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우스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Arius|섬네일|280px|아리우스주의를 주장한 아리우스 '''아리우스주의'''(영어: Arianism, 그리스어: Ἀρειανισμός , Areianismós)... |
편집 요약 없음 |
||
| 27번째 줄: | 27번째 줄: | ||
====아리우스주의를 지지한 콘스탄티우스==== | ====아리우스주의를 지지한 콘스탄티우스==== | ||
[[File:Constance II Colosseo Rome Italy.jpg | [[File:Constance II Colosseo Rome Italy.jpg|섬네일|291x291px|콘스탄티우스 2세로 추정하는 흉상. 콘스탄티우스 2세는 아리우스주의를 지지했다. ]] | ||
콘스탄티누스 1세 사후 로마제국은 그의 세 아들이 삼분(三分) 통치했다. 콘스탄티누스 2세(라틴어: Flavius Claudius Constantinus, 재위: 337–340)는 서방, 콘스탄스(라틴어: Flavius Julius Constans, 재위: 337–350)는 중부, [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84%B8%EA%B3%84%EC%82%AC/%EC%A4%91%EC%84%B8_%EC%9C%A0%EB%9F%BD%EA%B3%BC_%EC%95%84%EC%8B%9C%EC%95%84/%EC%A4%91%EC%84%B8_%EC%9C%A0%EB%9F%BD%EC%9D%98_%EC%84%B1%EB%A6%BD/%EB%A1%9C%EB%A7%88_%EC%A0%9C%EA%B5%AD%EC%9D%98_%EB%A9%B8%EB%A7%9D#%EC%BD%98%EC%8A%A4%ED%83%84%ED%8B%B0%EC%9A%B0%EC%8A%A4_2%EC%84%B8 콘스탄티우스 2세](재위: Flavius | 콘스탄티누스 1세 사후 로마제국은 그의 세 아들이 삼분(三分) 통치했다. 콘스탄티누스 2세(라틴어: Flavius Claudius Constantinus, 재위: 337–340)는 서방, 콘스탄스(라틴어: Flavius Julius Constans, 재위: 337–350)는 중부, [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84%B8%EA%B3%84%EC%82%AC/%EC%A4%91%EC%84%B8_%EC%9C%A0%EB%9F%BD%EA%B3%BC_%EC%95%84%EC%8B%9C%EC%95%84/%EC%A4%91%EC%84%B8_%EC%9C%A0%EB%9F%BD%EC%9D%98_%EC%84%B1%EB%A6%BD/%EB%A1%9C%EB%A7%88_%EC%A0%9C%EA%B5%AD%EC%9D%98_%EB%A9%B8%EB%A7%9D#%EC%BD%98%EC%8A%A4%ED%83%84%ED%8B%B0%EC%9A%B0%EC%8A%A4_2%EC%84%B8 콘스탄티우스 2세](재위: Flavius Julius Constantius, 재위: 337–361)는 동방 지역을 다스렸다. 콘스탄티누스 2세와 콘스탄스는 니케아 신조를 지지했지만, 콘스탄티우스는 달랐다. 그의 통치 지역은 아리우스주의의 영향력이 큰 동방이었고, 그 역시 아리우스주의를 옹호했다. 동로마의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대주교 자리에는 아리우스파인 에우세비오스가 앉았다.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는 대립 관계가 되었다.<ref>필립 샤프, 《교회사 3. 니케아 시대와 이후의 기독교》, 이길상 역,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4, 560-565쪽. <q>동방에서는 아리우스주의가 우세했다.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둘째 아들로서 동방의 군주였던 콘스탄티우스(Constantius)는 자신의 조정 신료들과 함께 철저한 불관용의 태도로 아리우스주의를 신봉했다. 니코메디아의 에우세비우스는 콘스탄티노플 주교가 되었다(338). ... 서방 교회 전체는 보편적으로 니케아 정통신앙에 확고히 속해 있었고 ... 이렇게 해서 동방과 서방이 명백한 대립의 관계에 들어가게 되었다.</q></ref> <br> | ||
340년 콘스탄티누스 2세가 죽자 서방은 콘스탄스의 지배를 받았다. 10년 후 콘스탄스도 암살되었다. 동방을 다스리던 콘스탄티우스는 전쟁에 휘말린 로마제국을 평정하고 단독 통치했다. 콘스탄티우스는 친아리우스주의 정책을 펼쳤다. 모든 교회 감독들에게 '성자는 성부를 닮지 않았다'는 아리우스주의를 받아들이도록 강요했으며, 따르지 않는 감독은 추방했다. 아리우스주의에 반대한 아타나시우스도 콘스탄티우스의 박해에 피신했다.<ref>{{웹 인용 |url=https://www.britannica.com/biography/Constantius-II |제목="Constantius II" |웹사이트=Britannica|인용문= }}</ref> 로마 감독 리베리우스는 콘스탄티우스의 강압에 니케아 신조를 무효화하는 문서에 서명하기도 했다.<ref>{{웹 인용 |url=https://www.britannica.com/biography/Liberius |제목="Liberius" |웹사이트=Britannica|인용문= }}</ref> | 340년 콘스탄티누스 2세가 죽자 서방은 콘스탄스의 지배를 받았다. 10년 후 콘스탄스도 암살되었다. 동방을 다스리던 콘스탄티우스는 전쟁에 휘말린 로마제국을 평정하고 단독 통치했다. 콘스탄티우스는 친아리우스주의 정책을 펼쳤다. 모든 교회 감독들에게 '성자는 성부를 닮지 않았다'는 아리우스주의를 받아들이도록 강요했으며, 따르지 않는 감독은 추방했다. 아리우스주의에 반대한 아타나시우스도 콘스탄티우스의 박해에 피신했다.<ref>{{웹 인용 |url=https://www.britannica.com/biography/Constantius-II |제목="Constantius II" |웹사이트=Britannica|인용문= }}</ref> 로마 감독 리베리우스는 콘스탄티우스의 강압에 니케아 신조를 무효화하는 문서에 서명하기도 했다.<ref>{{웹 인용 |url=https://www.britannica.com/biography/Liberius |제목="Liberius" |웹사이트=Britannica|인용문= }}</ref> | ||
====배교자 율리아누스==== | ====배교자 율리아누스==== | ||
360년, 파리에 주둔했던 로마 군대가 콘스탄티우스 2세에게 반란을 일으키고 그들의 지도자 [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84%B8%EA%B3%84%EC%82%AC/%EC%A4%91%EC%84%B8_%EC%9C%A0%EB%9F%BD%EA%B3%BC_%EC%95%84%EC%8B%9C%EC%95%84/%EC%A4%91%EC%84%B8_%EC%9C%A0%EB%9F%BD%EC%9D%98_%EC%84%B1%EB%A6%BD/%EB%A1%9C%EB%A7%88_%EC%A0%9C%EA%B5%AD%EC%9D%98_%EB%A9%B8%EB%A7%9D#%EC%9C%A8%EB%A6%AC%EC%95%84%EB%88%84%EC%8A%A4 율리아누스](라틴어: Flavius Claudius Julianus, 재위: 361–363)를 황제로 선포했다. 그런데 콘스탄티우스와 율리아누스의 군대가 충돌하기 전, 콘스탄티우스가 병에 걸려 죽으면서 361년 율리아누스가 로마제국의 단독 황제가 되었다. 그는 즉위하자마자 이교로 개종을 선언하고 스스로를 명백하게 이교의 수장으로 여김으로 '배교자 율리아누스'라는 별명을 얻었다.<ref>{{웹 인용 |url=https://www.britannica.com/biography/Julian-Roman-emperor |제목="Julian"|웹사이트=Britannica|인용문= }}</ref><br> | |||
360년, 파리에 주둔했던 로마 군대가 콘스탄티우스 2세에게 반란을 일으키고 그들의 지도자 [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84%B8%EA%B3%84%EC%82%AC/%EC%A4%91%EC%84%B8_%EC%9C%A0%EB%9F%BD%EA%B3%BC_%EC%95%84%EC%8B%9C%EC%95%84/%EC%A4%91%EC%84%B8_%EC%9C%A0%EB%9F%BD%EC%9D%98_%EC%84%B1%EB%A6%BD/%EB%A1%9C%EB%A7%88_%EC%A0%9C%EA%B5%AD%EC%9D%98_%EB%A9%B8%EB%A7%9D#%EC%9C%A8%EB%A6%AC%EC%95%84%EB%88%84%EC%8A%A4 율리아누스](라틴어: Flavius Claudius | |||
율리아누스는 콘스탄티누스의 조카로, 어릴 적 그리스에서 공부하며 신플라톤주의에 이끌렸고 '불멸의 태양신' 숭배를 받아들였다. 이러한 율리아누스는 모든 종교에 대해 신앙의 자유를 선포했는데, 이 칙령은 이교를 부활시키고 공식 종교의 수준으로 끌어올리려는 의도가 숨어 있었다. 그는 이교도의 신을 위한 동물 희생제를 지냈고 이교 정통 교리를 옹호했으며 자기 휘하의 성직자들에게 교리에 관한 지시를 내렸다. 또한 콘스탄티우스 2세가 추방했던 니케아 신앙의 교회 감독들을 복귀시켰다. 이는 아리우스주의 교회 감독과 니케아 신앙 교회 감독 간의 불화를 조장하기 위한 조치였다.<ref>수잔 와이즈 바우어, 《수잔 바우어의 중세 이야기 1》, 이광일 역, 이론과실천, 2011, 61쪽. <q>율리아누스는 니케아 공의회에서 아리우스에 동조했다는 이유로 추방당한 기독교 성직자 전원을 복직시켰다. ... 당연히 곧바로 심각한 신학 논쟁이 벌어졌다. ... 율리아누스는 통합이 아니라 분열을 위해서 기독교의 힘을 이용했다. 이 모든 반기독교 책동 때문에 율리아누스는 '배교자 율리아누스'라는 별명을 얻었다.</q></ref> | 율리아누스는 콘스탄티누스의 조카로, 어릴 적 그리스에서 공부하며 신플라톤주의에 이끌렸고 '불멸의 태양신' 숭배를 받아들였다. 이러한 율리아누스는 모든 종교에 대해 신앙의 자유를 선포했는데, 이 칙령은 이교를 부활시키고 공식 종교의 수준으로 끌어올리려는 의도가 숨어 있었다. 그는 이교도의 신을 위한 동물 희생제를 지냈고 이교 정통 교리를 옹호했으며 자기 휘하의 성직자들에게 교리에 관한 지시를 내렸다. 또한 콘스탄티우스 2세가 추방했던 니케아 신앙의 교회 감독들을 복귀시켰다. 이는 아리우스주의 교회 감독과 니케아 신앙 교회 감독 간의 불화를 조장하기 위한 조치였다.<ref>수잔 와이즈 바우어, 《수잔 바우어의 중세 이야기 1》, 이광일 역, 이론과실천, 2011, 61쪽. <q>율리아누스는 니케아 공의회에서 아리우스에 동조했다는 이유로 추방당한 기독교 성직자 전원을 복직시켰다. ... 당연히 곧바로 심각한 신학 논쟁이 벌어졌다. ... 율리아누스는 통합이 아니라 분열을 위해서 기독교의 힘을 이용했다. 이 모든 반기독교 책동 때문에 율리아누스는 '배교자 율리아누스'라는 별명을 얻었다.</q></ref> | ||
| 40번째 줄: | 39번째 줄: | ||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아리우스주의 금지 === |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아리우스주의 금지 === | ||
[[File:Homilies of Gregory the Theologian gr. 510, f 723.jpg | [[File:Homilies of Gregory the Theologian gr. 510, f 723.jpg|섬네일|285x285px|아리우스주의를 금지한 제1차 콘스탄티노플 공의회]] | ||
378년 발렌스가 전사했다. 동로마는 서로마 황제 [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84%B8%EA%B3%84%EC%82%AC/%EC%A4%91%EC%84%B8_%EC%9C%A0%EB%9F%BD%EA%B3%BC_%EC%95%84%EC%8B%9C%EC%95%84/%EC%A4%91%EC%84%B8_%EC%9C%A0%EB%9F%BD%EC%9D%98_%EC%84%B1%EB%A6%BD/%EB%A1%9C%EB%A7%88_%EC%A0%9C%EA%B5%AD%EC%9D%98_%EB%A9%B8%EB%A7%9D#%EA%B7%B8%EB%9D%BC%ED%8B%B0%EC%95%84%EB%88%84%EC%8A%A4 그라티아누스](라틴어: Flavius Gratianus, 재위: 375–383)의 통치 아래 놓였다. 그라티아누스는 발렌스의 박해로 유배된 동로마 감독들을 복직시켰고, 군대 총사령관 [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84%B8%EA%B3%84%EC%82%AC/%EC%A4%91%EC%84%B8_%EC%9C%A0%EB%9F%BD%EA%B3%BC_%EC%95%84%EC%8B%9C%EC%95%84/%EC%A4%91%EC%84%B8_%EC%9C%A0%EB%9F%BD%EC%9D%98_%EC%84%B1%EB%A6%BD/%EB%A1%9C%EB%A7%88_%EC%A0%9C%EA%B5%AD%EC%9D%98_%EB%A9%B8%EB%A7%9D#%ED%85%8C%EC%98%A4%EB%8F%84%EC%8B%9C%EC%9A%B0%EC%8A%A4_1%EC%84%B8 테오도시우스 1세](라틴어: Flavius Theodosius, 재위: 379–395)를 동로마의 후계자로 삼았다.<br> | 378년 발렌스가 전사했다. 동로마는 서로마 황제 [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84%B8%EA%B3%84%EC%82%AC/%EC%A4%91%EC%84%B8_%EC%9C%A0%EB%9F%BD%EA%B3%BC_%EC%95%84%EC%8B%9C%EC%95%84/%EC%A4%91%EC%84%B8_%EC%9C%A0%EB%9F%BD%EC%9D%98_%EC%84%B1%EB%A6%BD/%EB%A1%9C%EB%A7%88_%EC%A0%9C%EA%B5%AD%EC%9D%98_%EB%A9%B8%EB%A7%9D#%EA%B7%B8%EB%9D%BC%ED%8B%B0%EC%95%84%EB%88%84%EC%8A%A4 그라티아누스](라틴어: Flavius Gratianus, 재위: 375–383)의 통치 아래 놓였다. 그라티아누스는 발렌스의 박해로 유배된 동로마 감독들을 복직시켰고, 군대 총사령관 [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84%B8%EA%B3%84%EC%82%AC/%EC%A4%91%EC%84%B8_%EC%9C%A0%EB%9F%BD%EA%B3%BC_%EC%95%84%EC%8B%9C%EC%95%84/%EC%A4%91%EC%84%B8_%EC%9C%A0%EB%9F%BD%EC%9D%98_%EC%84%B1%EB%A6%BD/%EB%A1%9C%EB%A7%88_%EC%A0%9C%EA%B5%AD%EC%9D%98_%EB%A9%B8%EB%A7%9D#%ED%85%8C%EC%98%A4%EB%8F%84%EC%8B%9C%EC%9A%B0%EC%8A%A4_1%EC%84%B8 테오도시우스 1세](라틴어: Flavius Theodosius, 재위: 379–395)를 동로마의 후계자로 삼았다.<br> | ||
테오도시우스는 니케아 신앙을 따르는 독실한 기독교인이었다. 그는 380년 모든 신민이 삼위일체를 인정하는 신조 하나만 따르게 하는 칙령을 발표하여 삼위일체를 믿는 사람만 '가톨릭(Catholic, 어원은 헬라어: καθολικός[katholikós]<ref>[https://dict.naver.com/grckodict/#/entry/grcko/87942e97024640ecb06050657c24099c “καθολικός”], 《고대 그리스어사전》</ref>로 '보편'을 의미)' 신자로 간주했다. 380년에 결정된 신조는 다시 구체적으로 규정되어 381년 테오도시우스가 소집한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정식 승인을 받았다. 그 신조가 '니케아–콘스탄노폴리스 신경(Niceno-Constantinopolitan Creed)'이다.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은 일반적으로 '니케아 신경' 또는 '니케아 신조'라고 하며, 성령의 신성이 결여됐던 325년 니케아 신조를 개정했다. 테오도시우스는 391년 이교의 희생제사와 신전참배를 금지했고, 392년에는 지난해의 칙령을 더욱 엄격하게 시행하여 이교 신들의 숭배의식을 모두 금지시켰다.<ref>{{웹 인용 |url=https://www.britannica.com/biography/Theodosius-I|제목="Theodosius I"|웹사이트=Britannica|인용문=}}</ref> | 테오도시우스는 니케아 신앙을 따르는 독실한 기독교인이었다. 그는 380년 모든 신민이 삼위일체를 인정하는 신조 하나만 따르게 하는 칙령을 발표하여 삼위일체를 믿는 사람만 '가톨릭(Catholic, 어원은 헬라어: καθολικός[katholikós]<ref>[https://dict.naver.com/grckodict/#/entry/grcko/87942e97024640ecb06050657c24099c “καθολικός”], 《고대 그리스어사전》</ref>로 '보편'을 의미)' 신자로 간주했다. 380년에 결정된 신조는 다시 구체적으로 규정되어 381년 테오도시우스가 소집한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정식 승인을 받았다. 그 신조가 '니케아–콘스탄노폴리스 신경(Niceno-Constantinopolitan Creed)'이다.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은 일반적으로 '니케아 신경' 또는 '니케아 신조'라고 하며, 성령의 신성이 결여됐던 325년 니케아 신조를 개정했다. 테오도시우스는 391년 이교의 희생제사와 신전참배를 금지했고, 392년에는 지난해의 칙령을 더욱 엄격하게 시행하여 이교 신들의 숭배의식을 모두 금지시켰다.<ref>{{웹 인용 |url=https://www.britannica.com/biography/Theodosius-I|제목="Theodosius I"|웹사이트=Britannica|인용문=}}</ref> | ||
| 117번째 줄: | 116번째 줄: | ||
아리우스주의는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이후 로마제국 안에서 사라졌지만, [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84%B8%EA%B3%84%EC%82%AC/%EC%A4%91%EC%84%B8_%EC%9C%A0%EB%9F%BD%EA%B3%BC_%EC%95%84%EC%8B%9C%EC%95%84/%EC%A4%91%EC%84%B8_%EC%9C%A0%EB%9F%BD%EC%9D%98_%EC%84%B1%EB%A6%BD/%EA%B2%8C%EB%A5%B4%EB%A7%8C_%EB%AF%BC%EC%A1%B1%EC%9D%98_%EB%8C%80%EC%9D%B4%EB%8F%99 게르만족] 사이에는 계속 존속했다.<ref>수잔 와이즈 바우어, 《수잔 바우어의 중세 이야기 1》, 이광일 역, 이론과실천, 2011, 133쪽, <q>아리우스주의(그리스도는 영원부터 성부와 공존한 것이 아니라 성부에 의해 창조됐다는 설)는 여전히 살아 있었다. 그러나 제국의 중심에서 변방으로 밀려난 상태였다. 아리우스파는 야만족들의 종교가 됐다.</q></ref> 게르만족은 원래 발트해 연안과 스칸디나비아반도에 살면서 농경, 목축과 수렵 생활을 했는데, 인구 증가와 토지 부족으로 남하하여 로마의 국경선 근처에 자리잡았다. 4세기 후반 흑해 연안의 게르만족은 훈족의 서진(西進)으로 압박을 받아 로마 제국 영토 안으로 이동하였고, 이를 계기로 게르만족의 대이동이 시작됐다.<ref>김형종 외, 《고등학교 세계사》, 금성출판사, 2017, 116쪽</ref><ref>김덕수 외, 《고등학교 세계사》, 천재교육, 2017, 125쪽</ref> 이 과정에서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694211 고트족]([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84%B8%EA%B3%84%EC%82%AC/%EC%A4%91%EC%84%B8_%EC%9C%A0%EB%9F%BD%EA%B3%BC_%EC%95%84%EC%8B%9C%EC%95%84/%EC%A4%91%EC%84%B8_%EC%9C%A0%EB%9F%BD%EC%9D%98_%EC%84%B1%EB%A6%BD/%EA%B2%8C%EB%A5%B4%EB%A7%8C_%EB%AF%BC%EC%A1%B1%EC%9D%98_%EB%8C%80%EC%9D%B4%EB%8F%99#%EB%8F%99%EA%B3%A0%ED%8A%B8%EC%A1%B1 동고트족], [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84%B8%EA%B3%84%EC%82%AC/%EC%A4%91%EC%84%B8_%EC%9C%A0%EB%9F%BD%EA%B3%BC_%EC%95%84%EC%8B%9C%EC%95%84/%EC%A4%91%EC%84%B8_%EC%9C%A0%EB%9F%BD%EC%9D%98_%EC%84%B1%EB%A6%BD/%EA%B2%8C%EB%A5%B4%EB%A7%8C_%EB%AF%BC%EC%A1%B1%EC%9D%98_%EB%8C%80%EC%9D%B4%EB%8F%99#%EC%84%9C%EA%B3%A0%ED%8A%B8%EC%A1%B1 서고트족]), [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84%B8%EA%B3%84%EC%82%AC/%EC%A4%91%EC%84%B8_%EC%9C%A0%EB%9F%BD%EA%B3%BC_%EC%95%84%EC%8B%9C%EC%95%84/%EC%A4%91%EC%84%B8_%EC%9C%A0%EB%9F%BD%EC%9D%98_%EC%84%B1%EB%A6%BD/%EA%B2%8C%EB%A5%B4%EB%A7%8C_%EB%AF%BC%EC%A1%B1%EC%9D%98_%EB%8C%80%EC%9D%B4%EB%8F%99#%EB%B0%98%EB%8B%AC%EC%A1%B1 반달족], [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84%B8%EA%B3%84%EC%82%AC/%EC%A4%91%EC%84%B8_%EC%9C%A0%EB%9F%BD%EA%B3%BC_%EC%95%84%EC%8B%9C%EC%95%84/%EC%A4%91%EC%84%B8_%EC%9C%A0%EB%9F%BD%EC%9D%98_%EC%84%B1%EB%A6%BD/%EA%B2%8C%EB%A5%B4%EB%A7%8C_%EB%AF%BC%EC%A1%B1%EC%9D%98_%EB%8C%80%EC%9D%B4%EB%8F%99#%EC%95%B5%EA%B8%80%EB%A1%9C%EC%83%89%EC%8A%A8%EC%A1%B1 앵글로색슨족], [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84%B8%EA%B3%84%EC%82%AC/%EC%A4%91%EC%84%B8_%EC%9C%A0%EB%9F%BD%EA%B3%BC_%EC%95%84%EC%8B%9C%EC%95%84/%EC%A4%91%EC%84%B8_%EC%9C%A0%EB%9F%BD%EC%9D%98_%EC%84%B1%EB%A6%BD/%EA%B2%8C%EB%A5%B4%EB%A7%8C_%EB%AF%BC%EC%A1%B1%EC%9D%98_%EB%8C%80%EC%9D%B4%EB%8F%99#%EB%A1%AC%EB%B0%94%EB%A5%B4%EB%93%9C%EC%A1%B1 롬바르드족], [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84%B8%EA%B3%84%EC%82%AC/%EC%A4%91%EC%84%B8_%EC%9C%A0%EB%9F%BD%EA%B3%BC_%EC%95%84%EC%8B%9C%EC%95%84/%EC%A4%91%EC%84%B8_%EC%9C%A0%EB%9F%BD%EC%9D%98_%EC%84%B1%EB%A6%BD/%ED%94%84%EB%9E%91%ED%81%AC_%EC%99%95%EA%B5%AD%EC%9D%98_%EC%84%B1%EB%A6%BD#%ED%94%84%EB%9E%91%ED%81%AC%EC%A1%B1 프랑크족],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0954 알라만족],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14359 부르군트족],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01235 수에비족], [https://opendic.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025719&viewType=confirm 헤룰리족] 등이 로마 영토 안에 여러 왕국을 건설했다. 이 때문에 서로마제국은 점차 쇠퇴하다가 476년, 게르만족 용병대장 [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84%B8%EA%B3%84%EC%82%AC/%EC%A4%91%EC%84%B8_%EC%9C%A0%EB%9F%BD%EA%B3%BC_%EC%95%84%EC%8B%9C%EC%95%84/%EC%A4%91%EC%84%B8_%EC%9C%A0%EB%9F%BD%EC%9D%98_%EC%84%B1%EB%A6%BD/%EB%A1%9C%EB%A7%88_%EC%A0%9C%EA%B5%AD%EC%9D%98_%EB%A9%B8%EB%A7%9D#%EC%98%A4%EB%8F%84%EC%95%84%EC%BC%80%EB%A5%B4 오도아케르]에게 멸망당했다.<ref>조한욱 외, 《고등학교 세계사》, 비상교육, 2016, 105쪽</ref> | 아리우스주의는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이후 로마제국 안에서 사라졌지만, [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84%B8%EA%B3%84%EC%82%AC/%EC%A4%91%EC%84%B8_%EC%9C%A0%EB%9F%BD%EA%B3%BC_%EC%95%84%EC%8B%9C%EC%95%84/%EC%A4%91%EC%84%B8_%EC%9C%A0%EB%9F%BD%EC%9D%98_%EC%84%B1%EB%A6%BD/%EA%B2%8C%EB%A5%B4%EB%A7%8C_%EB%AF%BC%EC%A1%B1%EC%9D%98_%EB%8C%80%EC%9D%B4%EB%8F%99 게르만족] 사이에는 계속 존속했다.<ref>수잔 와이즈 바우어, 《수잔 바우어의 중세 이야기 1》, 이광일 역, 이론과실천, 2011, 133쪽, <q>아리우스주의(그리스도는 영원부터 성부와 공존한 것이 아니라 성부에 의해 창조됐다는 설)는 여전히 살아 있었다. 그러나 제국의 중심에서 변방으로 밀려난 상태였다. 아리우스파는 야만족들의 종교가 됐다.</q></ref> 게르만족은 원래 발트해 연안과 스칸디나비아반도에 살면서 농경, 목축과 수렵 생활을 했는데, 인구 증가와 토지 부족으로 남하하여 로마의 국경선 근처에 자리잡았다. 4세기 후반 흑해 연안의 게르만족은 훈족의 서진(西進)으로 압박을 받아 로마 제국 영토 안으로 이동하였고, 이를 계기로 게르만족의 대이동이 시작됐다.<ref>김형종 외, 《고등학교 세계사》, 금성출판사, 2017, 116쪽</ref><ref>김덕수 외, 《고등학교 세계사》, 천재교육, 2017, 125쪽</ref> 이 과정에서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694211 고트족]([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84%B8%EA%B3%84%EC%82%AC/%EC%A4%91%EC%84%B8_%EC%9C%A0%EB%9F%BD%EA%B3%BC_%EC%95%84%EC%8B%9C%EC%95%84/%EC%A4%91%EC%84%B8_%EC%9C%A0%EB%9F%BD%EC%9D%98_%EC%84%B1%EB%A6%BD/%EA%B2%8C%EB%A5%B4%EB%A7%8C_%EB%AF%BC%EC%A1%B1%EC%9D%98_%EB%8C%80%EC%9D%B4%EB%8F%99#%EB%8F%99%EA%B3%A0%ED%8A%B8%EC%A1%B1 동고트족], [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84%B8%EA%B3%84%EC%82%AC/%EC%A4%91%EC%84%B8_%EC%9C%A0%EB%9F%BD%EA%B3%BC_%EC%95%84%EC%8B%9C%EC%95%84/%EC%A4%91%EC%84%B8_%EC%9C%A0%EB%9F%BD%EC%9D%98_%EC%84%B1%EB%A6%BD/%EA%B2%8C%EB%A5%B4%EB%A7%8C_%EB%AF%BC%EC%A1%B1%EC%9D%98_%EB%8C%80%EC%9D%B4%EB%8F%99#%EC%84%9C%EA%B3%A0%ED%8A%B8%EC%A1%B1 서고트족]), [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84%B8%EA%B3%84%EC%82%AC/%EC%A4%91%EC%84%B8_%EC%9C%A0%EB%9F%BD%EA%B3%BC_%EC%95%84%EC%8B%9C%EC%95%84/%EC%A4%91%EC%84%B8_%EC%9C%A0%EB%9F%BD%EC%9D%98_%EC%84%B1%EB%A6%BD/%EA%B2%8C%EB%A5%B4%EB%A7%8C_%EB%AF%BC%EC%A1%B1%EC%9D%98_%EB%8C%80%EC%9D%B4%EB%8F%99#%EB%B0%98%EB%8B%AC%EC%A1%B1 반달족], [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84%B8%EA%B3%84%EC%82%AC/%EC%A4%91%EC%84%B8_%EC%9C%A0%EB%9F%BD%EA%B3%BC_%EC%95%84%EC%8B%9C%EC%95%84/%EC%A4%91%EC%84%B8_%EC%9C%A0%EB%9F%BD%EC%9D%98_%EC%84%B1%EB%A6%BD/%EA%B2%8C%EB%A5%B4%EB%A7%8C_%EB%AF%BC%EC%A1%B1%EC%9D%98_%EB%8C%80%EC%9D%B4%EB%8F%99#%EC%95%B5%EA%B8%80%EB%A1%9C%EC%83%89%EC%8A%A8%EC%A1%B1 앵글로색슨족], [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84%B8%EA%B3%84%EC%82%AC/%EC%A4%91%EC%84%B8_%EC%9C%A0%EB%9F%BD%EA%B3%BC_%EC%95%84%EC%8B%9C%EC%95%84/%EC%A4%91%EC%84%B8_%EC%9C%A0%EB%9F%BD%EC%9D%98_%EC%84%B1%EB%A6%BD/%EA%B2%8C%EB%A5%B4%EB%A7%8C_%EB%AF%BC%EC%A1%B1%EC%9D%98_%EB%8C%80%EC%9D%B4%EB%8F%99#%EB%A1%AC%EB%B0%94%EB%A5%B4%EB%93%9C%EC%A1%B1 롬바르드족], [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84%B8%EA%B3%84%EC%82%AC/%EC%A4%91%EC%84%B8_%EC%9C%A0%EB%9F%BD%EA%B3%BC_%EC%95%84%EC%8B%9C%EC%95%84/%EC%A4%91%EC%84%B8_%EC%9C%A0%EB%9F%BD%EC%9D%98_%EC%84%B1%EB%A6%BD/%ED%94%84%EB%9E%91%ED%81%AC_%EC%99%95%EA%B5%AD%EC%9D%98_%EC%84%B1%EB%A6%BD#%ED%94%84%EB%9E%91%ED%81%AC%EC%A1%B1 프랑크족],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0954 알라만족],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14359 부르군트족],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01235 수에비족], [https://opendic.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025719&viewType=confirm 헤룰리족] 등이 로마 영토 안에 여러 왕국을 건설했다. 이 때문에 서로마제국은 점차 쇠퇴하다가 476년, 게르만족 용병대장 [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84%B8%EA%B3%84%EC%82%AC/%EC%A4%91%EC%84%B8_%EC%9C%A0%EB%9F%BD%EA%B3%BC_%EC%95%84%EC%8B%9C%EC%95%84/%EC%A4%91%EC%84%B8_%EC%9C%A0%EB%9F%BD%EC%9D%98_%EC%84%B1%EB%A6%BD/%EB%A1%9C%EB%A7%88_%EC%A0%9C%EA%B5%AD%EC%9D%98_%EB%A9%B8%EB%A7%9D#%EC%98%A4%EB%8F%84%EC%95%84%EC%BC%80%EB%A5%B4 오도아케르]에게 멸망당했다.<ref>조한욱 외, 《고등학교 세계사》, 비상교육, 2016, 105쪽</ref> | ||
게르만족의 포로가 된 기독교 지도자들은 그들에게 포교했고 또는 포교를 위해 자원해서 그들에게 갔다. 아리우스파 역시 아리우스주의를 전파했다. 게르만족의 아리우스주의는 4세기 중엽 고트족에서 시작됐다. 당시 아리우스주의를 지지하는 콘스탄티우스 2세의 치세 아래 아리우스파인 서고트족 주교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18460 울필라스]의 | 게르만족의 포로가 된 기독교 지도자들은 그들에게 포교했고 또는 포교를 위해 자원해서 그들에게 갔다. 아리우스파 역시 아리우스주의를 전파했다. 게르만족의 아리우스주의는 4세기 중엽 고트족에서 시작됐다. 당시 아리우스주의를 지지하는 콘스탄티우스 2세의 치세 아래 아리우스파인 서고트족 주교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18460 울필라스]의 활동으로 거의 모든 고트족이 아리우스주의 기독교인이 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www.britannica.com/topic/Goth|제목="Goth"|웹사이트=Britannica|인용문=}}</ref> 프랑크족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게르만족이 로마 가톨릭에서 이단으로 규정한 아리우스주의를 받아들여 로마 가톨릭을 믿던 로마인과 융화하기가 어려웠다.<ref>강택구 외, 《고등학교 세계사》, 더텍스트, 2015, 85쪽</ref> | ||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한 프랑크족=== |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한 프랑크족=== | ||
[[File:Master Of Saint Gilles - The Baptism of Clovis - WGA14482.jpg | [[File:Master Of Saint Gilles - The Baptism of Clovis - WGA14482.jpg|섬네일|왼쪽|274x274px|프랑크왕국의 클로비스왕은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하고 세례를 받았다.]] | ||
서로마를 차지한 게르만족 사이에 아리우스주의가 활개 칠 때, 프랑크족은 게르만족의 전통 종교를 신봉했다. 프랑크족이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한 것은 [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84%B8%EA%B3%84%EC%82%AC/%EC%A4%91%EC%84%B8_%EC%9C%A0%EB%9F%BD%EA%B3%BC_%EC%95%84%EC%8B%9C%EC%95%84/%EC%A4%91%EC%84%B8_%EC%9C%A0%EB%9F%BD%EC%9D%98_%EC%84%B1%EB%A6%BD/%ED%94%84%EB%9E%91%ED%81%AC_%EC%99%95%EA%B5%AD%EC%9D%98_%EC%84%B1%EB%A6%BD#%ED%81%B4%EB%A1%9C%EB%B9%84%EC%8A%A4_1%EC%84%B8 클로비스 1세](라틴어: Chlodovechus I, 재위: 481–511) 때였다. 496년경에 벌어진 알라만족과의 전쟁(톨비아크[Tolbiac, Tolbiacum] 전투)에서 승리한 이후 클로비스가 로마 가톨릭을 받아들이고 세례를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프랑크족과 알라만족 사이에 벌어진 톨비아크 전투 날짜는 전통적으로 496년으로 알려져 있지만, 다른 기록에서는 480년대나 490년대 초, 또는 그 이후인 506년경이라고 추정하기도 한다. 클로비스가 세례를 받은 연도는 톨비아크 전쟁 승리 이후이다(Heidi Heiks, 《AD 508 Source Book》, Vol. 1, TEACH Services, Inc., 2011 참고).</ref><br> | 서로마를 차지한 게르만족 사이에 아리우스주의가 활개 칠 때, 프랑크족은 게르만족의 전통 종교를 신봉했다. 프랑크족이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한 것은 [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84%B8%EA%B3%84%EC%82%AC/%EC%A4%91%EC%84%B8_%EC%9C%A0%EB%9F%BD%EA%B3%BC_%EC%95%84%EC%8B%9C%EC%95%84/%EC%A4%91%EC%84%B8_%EC%9C%A0%EB%9F%BD%EC%9D%98_%EC%84%B1%EB%A6%BD/%ED%94%84%EB%9E%91%ED%81%AC_%EC%99%95%EA%B5%AD%EC%9D%98_%EC%84%B1%EB%A6%BD#%ED%81%B4%EB%A1%9C%EB%B9%84%EC%8A%A4_1%EC%84%B8 클로비스 1세](라틴어: Chlodovechus I, 재위: 481–511) 때였다. 496년경에 벌어진 알라만족과의 전쟁(톨비아크[Tolbiac, Tolbiacum] 전투)에서 승리한 이후 클로비스가 로마 가톨릭을 받아들이고 세례를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프랑크족과 알라만족 사이에 벌어진 톨비아크 전투 날짜는 전통적으로 496년으로 알려져 있지만, 다른 기록에서는 480년대나 490년대 초, 또는 그 이후인 506년경이라고 추정하기도 한다. 클로비스가 세례를 받은 연도는 톨비아크 전쟁 승리 이후이다(Heidi Heiks, 《AD 508 Source Book》, Vol. 1, TEACH Services, Inc., 2011 참고).</ref><br> | ||
클로비스의 개종 후, 프랑크족이 로마 가톨릭 신앙을 대대적으로 받아들이자 단일 민족으로의 통합이 수월해졌다. 또한 아리우스주의를 신봉한 다른 게르만족들과 달리 프랑크족은 로마 가톨릭 성직자들과 갈리아에 잔존한 로마인들의 지원을 얻었다. 롬바르드족의 침입에 시달리던 교황청을 도와줌으로써 로마 교회와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카롤루스 왕조 개창을 지지한 로마 교회에 대한 보답으로 이탈리아 중부 지역을 롬바르드족에게서 빼앗아 교황에게 기증하여 교황령을 마련하는 데 발판을 만들어 주었다.<ref>김덕수 외, 《고등학교 세계사》, 천재교육, 2017, 126쪽</ref> 이로써 프랑크왕국은 서유럽에 가장 강력한 기독교 국가를 건립했고, 8세기 초에는 비잔틴(동로마)제국을 제치고 유럽의 최강국이 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www.britannica.com/topic/Frank-people|제목="Frank (people)"|웹사이트=Britannica|인용문=}}</ref> | 클로비스의 개종 후, 프랑크족이 로마 가톨릭 신앙을 대대적으로 받아들이자 단일 민족으로의 통합이 수월해졌다. 또한 아리우스주의를 신봉한 다른 게르만족들과 달리 프랑크족은 로마 가톨릭 성직자들과 갈리아에 잔존한 로마인들의 지원을 얻었다. 롬바르드족의 침입에 시달리던 교황청을 도와줌으로써 로마 교회와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카롤루스 왕조 개창을 지지한 로마 교회에 대한 보답으로 이탈리아 중부 지역을 롬바르드족에게서 빼앗아 교황에게 기증하여 교황령을 마련하는 데 발판을 만들어 주었다.<ref>김덕수 외, 《고등학교 세계사》, 천재교육, 2017, 126쪽</ref> 이로써 프랑크왕국은 서유럽에 가장 강력한 기독교 국가를 건립했고, 8세기 초에는 비잔틴(동로마)제국을 제치고 유럽의 최강국이 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www.britannica.com/topic/Frank-people|제목="Frank (people)"|웹사이트=Britannica|인용문=}}</ref> | ||
| 126번째 줄: | 125번째 줄: | ||
===아리우스주의 국가 멸망=== | ===아리우스주의 국가 멸망=== | ||
[[File:Christian states 495 AD (en).svg|Christian_states_495_AD_(en)|섬네일|495년경 아리우스주의를 따른 게르만족(주황색)과 니케아 신조를 따른 동로마 제국(청록색)]] | [[File:Christian states 495 AD (en).svg|Christian_states_495_AD_(en)|섬네일|495년경 아리우스주의를 따른 게르만족(주황색)과 니케아 신조를 따른 동로마 제국(청록색)]] | ||
서방의 가톨릭 교회가 아리우스주의를 믿는 게르만족의 지배를 받는 불편한 상황에 놓여 있을 때, 가톨릭교를 신봉하는 동로마 제국에서 527년 [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84%B8%EA%B3%84%EC%82%AC/%EC%A4%91%EC%84%B8_%EC%9C%A0%EB%9F%BD%EA%B3%BC_%EC%95%84%EC%8B%9C%EC%95%84/%EC%A4%91%EC%84%B8_%EC%9C%A0%EB%9F%BD%EC%9D%98_%EC%84%B1%EB%A6%BD/%EB%8F%99%EB%A1%9C%EB%A7%88_%EC%A0%9C%EA%B5%AD%EA%B3%BC_%EB%B9%84%EC%9E%94%ED%8B%B4_%EB%AC%B8%ED%99%94#%EC%9C%A0%EC%8A%A4%ED%8B%B0%EB%8B%88%EC%95%84%EB%88%84%EC%8A%A4_%ED%99%A9%EC%A0%9C 유스티니아누스 1세](라틴어: Flavius Petrus Sabbatius | 서방의 가톨릭 교회가 아리우스주의를 믿는 게르만족의 지배를 받는 불편한 상황에 놓여 있을 때, 가톨릭교를 신봉하는 동로마 제국에서 527년 [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84%B8%EA%B3%84%EC%82%AC/%EC%A4%91%EC%84%B8_%EC%9C%A0%EB%9F%BD%EA%B3%BC_%EC%95%84%EC%8B%9C%EC%95%84/%EC%A4%91%EC%84%B8_%EC%9C%A0%EB%9F%BD%EC%9D%98_%EC%84%B1%EB%A6%BD/%EB%8F%99%EB%A1%9C%EB%A7%88_%EC%A0%9C%EA%B5%AD%EA%B3%BC_%EB%B9%84%EC%9E%94%ED%8B%B4_%EB%AC%B8%ED%99%94#%EC%9C%A0%EC%8A%A4%ED%8B%B0%EB%8B%88%EC%95%84%EB%88%84%EC%8A%A4_%ED%99%A9%EC%A0%9C 유스티니아누스 1세](라틴어: Flavius Petrus Sabbatius Justinianus, 재위: 527–565)가 황제로 즉위했다. 유스티니아누스는 동로마와 서로마를 합치려는 야망을 가지고 있었고, 즉위 전부터 분열된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의 통일이 곧 하나의 로마제국으로 재통일되는 길이라 믿었다. 그래서 519년 로마 교황의 사절단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방문했을 때 당시 황제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1005934 유스티누스 1세](라틴어: Flavius Justinus, 재위: 518–527)의 조카이자 내무대신이었던 유스티니아누스는 로마 가톨릭이 이단으로 지목한 동로마 제국의 감독들을 파문하는 데 동의했다.<ref>존 줄리어스 노리치, 《비잔티움 연대기 1: 창건과 혼란》, 남경태 역, 바다출판사, 2016, 311-313쪽. <q>519년 3월 25일에는 교황의 사절단이 콘스탄티노플에 와서 열째 초석에서 유스티니아누스의 영접을 받았다. 이틀 뒤 소피아 대성당에서 요한네스 총대주교는 옛 로마와 새 로마의 교회가 나눌 수 없는 하나라고 선언하고, ... 모든 이단 종파에 대한 파문장을 엄숙하게 낭독했다.</q></ref> 이후 황제가 되어 로마 교황을 교회의 우두머리라고 공식 선언하고, 로마 가톨릭이 아닌 이단 아리우스주의와 이교를 숙청했다.<ref>레오 도널드 데이비스, 《초기 그리스도교 에큐메니컬 7대 공의회》, 이기영 역, 대한기독교서회, 2018, 331-332쪽. <q>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전임자들보다 더 강력하고 조직적으로 교회 관련 사안에 개입하기 시작했다. ... "공의회의 결의에 따라 지존하신 옛 로마의 교황은 모든 성직자 중 최선임자요, 새로운 로마의 수도인 콘스탄티노플의 총대주교는 로마 교황청의 교황 바로 다음의 위상을 지니며, 기타의 다른 모든 교구에 우선하는 위치에 있다."라고 선언했다. ... 그는 동로마 지역에 상당수 남아 있는 이교들을 숙청하는 일에 정열을 기울였다.</q></ref> 534년에는 아프리카의 가톨릭 교회를 박해한 반달족을 무너뜨리고 로마 가톨릭 교회를 부활시켰으며,<ref>{{웹 인용 |url=https://www.britannica.com/topic/Vandal-Germanic-people|제목="Vandal"|웹사이트=Britannica|인용문=}}</ref> 535년에는 동고트족에 전쟁을 선포하여 결국 멸망시켰다.<ref>{{웹 인용 |url=https://www.britannica.com/biography/Justinian-I|제목="Justinian I"|웹사이트=Britannica|인용문=}}</ref><ref>{{웹 인용 |url=https://www.britannica.com/topic/Ostrogoth|제목="Ostrogoth"|웹사이트= Britannica |인용문=}}</ref> 당시 반달족과 동고트족은 모두 아리우스주의 기독교를 신봉하고 있었다. 이후 다른 게르만족은 아리우스주의를 포기하고 로마 가톨릭 신앙으로 바꾸었다.<ref>《기독교 대백과사전》 제10권, 기독교문사, 2003, 932쪽. <q>모든 야만 왕국은 결국 아리우스주의를 포기했거나 아니면 이탈리아의 오스트로고트(동고트)족과 아프리카의 반달족의 경우처럼 아리우스주의를 받아들인 것이 민족적 멸망의 원인중 하나로 판명되었다. 주요 아리우스주의 민족들은 부르군트족·비시고트족·롬바르드족이었다. 이들 각 민족은 격심한 투쟁을 거친 뒤 차례로 자기들이 배웠던 아리우스주의 기독교를 니캐아-로마 신앙으로 바꾸었다.</q></ref><ref>James Hastings et al., "ARIANISM," 《Encyclopedia of Religion and Ethics》, Vol. 1, Charles Scribner's Sons, 1908, p. 783, "Every barbarian kingdom ultimately abandoned Arianism, or else as in the case of the Ostrogoths in Italy and the Vandals in Africa, Arianism proved one of the causes of national ruin. . . . and each in turn, after a severe struggle, abandoned the form of Christianity in which they had been instructed for the Niceno-Roman faith."</ref> | ||
==현대의 아리우스주의== | ==현대의 아리우스주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