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가: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십자가는 기원전 6세기경부터 기원후 4세기까지 고대 서양에서 죄인을 못 박아 처형하던 형틀이다.<ref>[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pageSize=10&searchKeyword=%EC%8B%AD%EC%9E%90%EA%B0%80 "십자가"],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예전에, 서양에서 죄인을 못 박아 죽이던 십자가의 형틀."</ref><ref>이희승 편, "십자가", 《국어대사전》, 민중서림, 2018, 2344쪽, "옛날에 서양에서 죽일 죄인을 달아 놓고 못을 박아 죽이던 '十' 자 모양의 형구."</ref><ref>"십자가", 《한국가톨릭대사전》 제8권, 한국교회사연구소, 1993, 5577쪽, "십자가는 예수의 십자가 위의 죽음 전에는 사형을 위한 잔인한 도구였다. 기원전 6세기경부터 4세기까지 십자가형은 사형의 한 방법으로 페르시아의 셀레오쿠스 왕주, 카르타고와 로마 제국 내에서 사용되었다."</ref> 십자가형을 최초로 창안한 민족은 페니키아의 카르타고<ref>"십자가형", 《종교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소, 1998, "고대 지중해 세계에 보이는 책형구 ... 십자가를 중죄인의 책형구로 이용한 것은 페니키아인이 최초일 것이다."</ref><ref>"십자가형", 《교회사대사전》 제2권, 기독지혜사, 1994, 371쪽, "고대 세계에서 사용한 사형 방법 ... 페니키아인들이 창안해낸 뒤 다른 여러 민족들이 받아들인 듯하다."</ref> 또는 페르시아<ref name=":0">J. 스티븐 랭, "십자가와 예수의 처형", 《바이블 키워드》, 남경태 역, 들녘, 2014</ref>로 추정되며, 타 민족에게 영향을 주어 고대 바벨론(바빌로니아), 이집트, 아시리아 등지에서도 사용됐다. 알렉산드로스대왕은 [[메대 바사 (페르시아)|페르시아]]에서 십자가형을 배워 그리스에 전파했고, 로마인들은 2차 포에니 전쟁에서 승리한 이후 카르타고의 페니키아인에게 배워 [[로마 제국]]에서 사용했다.<ref>"십자가형", 《성서대백과사전》 제4권, 기독지혜사, 1979, 753쪽</ref> 이후 로마 제국에서 십자가형은 죄인을 가장 잔인하고 가혹하게 죽음에 이르게 하는 사형 방법으로 사용되었다.<ref>《고등학교 종교(기독교)》, 한국기독교학교연맹, 1993, 16쪽</ref> <br> | 십자가는 기원전 6세기경부터 기원후 4세기까지 고대 서양에서 죄인을 못 박아 처형하던 형틀이다.<ref>[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pageSize=10&searchKeyword=%EC%8B%AD%EC%9E%90%EA%B0%80 "십자가"],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예전에, 서양에서 죄인을 못 박아 죽이던 십자가의 형틀."</ref><ref>이희승 편, "십자가", 《국어대사전》, 민중서림, 2018, 2344쪽, "옛날에 서양에서 죽일 죄인을 달아 놓고 못을 박아 죽이던 '十' 자 모양의 형구."</ref><ref>"십자가", 《한국가톨릭대사전》 제8권, 한국교회사연구소, 1993, 5577쪽, "십자가는 예수의 십자가 위의 죽음 전에는 사형을 위한 잔인한 도구였다. 기원전 6세기경부터 4세기까지 십자가형은 사형의 한 방법으로 페르시아의 셀레오쿠스 왕주, 카르타고와 로마 제국 내에서 사용되었다."</ref> 십자가형을 최초로 창안한 민족은 페니키아의 카르타고<ref>"십자가형", 《종교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소, 1998, "고대 지중해 세계에 보이는 책형구 ... 십자가를 중죄인의 책형구로 이용한 것은 페니키아인이 최초일 것이다."</ref><ref>"십자가형", 《교회사대사전》 제2권, 기독지혜사, 1994, 371쪽, "고대 세계에서 사용한 사형 방법 ... 페니키아인들이 창안해낸 뒤 다른 여러 민족들이 받아들인 듯하다."</ref> 또는 페르시아<ref name=":0">J. 스티븐 랭, "십자가와 예수의 처형", 《바이블 키워드》, 남경태 역, 들녘, 2014</ref>로 추정되며, 타 민족에게 영향을 주어 고대 바벨론(바빌로니아), 이집트, 아시리아 등지에서도 사용됐다. 알렉산드로스대왕은 [[메대 바사 (페르시아)|페르시아]]에서 십자가형을 배워 그리스에 전파했고, 로마인들은 2차 포에니 전쟁에서 승리한 이후 카르타고의 페니키아인에게 배워 [[로마 제국]]에서 사용했다.<ref>"십자가형", 《성서대백과사전》 제4권, 기독지혜사, 1979, 753쪽</ref> 이후 로마 제국에서 십자가형은 죄인을 가장 잔인하고 가혹하게 죽음에 이르게 하는 사형 방법으로 사용되었다.<ref>《고등학교 종교(기독교)》, 한국기독교학교연맹, 1993, 16쪽</ref> <br> | ||
십자가형은 사형수를 십자가에 못 박거나 결박하여 처형하는데, 로마는 주로 극악한 범죄자나 반역자, 노예 등을 처벌하는 데 사용했다.<ref>"십자가형", 《CLP 성경사전》, 기독교문사, 2003, 800쪽, "이 처형 방식은 대중들로부터 모욕을 주고 서서히 육체적인 고통을 가하는 잔인한 방식 ... 본래 페니키아와 페르시아에서 시행하던 것으로, 로마에 유입되면서 노예들과 외국인들에게만 사용되었다."</ref><ref>가스펠서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4472&cid=50762&categoryId=51387 "십자가"], 《라이프성경사전》, 생명의말씀사, 2006, “십자가형은 로마에 도입되어 극악한 범죄자나 로마 황제의 권위에 도전한 반역자에게만 가해졌다.”</ref> 십자가형은 가장 잔인하고 수치스러운 형벌 중 하나였다. 로마의 법률가 율리우스 파울루스가 편찬한 형법에는 로마시대 가장 잔인한 형태의 형벌 종류로 세 가지를 꼽고 있는데, 그 첫째가 십자가형이다.<ref>Mitchell B. Merback, ''The Thief, the Cross and the Wheel'', Reaktion Books, 2001, p. 202</ref><ref>둘째는 화형, 셋째는 교수형이다. 교수형 대신 짐승에게 찢기는 형벌도 거론되어 있다.</ref> 로마의 정치가였던 키케로는 십자가형을 '가장 잔인하고 혐오스러운 형벌(that most cruel and disgusting penalty)'이라고 표현했고, 유대 역사가 요세푸스는 '가장 비참한 죽음(the most wretched of deaths)의 형틀'이라고 표현했다.<br> | 십자가형은 사형수를 십자가에 못 박거나 결박하여 처형하는데, 로마는 주로 극악한 범죄자나 반역자, 노예 등을 처벌하는 데 사용했다.<ref>"십자가형", 《CLP 성경사전》, 기독교문사, 2003, 800쪽, "이 처형 방식은 대중들로부터 모욕을 주고 서서히 육체적인 고통을 가하는 잔인한 방식 ... 본래 페니키아와 페르시아에서 시행하던 것으로, 로마에 유입되면서 노예들과 외국인들에게만 사용되었다."</ref><ref>가스펠서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4472&cid=50762&categoryId=51387 "십자가"], 《라이프성경사전》, 생명의말씀사, 2006, “십자가형은 로마에 도입되어 극악한 범죄자나 로마 황제의 권위에 도전한 반역자에게만 가해졌다.”</ref> 십자가형은 가장 잔인하고 수치스러운 형벌 중 하나였다. 로마의 법률가 율리우스 파울루스가 편찬한 형법에는 로마시대 가장 잔인한 형태의 형벌 종류로 세 가지를 꼽고 있는데, 그 첫째가 십자가형이다.<ref>Mitchell B. Merback, ''The Thief, the Cross and the Wheel'', Reaktion Books, 2001, p. 202</ref><ref>둘째는 화형, 셋째는 교수형이다. 교수형 대신 짐승에게 찢기는 형벌도 거론되어 있다.</ref> 로마의 정치가였던 키케로는 십자가형을 '가장 잔인하고 혐오스러운 형벌(that most cruel and disgusting penalty)'이라고 표현했고, 유대 역사가 요세푸스는 '가장 비참한 죽음(the most wretched of deaths)의 형틀'이라고 표현했다.<br> | ||
십자가형의 집행 방식은 다양한데 일반적으로 형을 선고받은 죄수는 채찍질을 당한 후에 십자가 틀에 손목과 발이 못 박힌 채 땅에 수직으로 세워져 고통을 당하게 된다. 학자들에 따르면 십자가형은 육체적으로 극심하고 치명적인 고통을 유발시킨다. 십자가에 못 박혀 수직으로 매달리면 근육에 충격이 가해져 | 십자가형의 집행 방식은 다양한데 일반적으로 형을 선고받은 죄수는 채찍질을 당한 후에 십자가 틀에 손목과 발이 못 박힌 채 땅에 수직으로 세워져 고통을 당하게 된다. 학자들에 따르면 십자가형은 육체적으로 극심하고 치명적인 고통을 유발시킨다. 십자가에 못 박혀 수직으로 매달리면 근육에 충격이 가해져 횡격막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혈액 순환 장애와 장기 부전, 질식과 쇼크 등이 유발돼 사망에 이르게 된다.<ref>[https://www.britannica.com/topic/crucifixion-capital-punishment "Crucifixion,"] ''Encyclopaedia Britannica''</ref><ref>Lee Strobel, “The Medical Evidence,” ''The case for Christ'', Zondervan, pp. 255-256</ref> | ||
== 십자가의 종류== | == 십자가의 종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