지 않는 하나님을 마치 눈으로 보듯이 알게 되었다. 그래서 예수님은 하나님의 형상이다. 예를 들어, [[예수님의 부활|부활하신 그리스도]]의 모습을 통해 인류는 창세 전부터 하늘에 계시며 구속사를 이끌어오신 하나님의 형상을 일부 이해하게 되었고 우리가 부활하면 그와 같은 형상을 입게 될 것도 믿게 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5장 |제목=고린도전서 15:49 |저널= |인용문=우리가 흙에 속한 자의 형상을 입은 것같이 또한 하늘에 속한 자의 형상을 입으리라 }}</ref><ref name=":0">{{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빌립보서#3장 |제목=빌립보서 3:20-21 |저널= |인용문=오직 우리의 시민권은 하늘에 있는지라 거기로서 구원하는 자 곧 주 예수 그리스도를 기다리노니 그가 만물을 자기에게 복종케 하실 수 있는 자의 역사로 우리의 낮은 몸을 자기 영광의 몸의 형체와 같이 변케 하시리라 }}</ref><ref>{{인용|url=|제목=천사세계에서 온 손님들|웹사이트=|저널=|출판사=멜기세덱출판사|날짜=|연도=|저자=안상홍|쪽=|시리즈=|isbn=|인용문=그러므로 사도 바울은 말하기를 "보이지 아니하시는 하나님의 형상이요"(골 1장 15절) 하리만큼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은 일반 사람으로서는 능히 볼 수 없는 하나님의 형상의 옷을 다시 입으시는 것을 의미한다.}}</ref> 또한 그리스도를 통해 거룩하신 하나님의 성품도 깨달을 수 있다. 예수 그리스도는 온유하고 겸손하신 분으로,<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1장|제목=마태복음 11:29|인용문=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나의 멍에를 메고 내게 배우라 그러면 너희 마음이 쉼을 얻으리니}}</ref> 근본 하나님이지만 피조물인 사람에게 섬김을 받지 않고 오히려 사람들을 섬기셨다.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하늘 영광을 버리고 이 땅에 오셔서 당신의 생명을 희생하는 사랑을 실천하셨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0장|제목=마태복음 20:26–28|인용문=너희 중에 누구든지 크고자 하는 자는 너희를 섬기는 자가 되고 너희 중에 누구든지 으뜸이 되고자 하는 자는 너희 종이 되어야 하리라 인자가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 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니라}}</ref> 이러한 그리스도의 품성은 [[그리스도인]]들이 지녀야 할 신의 성품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베드로후서#1장|제목=베드로후서 1:4|인용문=이로써 그 보배롭고 지극히 큰 약속을 우리에게 주사 이 약속으로 말미암아 너희로 정욕을 인하여 세상에서 썩어질 것을 피하여 신의 성품에 참예하는 자가 되게 하려 하셨으니}}</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3장|제목=요한복음 13:15|인용문=내가 너희에게 행한 것같이 너희도 행하게 하려하여 본을 보였노라}}</ref> 그래서 사도 바울은 그리스도인의 속사람, 곧 내면의 모습이 하나님의 형상을 닮아 새사람으로 창조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갈라디아서#4장 |제목=갈라디아서 4:19|저널= |인용문=나의 자녀들아 너희 속에 그리스도의 형상이 이루기까지 다시 너희를 위하여 해산하는 수고를 하노니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골로새서#3장|제목=골로새서 3:5–14 |저널= |인용문=땅에 있는 지체를 죽이라 곧 음란과 부정과 사욕과 악한 정욕과 탐심이니 탐심은 우상 숭배니라 ... 옛사람과 그 행위를 벗어버리고 새사람을 입었으니 이는 자기를 창조하신 자의 형상을 좇아 지식에까지 새롭게 하심을 받는 자니라 ... 그러므로 너희는 하나님의 택하신 거룩하고 사랑하신 자처럼 긍휼과 자비와 겸손과 온유와 오래 참음을 옷 입고 누가 뉘게 혐의가 있거든 서로 용납하여 피차 용서하되 주께서 너희를 용서하신 것과 같이 너희도 그리하고 이 모든 것 위에 사랑을 더하라 }}</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