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심, 아버지를 읽다'전: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아버지전 작품 산.jpg |섬네일 | 300px |'진심, 아버지를 읽다'전의 작품 <산>]]
{{그림|아버지전 작품 산.jpg |정렬=오른쪽섬네일 | 너비=320px |타이틀='진심, 아버지를 읽다'전의 작품 <산>}}
'진심, 아버지를 읽다'전은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가 주최하고 멜기세덱출판사가 주관한 전시회로, [['우리 어머니' 글과 사진전]]의 후속 전시다. 다양한 작품을 통해 아버지의 묵묵한 삶과 사랑을 조명함으로써 현대인들의 마음에 잔잔한 울림을 주고, 가족애 회복과 세대 간 소통, 화합을 돕기 위해 개최했다.<br>
'진심, 아버지를 읽다'전은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가 주최하고 멜기세덱출판사가 주관한 전시회로, [['우리 어머니' 글과 사진전]]의 후속 전시다. 다양한 작품을 통해 아버지의 묵묵한 삶과 사랑을 조명함으로써 현대인들의 마음에 잔잔한 울림을 주고, 가족애 회복과 세대 간 소통, 화합을 돕기 위해 개최했다.<br>
2019년 2월 [[서울관악 하나님의 교회]]에서 처음 개최한 이후 9월 [[부산수영 하나님의 교회]]에서 두 번째 전시회가 열렸다. 두 차례에 걸쳐 총 11만 명의 관람객이 다녀갔다.<br>
2019년 2월 [[서울관악 하나님의 교회]]에서 처음 개최한 이후 9월 [[부산수영 하나님의 교회]]에서 두 번째 전시회가 열렸다. 두 차례에 걸쳐 총 11만 명의 관람객이 다녀갔다.<br>
5번째 줄: 5번째 줄:
==전시 취지 및 목적==
==전시 취지 및 목적==
==='우리 어머니' 글과 사진전 후속 전시===
==='우리 어머니' 글과 사진전 후속 전시===
[[파일:아버지전을 찾은 중장년층의 남성 관람객들.jpg |섬네일 | 300px |'진심, 아버지를 읽다'전을 찾은 중장년층 남성 관람객들]]
{{그림|아버지전을 찾은 중장년층의 남성 관람객들.jpg |정렬=오른쪽섬네일 | 너비=320px |타이틀='진심, 아버지를 읽다'전을 찾은 중장년층 남성 관람객들}}
하나님의 교회는 2013년 [['우리 어머니' 글과 사진전]](이하 어머니전)을 개최해 코로나19 대유행 전까지 전국 각지에서 전시를 이어왔다. 어머니전에서 어머니의 사랑을 반추하며 많은 감동을 받은 관람객들이 아버지의 사랑을 주제로 한 전시를 요청했다. 이에 하나님의 교회는 어머니전 후속 전시로 우리네 아버지의 사랑과 삶을 담은 [http://thankfather.org/ '진심, 아버지를 읽다'전](이하 아버지전)을 준비, 개최했다.<ref name='월간조선'>{{웹 인용 |url=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F&nNewsNumb=201901100041 |제목=일일이 풀어낼 길 없는 가족 사랑의 속뜻을 가슴에 묻은 아버지|웹사이트= |저널=월간조선 |출판사= |날짜=2019. 1.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2018년 12월 서울관악 하나님의 교회에서 임시 개관한 이후 2019년 2월 정식으로 문을 열었다.<br>
하나님의 교회는 2013년 [['우리 어머니' 글과 사진전]](이하 어머니전)을 개최해 코로나19 대유행 전까지 전국 각지에서 전시를 이어왔다. 어머니전에서 어머니의 사랑을 반추하며 많은 감동을 받은 관람객들이 아버지의 사랑을 주제로 한 전시를 요청했다. 이에 하나님의 교회는 어머니전 후속 전시로 우리네 아버지의 사랑과 삶을 담은 [http://thankfather.org/ '진심, 아버지를 읽다'전](이하 아버지전)을 준비, 개최했다.<ref name='월간조선'>{{웹 인용 |url=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F&nNewsNumb=201901100041 |제목=일일이 풀어낼 길 없는 가족 사랑의 속뜻을 가슴에 묻은 아버지|웹사이트= |저널=월간조선 |출판사= |날짜=2019. 1.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2018년 12월 서울관악 하나님의 교회에서 임시 개관한 이후 2019년 2월 정식으로 문을 열었다.<br>


===가족애 증진===
===가족애 증진===
[[파일:아버지전 포토존.jpg |섬네일 | 300px |가족 관람객들이 포토존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그림|아버지전 포토존.jpg |정렬=오른쪽섬네일 | 너비=320px |타이틀=가족 관람객들이 포토존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예로부터 아버지는 자녀를 가르치는 교육자이자, 산업을 물려주는 삶의 롤모델이었고, 살림과 가산을 든든히 책임지는 집안의 버팀목이다.<ref>{{웹 인용 |url=http://m.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C09&nNewsNumb=002558100021 |제목=루이지 조야 아버지란 무엇인가(The Father: Historical, Psychological and Cultural Perspectives) |웹사이트= |저널=주간조선 |출판사= |날짜=2019. 5. 20.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한국의 50대 이상 아버지들은 베이비붐 시대에 태어나 베트남전 참전, 독일 광부 파견, 중동 건설 근로자 파견 등 근현대사 속 굵직한 사건마다 뛰어들어 경제를 부흥시키는 주된 역할을 했다.<ref>{{인용 |url= |제목=대한민국 |웹사이트= |저널= |출판사=프리이코노미북스 |날짜=2015. |연도= |저자=MBC 대한민국 제작팀 |쪽= |시리즈= |isbn= 9788963740973 |인용문= }}</ref> 그러나 사회적 변화 속에 가족 해체가 급증하고, 가족 간 대화나 소통의 부재가 만연하면서 아버지는 가정에서 존재감을 잃어가고 있다.<ref>{{웹 인용 |url=https://weekly.donga.com/3/all/11/2060797/1 |제목=아버지들, 왜 그렇게들 사시나요 |웹사이트= |저널=주간동아 |출판사= |날짜=2020. 5. 12.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ref>{{웹 인용 |url=https://www.yna.co.kr/view/AKR20180622134100797 |제목=[디지털스토리] 하루 1시간 안 되는 가족대화…주 52시간 되면 늘어날까 |웹사이트= |저널=연합뉴스 |출판사= |날짜=2018. 6. 24.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ref>{{웹 인용 |url=http://www.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artid=201611281714341&code=115 |제목=[한성열·서송희 부부의 심리학 콘서트 '중년, 나도 아프다'](21) 중년의 아버지들은 왜 소외되고 겉도나 |웹사이트= |저널=주간경향 |출판사= |날짜=2016. 12. 6.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br>
예로부터 아버지는 자녀를 가르치는 교육자이자, 산업을 물려주는 삶의 롤모델이었고, 살림과 가산을 든든히 책임지는 집안의 버팀목이다.<ref>{{웹 인용 |url=http://m.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C09&nNewsNumb=002558100021 |제목=루이지 조야 아버지란 무엇인가(The Father: Historical, Psychological and Cultural Perspectives) |웹사이트= |저널=주간조선 |출판사= |날짜=2019. 5. 20.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한국의 50대 이상 아버지들은 베이비붐 시대에 태어나 베트남전 참전, 독일 광부 파견, 중동 건설 근로자 파견 등 근현대사 속 굵직한 사건마다 뛰어들어 경제를 부흥시키는 주된 역할을 했다.<ref>MBC 대한민국 제작팀, 《대한민국》, 프리이코노미북스, 2015</ref> 그러나 사회적 변화 속에 가족 해체가 급증하고, 가족 간 대화나 소통의 부재가 만연하면서 아버지는 가정에서 존재감을 잃어가고 있다.<ref>{{웹 인용 |url=https://weekly.donga.com/3/all/11/2060797/1 |제목=아버지들, 왜 그렇게들 사시나요 |웹사이트= |저널=주간동아 |출판사= |날짜=2020. 5. 12.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ref>{{웹 인용 |url=https://www.yna.co.kr/view/AKR20180622134100797 |제목=[디지털스토리] 하루 1시간 안 되는 가족대화…주 52시간 되면 늘어날까 |웹사이트= |저널=연합뉴스 |출판사= |날짜=2018. 6. 24.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ref>{{웹 인용 |url=http://www.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artid=201611281714341&code=115 |제목=[한성열·서송희 부부의 심리학 콘서트 '중년, 나도 아프다'](21) 중년의 아버지들은 왜 소외되고 겉도나 |웹사이트= |저널=주간경향 |출판사= |날짜=2016. 12. 6.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br>
하나님의 교회는 모든 아버지들의 노고와 애틋한 진심을 알려, 현대사회 가족들이 유대감을 되찾고 느슨해진 가족 관계를 돈독히 하길 바라며 아버지전을 개최했다. 제목의 '읽다'라는 표현은 '읽다(read)'와 '이해하다(understand)'라는 중의적 의미를 내포한다. 작품들에 담긴 아버지에 관한 이야기를 읽고  아버지의 진심까지 이해하도록 돕는다는 취지다.<ref>{{웹 인용 |url=https://woman.donga.com/3/all/12/1676693/1 |제목='우리 어머니' 글과 사진展 & '진심, 아버지를 읽다'展 |웹사이트= |저널=여성동아 |출판사= |날짜=2019. 3. 22.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자녀 세대는 자신이 경험하지 못했던 아버지 세대의 삶을 돌아보면서 묵묵하지만 한결같은 아버지의 사랑을 공감할 수 있고, 기성 세대는 자신의 삶뿐만 아니라 가족 관계를 되돌아보며 세대 간 소통을 이룰 수 있다. 사회 초년생, 예비 아버지, 어린 자녀를 키우는 아버지들도 앞선 아버지들의 모습을 만나면서 자신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 삶의 용기를 얻을 수 있다.<br>
하나님의 교회는 모든 아버지들의 노고와 애틋한 진심을 알려, 현대사회 가족들이 유대감을 되찾고 느슨해진 가족 관계를 돈독히 하길 바라며 아버지전을 개최했다. 제목의 '읽다'라는 표현은 '읽다(read)'와 '이해하다(understand)'라는 중의적 의미를 내포한다. 작품들에 담긴 아버지에 관한 이야기를 읽고  아버지의 진심까지 이해하도록 돕는다는 취지다.<ref>{{웹 인용 |url=https://woman.donga.com/3/all/12/1676693/1 |제목='우리 어머니' 글과 사진展 & '진심, 아버지를 읽다'展 |웹사이트= |저널=여성동아 |출판사= |날짜=2019. 3. 22.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자녀 세대는 자신이 경험하지 못했던 아버지 세대의 삶을 돌아보면서 묵묵하지만 한결같은 아버지의 사랑을 공감할 수 있고, 기성 세대는 자신의 삶뿐만 아니라 가족 관계를 되돌아보며 세대 간 소통을 이룰 수 있다. 사회 초년생, 예비 아버지, 어린 자녀를 키우는 아버지들도 앞선 아버지들의 모습을 만나면서 자신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 삶의 용기를 얻을 수 있다.<br>


===현대인 위로===
===현대인 위로===
[[파일:아버지전 관람객.jpg |섬네일 | 아버지들의 손때 묻은 소품을 들여다보는 관객들]]
{{그림|아버지전 관람객.jpg |정렬=오른쪽섬네일 | 너비=320px|타이틀=아버지들의 손때 묻은 소품을 들여다보는 관객들}}
아버지전 개최의 또 다른 목적은 바쁜 일상과 스트레스에 지친 현대인들의 마음을 위로하는 데 있다.<ref name='신동아'>{{웹 인용 |url=https://shindonga.donga.com/3/all/13/1824849/1 |제목=하나님의 교회 '대학생·직장인청년봉사단' ASEZ·ASEZ WAO |웹사이트= |저널=신동아 |출판사= |날짜=2019. 9.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현대인들은 무한 경쟁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 학교, 직장 등 여러 곳에서 치열한 경쟁 속에 몸과 마음이 고된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ref>{{웹 인용 |url=https://www.mk.co.kr/news/special-edition/view/2016/03/161703/ |제목="밀리면 끝장" 투쟁적경쟁 만연…전 세대에 '번아웃증후군' 퍼져 |웹사이트= |저널=매일경제 |출판사= |날짜=2016. 3. 1.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하나님의 교회는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2장 |제목=마태복음 22:39 |저널= |인용문=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 하셨으니 }}</ref> 하나님의 가르침을 따라 성도와 이웃들이 전시회를 통해 위로와 힘을 얻길 바라며 아버지전을 기획했다.<br>
아버지전 개최의 또 다른 목적은 바쁜 일상과 스트레스에 지친 현대인들의 마음을 위로하는 데 있다.<ref name='신동아'>{{웹 인용 |url=https://shindonga.donga.com/3/all/13/1824849/1 |제목=하나님의 교회 '대학생·직장인청년봉사단' ASEZ·ASEZ WAO |웹사이트= |저널=신동아 |출판사= |날짜=2019. 9.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현대인들은 무한 경쟁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 학교, 직장 등 여러 곳에서 치열한 경쟁 속에 몸과 마음이 고된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ref>{{웹 인용 |url=https://www.mk.co.kr/news/special-edition/view/2016/03/161703/ |제목="밀리면 끝장" 투쟁적경쟁 만연…전 세대에 '번아웃증후군' 퍼져 |웹사이트= |저널=매일경제 |출판사= |날짜=2016. 3. 1.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하나님의 교회는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2장 |제목=마태복음 22:39 |저널= |인용문=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 하셨으니 }}</ref> 하나님의 가르침을 따라 성도와 이웃들이 전시회를 통해 위로와 힘을 얻길 바라며 아버지전을 기획했다.<br>
실제로 하나님의 교회에서 관람객 135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아버지의 의미를 묻는 질문에 가장 많이 나온 답변은 '버팀목'이었다.<ref name="더인터뷰">{{웹 인용 |url=https://www.youtube.com/watch?v=wKX4xBrDRUk |제목=[더 인터뷰] 서승복 목사 편 |웹사이트= |저널=지방자치TV |출판사= |날짜=2020. 1 .28.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이처럼 아버지는 곁에 있어주는 것만으로도 든든한 위안이 되는 존재다. 하나님의 교회는 든든한 버팀목과 같은 아버지의 사랑을 전시에 담아 현대인들이 지친 마음을 기대고 잠시 쉴 수 있는 기회를 얻길 바랐다.<ref>{{웹 인용 |url=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E&nNewsNumb=201901100042 |제목=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총회장 김주철 목사 "천국의 이치가 곧 가정의 이치… 섬김과 봉사, 효도와 우애로 '하나님의 사랑' 세계에 실천" |웹사이트= |저널=월간조선 |출판사= |날짜=2019. 1.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BR>
실제로 하나님의 교회에서 관람객 135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아버지의 의미를 묻는 질문에 가장 많이 나온 답변은 '버팀목'이었다.<ref name="더인터뷰">{{웹 인용 |url=https://www.youtube.com/watch?v=wKX4xBrDRUk |제목=[더 인터뷰] 서승복 목사 편 |웹사이트= |저널=지방자치TV |출판사= |날짜=2020. 1 .28.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이처럼 아버지는 곁에 있어주는 것만으로도 든든한 위안이 되는 존재다. 하나님의 교회는 든든한 버팀목과 같은 아버지의 사랑을 전시에 담아 현대인들이 지친 마음을 기대고 잠시 쉴 수 있는 기회를 얻길 바랐다.<ref>{{웹 인용 |url=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E&nNewsNumb=201901100042 |제목=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총회장 김주철 목사 "천국의 이치가 곧 가정의 이치… 섬김과 봉사, 효도와 우애로 '하나님의 사랑' 세계에 실천" |웹사이트= |저널=월간조선 |출판사= |날짜=2019. 1.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BR>


=='진심, 아버지를 읽다'전 구성==
=='진심, 아버지를 읽다'전 구성==
[[파일:사진 작품 '다시 만날 때까지'를 감상하고 있는 군인.jpg |섬네일 | 300px |휴가 중인 군인이 '진심, 아버지를 읽다'전을 관람하고 있다.]]
{{그림|사진 작품 '다시 만날 때까지'를 감상하고 있는 군인.jpg |정렬=오른쪽섬네일 | 너비=320px |타이틀=휴가 중인 군인이 '진심, 아버지를 읽다'전을 관람하고 있다.}}
아버지전은 문학작품·사진·소품 등으로 이루어진 주 전시와 영상문학관, 통계로 알아보는 진심, 포토존, 진심우체국, 북카페 등 체험 공간이 있는 부대 행사로 구성된다.
아버지전은 문학작품·사진·소품 등으로 이루어진 주 전시와 영상문학관, 통계로 알아보는 진심, 포토존, 진심우체국, 북카페 등 체험 공간이 있는 부대 행사로 구성된다.
===주 전시===
===주 전시===
26번째 줄: 26번째 줄:
전시관은 〈그 묵묵한 사랑에 대하여〉라는 부제 아래 1관 "아버지 왔다", 2관 "나는 됐다", 3관 "···.", 4관 "아비란 그런 거지", 5관 "잃은 자를 찾아 왔노라"라는 소주제의 총 5개 테마로 구성된다. 관람객들이 각자의 아버지를 잘 떠올릴 수 있도록 소주제는 일상 속에서 아버지들이 자주 하는 말을 차용해 정했다.<br>
전시관은 〈그 묵묵한 사랑에 대하여〉라는 부제 아래 1관 "아버지 왔다", 2관 "나는 됐다", 3관 "···.", 4관 "아비란 그런 거지", 5관 "잃은 자를 찾아 왔노라"라는 소주제의 총 5개 테마로 구성된다. 관람객들이 각자의 아버지를 잘 떠올릴 수 있도록 소주제는 일상 속에서 아버지들이 자주 하는 말을 차용해 정했다.<br>
전시장 입구를 철제 대문으로 꾸미고, 문패에는 베이비붐 시대에 태어난 남성 이름 중 가장 흔한 이름인 '영수'를 새겨 공감도를 높였다.<ref>{{웹 인용 |url=https://www.yna.co.kr/view/AKR20160507037800004 |제목=시기별 선호이름…1940년대 영수·영자에서 2010년대 민준·서연 |웹사이트= |저널=연합뉴스 |출판사= |날짜=2016. 5. 9.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ref>{{웹 인용 |url=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19100218235367471 |제목=삶의 무게 견디며 가정 지키는 아버지를 되돌아보는 시간 |웹사이트= |저널=부산일보 |출판사= |날짜=2019. 10. 2.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각 관에는 주제와 맞는 소품 테마존이 설치되어 있다.  
전시장 입구를 철제 대문으로 꾸미고, 문패에는 베이비붐 시대에 태어난 남성 이름 중 가장 흔한 이름인 '영수'를 새겨 공감도를 높였다.<ref>{{웹 인용 |url=https://www.yna.co.kr/view/AKR20160507037800004 |제목=시기별 선호이름…1940년대 영수·영자에서 2010년대 민준·서연 |웹사이트= |저널=연합뉴스 |출판사= |날짜=2016. 5. 9.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ref>{{웹 인용 |url=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19100218235367471 |제목=삶의 무게 견디며 가정 지키는 아버지를 되돌아보는 시간 |웹사이트= |저널=부산일보 |출판사= |날짜=2019. 10. 2.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각 관에는 주제와 맞는 소품 테마존이 설치되어 있다.  
<br />
{{앨범
<br />
|정렬=가운데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
|그림1={{그림|외출 멜기세덱출판사.jpg|타이틀='진심, 아버지를 읽다'전 작품 <외출>}}
파일:외출 멜기세덱출판사.jpg|'진심, 아버지를 읽다'전 작품 <외출>
|그림2={{그림|기경 멜기세덱출판사.jpg|타이틀='진심, 아버지를 읽다'전 작품 <기경>}}
파일:기경 멜기세덱출판사.jpg|'진심, 아버지를 읽다'전 작품 <기경>
|그림3={{그림|아버지전 전시장 내부.jpg|타이틀='진심, 아버지를 읽다'전 전시장 내부}}
파일:아버지전 전시장 내부.jpg|'진심, 아버지를 읽다'전 전시장 내부
}}
</gallery>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color: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color:white;"
53번째 줄: 52번째 줄:
===부대 행사===
===부대 행사===
관람객들이 아버지의 사랑을 마음에 더욱 깊이 새길 수 있도록 다채로운 부대 행사를 마련했다.<br>
관람객들이 아버지의 사랑을 마음에 더욱 깊이 새길 수 있도록 다채로운 부대 행사를 마련했다.<br>
[[파일:통계로 보는 진심.jpg |섬네일 | 300px |아버지의 진심에 대한 설문 결과를 살펴보는 학생들]]
{{그림|통계로 보는 진심.jpg |정렬=오른쪽섬네일 | 너비=300px |타이틀=아버지의 진심에 대한 설문 결과를 살펴보는 학생들}}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color: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color:white;"
|-style="background-color:#FDF5E6; text-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DF5E6; text-align:center;"
71번째 줄: 70번째 줄:


==='한뼘더' 캠페인===
==='한뼘더' 캠페인===
[[파일:한뼘더 캠페인 홈페이지 캡쳐.png |섬네일 | '진심, 아버지를 읽다'전 웹사이트의 '한뼘더' 캠페인]]
{{그림|한뼘더 캠페인 홈페이지 캡쳐.png |정렬=오른쪽섬네일 | 너비=300px|타이틀='진심, 아버지를 읽다'전 웹사이트의 '한뼘더' 캠페인}}
하나님의 교회는 아버지전의 일환으로 가족 사랑을 돋우는 [https://thankfather.org/campaign/ '한뼘더' 캠페인]을 실시하고 있다. 아버지와 자녀 간에 소원해진 관계를 회복해 가족애가 두터워지고 마음의 거리가 한 뼘 더 가까워지길 바란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아버지전 공식 홈페이지, 전시회장, 인근 현장 등 온·오프라인상에서 진행되며, 현재는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에서만 진행되고 있다. <br>
하나님의 교회는 아버지전의 일환으로 가족 사랑을 돋우는 [https://thankfather.org/campaign/ '한뼘더' 캠페인]을 실시하고 있다. 아버지와 자녀 간에 소원해진 관계를 회복해 가족애가 두터워지고 마음의 거리가 한 뼘 더 가까워지길 바란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아버지전 공식 홈페이지, 전시회장, 인근 현장 등 온·오프라인상에서 진행되며, 현재는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에서만 진행되고 있다. <br>
캠페인은 아버지와 자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아버지와의 마음의 거리 측정 테스트, 아버지와 자녀의 일화가 담긴 웹툰·영상 시청, 가족애를 표현할 수 있는 이모티콘 다운로드 등 다양한 체험 서비스로 구성된다. 온라인에서 진행되는 캠페인은 총 4단계로 이루어져 있다.<br>
캠페인은 아버지와 자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아버지와의 마음의 거리 측정 테스트, 아버지와 자녀의 일화가 담긴 웹툰·영상 시청, 가족애를 표현할 수 있는 이모티콘 다운로드 등 다양한 체험 서비스로 구성된다. 온라인에서 진행되는 캠페인은 총 4단계로 이루어져 있다.<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