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벨론: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틀:성경지명 |그림= 섬네일|가운데|고대 도시 바벨론 |제목=바벨론 |영어제목=Babylon |행정구역=고대 바빌로...
 
편집 요약 없음
80번째 줄: 80번째 줄:


===앗수르의 지배===  
===앗수르의 지배===  
이후 바벨론에는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2368 카시트 왕조(카사이트)]가 들어섰다. 카시트 왕조는 당시 세력을 넓히고 있던 [[앗수르]](신아시리아)와 평화조약을 맺고 바빌로니아 제국의 부활을 도모했다. 그러나 철기를 기반으로 제국으로 성장한 앗수르는 기원전 728년, 평화조약을 어기고 바벨론을 침공해 완전히 점령했다. 이후 바벨론은 이신 제2왕조(바벨론 제4왕조)로 이어지고 앗수르의 지배를 받는다.
이후 바벨론에는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2368 카시트 왕조(카사이트)]가 들어섰다. 카시트 왕조는 당시 세력을 넓히고 있던 [[앗수르]](신아시리아)와 평화조약을 맺고 바빌로니아 제국의 부활을 도모했다. 그러나 철기를 기반으로 제국으로 성장한 앗수르는 기원전 728년, 평화조약을 어기고 바벨론을 침공해 완전히 점령했다. 15만 명의 바벨론 사람들이 앗수르로 강제 이송되었으며 성은 파괴되었다. 이후 바벨론은 이신 제2왕조(바벨론 제4왕조)로 이어지고 앗수르의 지배를 받으며 심한 압제를 겪었다.
{{참고|앗수르|설명=자세한 내용은}}
{{참고|앗수르|설명=자세한 내용은}}
===신바빌로니아(갈대아 왕조)===
===신바빌로니아(갈대아 왕조)===
[[파일:Empire neo babylonien.png|섬네일|295x295픽셀|신바빌로니아 영토]]
[[파일:Empire neo babylonien.png|섬네일|295x295픽셀|신바빌로니아 영토]]
바벨론이 앗수르에 완전히 멸망한 후, 15만 명의 바벨론 사람들이 앗수르로 강제 이송되었으며 성은 파괴되었다. 이후 바벨론은 앗수르의 심한 압제를 겪었다. 기원전 626년, 아슈르바니팔의 통치 후기에 앗수르의 국력이 쇠약해진 틈을 타 갈대아의 나보폴라사르가 메대(메디아)와 연합해 앗수르를 공격했다.<br>기원전 612년, 연합군은 앗수르의 수도 [[니느웨]]를 함락하고 승리를 거뒀다. 나보폴라사르는 메대 왕과 앗수르 영토를 나눈 뒤 신바빌로니아 제국의 제1대 왕이 되었다. 그의 맏아들 [[느부갓네살]](네부카드네자르 2세, 재위: B.C. 605-B.C. 562)은 신바빌로니아의 전성기를 이루었다.
앗수르 왕 아슈르바니팔의 통치 후기에 앗수르의 국력이 쇠약해진 틈을 타, 기원전 625년경 갈대아의 나보폴라사르가 바벨론시에서 독립을 선언하고 신바빌로니아 제국의 제1대 왕이 되었다. 기원전 612년경, 바벨론은 메대(메디아)와 연합해 앗수르의 수도 [[니느웨]]를 함락하고 승리를 거뒀다. 나보폴라사르의 아들로서 왕위를 이어받은 [[느부갓네살]](네부카드네자르 2세, 재위: B.C. 605-B.C. 562)은 신바빌로니아의 전성기를 이루었다.


===바사 제국에 멸망===
===바사 제국에 멸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