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파라오):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섬네일 |296x296px|고대 이집트에서 일반적으로 묘사되던 파라오의 모습 '''바로'''(파라오, Pharaoh)는 고대 이집트의 왕을 가리키는 칭호(common title)다. 바로는 최고 통치자로서 정치적 지도자와 종교적 지도자의 역할을 함께 수행했으며 신격화되었다. 북쪽으로 이스라엘과 인접한 이집트는 성경 역사에도 자주 등장한다. 성경에서 이집트는 애굽...
 
편집 요약 없음
 
25번째 줄: 25번째 줄:
|+
|+
!성경 속 바로
!성경 속 바로
!추정 인물
!성경 구절
!성경 구절
!추정 인물<ref>열왕기상 6장 12절에 따르면, 기원전 11세기에 이뤄진 솔로몬의 성전 완공은 출애굽으로부터 480년이 지난 이후다. 따라서 출애굽 시기는 기원전 15세기로 추정할 수 있다. 이 문서에서는 출애굽 시기를 기원전 15세기를 볼 때를 기준으로 한다.</ref>
|-
|-
|아브라함 시대의 바로
|아브라함 시대의 바로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2장 창 12:10-20]
|제11-12왕조 파라오 중 1명
|제11-12왕조 파라오 중 1명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2장 창 12:10-20]
|-
|-
|
|
요셉 시대의 바로
요셉 시대의 바로
|제12왕조 세소스트리스 3세 및 아메넴헤트 3세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37장 창 37:36-50:9]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37장 창 37:36-50:9]
|제12왕조 파라오 중 1명<ref>출애굽기 12장 40절에 따르면, 야곱의 권속이 애굽 땅 고센으로 이주했을 때부터 약 400여 년간 애굽에 거주했고 노예 생활을 했다고 되어 있다. 따라서 야곱 일가의 애굽 이주를 기원전 19세기경으로 볼 수 있다.</ref>
|-
|-
|요셉을 알지 못하는 새 바로
|요셉을 알지 못하는 새 바로
|제18왕조 아흐모세 혹은 제18왕조 파라오 중 1명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장 출 1:8-22]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장 출 1:8-22]
| rowspan="3" |제18왕조 파라오 중 1명
|-
|-
|모세 출생 시의 바로
|모세 출생 시의 바로
|제18왕조 투트모스 1세 혹은 제18왕조 파라오 중 1명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장 출 2장]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장 출 2장]
|-
|-
|출애굽 시기의 바로
|출애굽 시기의 바로
|제18왕조 투트모스 3세 혹은 제18왕조 파라오 중 1명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5장 출 5-15장]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5장 출 5-15장]
|-
|-
|비디아의 아버지 바로
|비디아의 아버지 바로
|미상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상#4장 대상 4:18]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상#4장 대상 4:18]
| 미상
|-
|-
|에돔의 왕자 하닷을 맞이한 바로
|에돔의 왕자 하닷을 맞이한 바로
|제21왕조 아메네모페 혹은 제21왕조 시아문 혹은 제21왕조 프수센네스 2세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11장 왕상 11:15-22]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11장 왕상 11:15-22]
|제21왕조 파라오 중 1명
|-
|-
|솔로몬의 장인 바로
|솔로몬의 장인 바로
|제21왕조 시아문 혹은 제21왕조 프수센네스 2세 혹은 제22왕조 셰숑크 1세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3장 왕상 3:1],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7장 7:8],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9장 9:16-24],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11장 11:1-20]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3장 왕상 3:1],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7장 7:8],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9장 9:16-24],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11장 11:1-20]
|제21-22왕조 파라오 중 1명
|-
|-
|시삭(Shishaq)
|시삭(Shishaq)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11장 왕상 11:40],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14장 14:25],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하#12장 대하 12:1-9]
|제22왕조 셰숑크 1세
|제22왕조 셰숑크 1세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11장 왕상 11:40],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14장 14:25],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하#12장 대하 12:1-9]
|-
|-
|소(So)
|소(So)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17장 왕하 17:4]
|제22왕조 오소르콘 4세 혹은 제24왕조 테프나크트
|제22왕조 오소르콘 4세 혹은 제24왕조 테프나크트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17장 왕하 17:4]
|-
|-
|히스기야 시기의 바로
|히스기야 시기의 바로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18장 왕하 18:21]
|제25왕조 샤바카
|제25왕조 샤바카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18장 왕하 18:21]
|-
|-
|디르하가(Tirhaqah)
|디르하가(Tirhaqah)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19장 왕하 19:9-36],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37장 사 37:9]
|제25왕조 타하르카
|제25왕조 타하르카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19장 왕하 19:9-36],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37장 사 37:9]
|-
|-
|
|
느고(Necho)
느고(Necho)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3장 왕하 23:29-35],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25장 렘 25:1-19],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46장 46:2]
|제26왕조 네코 2세
|제26왕조 네코 2세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3장 왕하 23:29-35],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25장 렘 25:1-19],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46장 46:2]
|-
|-
|호프라(Hophra Apries)
|호프라(Hophra Apries)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37장 렘 37:1-11],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44장 44:30],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겔#17장 겔 17:11-17],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겔#29장 29:1-3]
|제26왕조 와히브레
|제26왕조 와히브레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37장 렘 37:1-11],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44장 44:30],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겔#17장 겔 17:11-17],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겔#29장 29:1-3]
|}
|}


===아브라함 시대===
===아브라함 시대===
[[파일:Farao geeft Sara aan Abraham terug Rijksmuseum SK-A-1191.jpeg |섬네일 | 200px |아브라함에게 사라를 보내는 바로]]
[[파일:Farao geeft Sara aan Abraham terug Rijksmuseum SK-A-1191.jpeg |섬네일 | 200px |아브라함에게 사라를 보내는 바로]]
[[창세기]] 12장에는 [[아브라함]]과 그의 아내 [[사라 (아브라함의 아내)|사라]]가 [[가나안]]의 기근을 피해 애굽으로 이동하는 모습이 기록되어 있다. 아브라함은 사라의 아름다움으로 애굽 사람들이 자신을 죽이고 사라를 취할 것을 우려해 사라를 누이로 소개했다. 애굽의 바로가 사라를 아내로 삼으려고 많은 예물을 아브라함에게 주었다가 재앙을 받았다. 바로는 사라가 아브라함의 아내인 것을 알고 사라를 다시 아브라함에게로 보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2장 |제목=창세기 12:10-20 |저널= |인용문=그 땅에 기근이 있으므로 아브람이 애굽에 우거하려 하여 그리로 내려갔으니 ... 그 아내 사래더러 말하되 ... 원컨대 그대는 나의 누이라 하라 ... 아브람이 애굽에 이르렀을 때에 ... 바로의 대신들도 그를 보고 바로 앞에 칭찬하므로 그 여인을 바로의 궁으로 취하여 들인지라 ... 이에 바로가 그를 인하여 아브람을 후대하므로 ... 여호와께서 아브람의 아내 사래의 연고로 바로와 그 집에 큰 재앙을 내리신지라 바로가 아브람을 불러서 이르되 ... 네가 어찌 그를 누이라 하여 나로 그를 취하여 아내를 삼게 하였느냐 네 아내가 여기 있으니 이제 데려가라 하고 바로가 사람들에게 그의 일을 명하매 그들이 그 아내와 그 모든 소유를 보내었더라}}</ref> 이때 등장하는 바로는 아브라함의 활동 시기로 추정되는 기원전 2000-1900년경과 비교했을 때, 기원전 2000-1600년경 존속한 이집트 중왕국(제11-12왕조)의 파라오로 짐작된다.<ref name=":2">“바로”, 《새성경사전》, 기독교문서선교회, 2001, 570쪽</ref>  
[[창세기]] 12장에는 [[아브라함]]과 그의 아내 [[사라 (아브라함의 아내)|사라]]가 [[가나안]]의 기근을 피해 애굽으로 이동하는 모습이 기록되어 있다. 아브라함은 사라의 아름다움으로 애굽 사람들이 자신을 죽이고 사라를 취할 것을 우려해 사라를 누이로 소개했다. 애굽의 바로가 사라를 아내로 삼으려고 많은 예물을 아브라함에게 주었다가 재앙을 받았다. 바로는 사라가 아브라함의 아내인 것을 알고 사라를 다시 아브라함에게로 보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2장 |제목=창세기 12:10-20 |저널= |인용문=그 땅에 기근이 있으므로 아브람이 애굽에 우거하려 하여 그리로 내려갔으니 ... 그 아내 사래더러 말하되 ... 원컨대 그대는 나의 누이라 하라 ... 아브람이 애굽에 이르렀을 때에 ... 바로의 대신들도 그를 보고 바로 앞에 칭찬하므로 그 여인을 바로의 궁으로 취하여 들인지라 ... 이에 바로가 그를 인하여 아브람을 후대하므로 ... 여호와께서 아브람의 아내 사래의 연고로 바로와 그 집에 큰 재앙을 내리신지라 바로가 아브람을 불러서 이르되 ... 네가 어찌 그를 누이라 하여 나로 그를 취하여 아내를 삼게 하였느냐 네 아내가 여기 있으니 이제 데려가라 하고 바로가 사람들에게 그의 일을 명하매 그들이 그 아내와 그 모든 소유를 보내었더라}}</ref>  
===요셉 시대===
===요셉 시대===
[[파일:Joseph receiving Pharaoh's Ring.tif |섬네일 | 200px |바로의 반지를 받는 요셉]]
[[파일:Joseph receiving Pharaoh's Ring.tif |섬네일 | 200px |바로의 반지를 받는 요셉]]
[[요셉]]이 애굽에 노예로 있을 때, 바로는 살진 일곱 암소가 흉악한 일곱 암소에게 먹히는 꿈과 마른 일곱 이삭이 좋은 일곱 이삭을 먹는 꿈을 꾸었다. 바로는 술 맡은 관원장의 추천을 받아 요셉을 만났다. 요셉이 애굽에 7년의 풍년이, 7년의 흉년이 있을 것에 대한 꿈이라며 꿈을 해석하자 바로는 요셉을 총리로 세웠다. 요셉은 7년간의 풍년 동안 곡식을 저축해 흉년을 대비했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41장 창세기 41장]</ref> 흉년 때 [[야곱]]의 일가족이 애굽 땅 고센에 이주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46장 |제목=창세기 46:26-27 |저널= |인용문=야곱과 함께 애굽에 이른 자는 야곱의 자부 외에 육십육 명이니 이는 다 야곱의 몸에서 나온 자며 애굽에서 요셉에게 낳은 아들이 두 명이니 야곱의 집 사람으로 애굽에 이른 자의 도합이 칠십 명이었더라 }}</ref><br>
[[요셉]]이 애굽에 노예로 있을 때, 바로는 살진 일곱 암소가 흉악한 일곱 암소에게 먹히는 꿈과 마른 일곱 이삭이 좋은 일곱 이삭을 먹는 꿈을 꾸었다. 바로는 술 맡은 관원장의 추천을 받아 요셉을 만났다. 요셉이 애굽에 7년의 풍년이, 7년의 흉년이 있을 것에 대한 꿈이라며 꿈을 해석하자 바로는 요셉을 총리로 세웠다. 요셉은 7년간의 풍년 동안 곡식을 저축해 흉년을 대비했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41장 창세기 41장]</ref> 흉년 때 [[야곱]]의 일가족이 애굽 땅 고센에 이주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46장 |제목=창세기 46:26-27 |저널= |인용문=야곱과 함께 애굽에 이른 자는 야곱의 자부 외에 육십육 명이니 이는 다 야곱의 몸에서 나온 자며 애굽에서 요셉에게 낳은 아들이 두 명이니 야곱의 집 사람으로 애굽에 이른 자의 도합이 칠십 명이었더라 }}</ref><br>이스라엘의 애굽 이주 연대를 기원전 19세기로 보면 요셉 시대의 바로는 이집트 중왕국 시대의 전성기를 이끈 제12왕조의 파라오로 추정된다.  
출애굽 시기를 기원전 15세기로 보면 이스라엘의 애굽 이주 연대는 기원전 19세기이므로<ref>열왕기상 6장 12절에 따르면, 기원전 11세기에 이뤄진 솔로몬의 성전 완공은 출애굽으로부터 480년이 지난 이후다. 따라서 출애굽 시기는 기원전 15세기로 추정할 수 있다. 출애굽기 12장 40절에 따르면, 야곱의 권속이 애굽 땅 고센으로 이주했을 때부터 약 400여 년간 애굽에 거주했고 노예 생활을 했다고 되어 있다. 따라서 야곱 일가의 애굽 이주를 기원전 19세기경으로 볼 수 있다.</ref> 요셉 시대의 바로는 이집트 제12왕조(B.C. 1991-B.C. 1782)의 통치자로 추정된다. 따라서 요셉이 총리일 때의 바로를 세소스트리스 3세(Sesostris III)로, 요셉이 사망할 때의 바로를 아메넴헤트 3세(Amenemhet III)로 본다.<ref>Mary Jane Chaignot, [https://www.biblewise.com/bible_study/characters/egyptian-pharaohs.php "The Egyptian Pharaohs with Joseph,"] ''BibleWise.com'' </ref> 이들은 이집트 중왕국 시대의 전성기를 이끈 파라오들이다.<br>
제12왕조와 요셉의 관련성을 보여주는 몇 가지 증거가 있다. 고대 이집트 연구가 바바라 벨은 제12왕조 중엽에 나일강의 수위가 불규칙적으로 변했고 농사 실패와 사회적 혼란이 있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ref>Barbara Bell, "Climate and the History of Egypt: The Middle Kingdom," ''American Journal of Archaeology'', Vol. 79(3), 1975, pp.224-266</ref> 또한 제12왕조 말기 파라오의 궁전에 살았던 관리 중 1명의 동상 조각이 발견되었는데, 고고학자 만프레드 비탁은 이 동상이 아시안 남성을 묘사한 것이라고 밝히며 당시 애굽에 외국인 관리가 있었다는 증거로 제시했다.<ref>Manfred Bietak, ''Avaris: Capital of the Hyksos'', British Museum Press, 1996, pp.19-20</ref>
===애굽 거주기===
===애굽 거주기===
====요셉을 알지 못하는 새 바로====
====요셉을 알지 못하는 새 바로====
105번째 줄: 101번째 줄:
[[하나님]]의 분부로 다시 애굽으로 간 모세는 새로운 바로를 대면하고 이스라엘 민족 해방을 요구했다. 바로가 듣지 않자 하나님은 애굽에 10가지 재앙을 내리셨다. 재앙이 하나씩 내릴 때마다 이스라엘 해방을 약속했던 바로는 재앙이 멈추면 뜻을 번복했다. [[장자]]가 죽는 마지막 열 번째 재앙이 내렸을 때 장자를 잃고서야 바로는 이스라엘인을 해방시켰다. 곧 마음을 바꿔 군대를 이끌고 [[출애굽]]한 이스라엘 민족을 추격했지만 [[홍해]]의 기적으로 애굽 군대는 바다에 수장되었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4장 출애굽기 14장]</ref> [[출애굽기]] 9장을 인용한 신약성경 [[로마서]] 9장에 이 바로가 등장한다.<ref name=":0" /><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9장 |제목=로마서 9:17 |저널= |인용문=성경이 바로에게 이르시되 내가 이 일을 위하여 너를 세웠으니 곧 너로 말미암아 내 능력을 보이고 내 이름이 온 땅에 전파되게 하려 함이로라 하셨으니 }}</ref>
[[하나님]]의 분부로 다시 애굽으로 간 모세는 새로운 바로를 대면하고 이스라엘 민족 해방을 요구했다. 바로가 듣지 않자 하나님은 애굽에 10가지 재앙을 내리셨다. 재앙이 하나씩 내릴 때마다 이스라엘 해방을 약속했던 바로는 재앙이 멈추면 뜻을 번복했다. [[장자]]가 죽는 마지막 열 번째 재앙이 내렸을 때 장자를 잃고서야 바로는 이스라엘인을 해방시켰다. 곧 마음을 바꿔 군대를 이끌고 [[출애굽]]한 이스라엘 민족을 추격했지만 [[홍해]]의 기적으로 애굽 군대는 바다에 수장되었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4장 출애굽기 14장]</ref> [[출애굽기]] 9장을 인용한 신약성경 [[로마서]] 9장에 이 바로가 등장한다.<ref name=":0" /><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9장 |제목=로마서 9:17 |저널= |인용문=성경이 바로에게 이르시되 내가 이 일을 위하여 너를 세웠으니 곧 너로 말미암아 내 능력을 보이고 내 이름이 온 땅에 전파되게 하려 함이로라 하셨으니 }}</ref>


[[파일:Illustrerad Verldshistoria band I Ill 004.jpg|섬네일|199x199픽셀|레크미르 무덤 벽화. 레반트 아시아틱과 누비아 노예들이 벽돌을 만드는 모습이다.]]
출애굽 시기를 기원전 15세기로 보면, 이스라엘 민족의 애굽 포로기를 통치한 바로들은 고대 이집트의 신왕국 시기를 시작한 제18왕조의 파라오들 중 기원전 16-15세기에 재위한 파라오들로 추정된다.
출애굽 시기를 기원전 15세기로 보면, 이스라엘 민족의 애굽 포로기를 통치한 바로들은 고대 이집트의 신왕국 시기를 시작한 제18왕조의 파라오들 중 기원전 16-15세기에 재위한 파라오들<ref>1대 아흐모세(Ahmose I), 2대 아멘호테프 1세(Amenhotep I), 3대 투트모스 1세(Thutmose I), 4대 투트모스 2세(Thutmose II), 5대 하트셉수트(Hatshepsut), 6대 투트모스 3세(Thutmose III), 7대 아멘호테프 2세(Amenhotep II)</ref>로 추정한다.<br>
이집트 학자 에드워드 웬트(Edward F. Wente)의 파라오 재위 추정 연대<ref>Edward F. Wente, "On the Chronology of the Twenty-First Dynasty," ''Journal of Near Eastern Studies'', Vol. 26(3), 1967, pp.155–176</ref>를 따르면 출애굽 당시 바로는 투트모스 3세(Thutmose III)에 해당한다.<ref>고대 이집트의 연대기는 학자마다 주장하는 바가 다르다. 일례로 이집트 제18왕조의 시작 시점에 대해서도 미국의 이집트 역사학자 브레스티드(James H. Breasted)는 기원전 1580년을 시작으로 보았으며 리버풀 대학의 이집트 고고학 교수 이언 쇼(Ian Shaw)는 1550년을 시작으로 보는 등 학자별로 30년 이상의 연도 차이를 보인다.</ref> 투트모스 3세가 거대 건축사업을 주도하고 셈족 사람들을 노역에 동원한 것이 건축 감독자 레크미르의 무덤 벽화에도 드러난다.<ref>[http://www.wikileaks-kr.org/news/articleView.html?idxno=88522 "이집트에서 400여년 노예살이... 이스라엘인들은 무엇을 했을까?",] 《위키리크스 한국》, 2020. 6. 9.</ref> 투트모스 3세 때 출애굽이 일어났다면, '요셉을 알지 못하는 새 왕'은 아흐모세(Ahmose I), 모세가 태어났을 때 바로는 투트모스 1세(Thutmose I)다. 또 투트모스 1세의 딸 하트셉수트(Hatshepsut)가 모세를 강가에서 건져 올린 ‘바로의 딸’이 된다.
====비디아의 아버지 바로====
====비디아의 아버지 바로====
[[역대상]]에는 유다 지파 메렛의 아내로 '바로의 딸 비디아'가 소개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상#4장 |제목=역대상 4:18 |저널= |인용문=이는 메렛의 취한 바로의 딸 비디아의 아들들이며 또 그 아내 여후디야는 그돌의 조상 예렛과 소고의 조상 헤벨과 사노아의 조상 여구디엘을 낳았으며 }}</ref> '비디아'는 [[여호와]]의 딸이라는 뜻이다.<ref>이성호, “비디아”, 《성경대사전》, 성서연구원, 2000, 759쪽</ref> 비디아나 메렛에 대한 다른 정보가 없어 학자들은 비디아의 아버지 바로가 누구인지 알 수 없다고 한다.<ref>[https://www.jewishencyclopedia.com/articles/12086-pharaoh “Pharaoh,”] ''Jewish Encyclopedia''</ref>
[[역대상]]에는 유다 지파 메렛의 아내로 '바로의 딸 비디아'가 소개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상#4장 |제목=역대상 4:18 |저널= |인용문=이는 메렛의 취한 바로의 딸 비디아의 아들들이며 또 그 아내 여후디야는 그돌의 조상 예렛과 소고의 조상 헤벨과 사노아의 조상 여구디엘을 낳았으며 }}</ref> '비디아'는 [[여호와]]의 딸이라는 뜻이다.<ref>이성호, “비디아”, 《성경대사전》, 성서연구원, 2000, 759쪽</ref> 비디아나 메렛에 대한 다른 정보가 없어 학자들은 비디아의 아버지 바로가 누구인지 알 수 없다고 한다.<ref>[https://www.jewishencyclopedia.com/articles/12086-pharaoh “Pharaoh,”] ''Jewish Encyclopedia''</ref>


=== 이스라엘 통일 왕국 시대 ===
===이스라엘 통일 왕국 시대===


====하닷을 맞이한 바로====
====하닷을 맞이한 바로====
117번째 줄: 111번째 줄:


[[다윗]]이 군대장관 요압을 [https://www.britannica.com/place/Edom 에돔]에 보내 에돔 남자를 모두 죽인 일이 있었다. 이때 에돔 왕자 하닷이 애굽으로 망명했다. 바로는 하닷을 맞이해 토지를 제공했고 자신의 처제와 결혼시켰다. 이 바로는 이집트 제21왕조 아메네모페(Amenemope), 시아문, 프수센네스 2세 등으로 짐작된다.<ref name=":1" />
[[다윗]]이 군대장관 요압을 [https://www.britannica.com/place/Edom 에돔]에 보내 에돔 남자를 모두 죽인 일이 있었다. 이때 에돔 왕자 하닷이 애굽으로 망명했다. 바로는 하닷을 맞이해 토지를 제공했고 자신의 처제와 결혼시켰다. 이 바로는 이집트 제21왕조 아메네모페(Amenemope), 시아문, 프수센네스 2세 등으로 짐작된다.<ref name=":1" />
====솔로몬의 장인 바로====
==== 솔로몬의 장인 바로====
{{인용문5 |내용= 전에 애굽 왕 바로가 올라와서 게셀을 탈취하여 불사르고 그 성에 사는 가나안 사람을 죽이고 그 성읍을 자기 딸 솔로몬의 아내에게 예물로 주었더니 솔로몬이 게셀과 아래 벧호론을 건축하고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9장 열왕기상 9:16-17]}}
{{인용문5 |내용= 전에 애굽 왕 바로가 올라와서 게셀을 탈취하여 불사르고 그 성에 사는 가나안 사람을 죽이고 그 성읍을 자기 딸 솔로몬의 아내에게 예물로 주었더니 솔로몬이 게셀과 아래 벧호론을 건축하고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9장 열왕기상 9:16-17]}}
게셀을 침략한 바로는 자신의 딸을 [[솔로몬]]에게 시집보내며 게셀성을 딸에게 지참금으로 주었다. 솔로몬이 이 성을 재건했다. [[열왕기상]] 곳곳에 솔로몬의 아내인 바로의 딸이 언급되었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3장 열왕기상 3:1],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7장 열왕기상 7:8],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9장 열왕기상 9:16-24],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11장 열왕기상 11:1-20]</ref><br>
게셀을 침략한 바로는 자신의 딸을 [[솔로몬]]에게 시집보내며 게셀성을 딸에게 지참금으로 주었다. 솔로몬이 이 성을 재건했다. [[열왕기상]] 곳곳에 솔로몬의 아내인 바로의 딸이 언급되었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3장 열왕기상 3:1],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7장 열왕기상 7:8],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9장 열왕기상 9:16-24],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11장 열왕기상 11:1-20]</ref>
솔로몬의 장인인 바로는 이집트 제21왕조 시아문(Siamun)으로 추정하며, 타니스에 있는 아문 신전에서 출토된 승전 기념 조각에 호전적으로 묘사된 파라오의 부조를 근거로 한다. 이집트 역사학자 케네스 키친에 따르면 해당 부조는 게셀 수복을 기념하는 것이고 묘사된 파라오는 시아문이다.<ref>Kenneth A. Kitchen, ''On the Reliability of the Old Testament'',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2003, pp.109-110</ref> 제21왕조 프수센네스 2세(Psusennes II), 제22왕조 셰숑크 1세(Sheshonq I) 등을 솔로몬의 장인 바로로 보는 견해도 있다.<ref name=":2" />
====바로 시삭====
====바로 시삭====
바로 시삭은 이집트 제22왕조 1대 파라오 셰숑크 1세다. 성경에서는 시삭을 바로라는 호칭으로 부르지 않고 '애굽 왕'으로만 불렀다. 시삭의 재위 기간은 솔로몬 재위부터 이스라엘 왕국 분열 초기와 겹친다.
바로 시삭은 이집트 제22왕조 1대 파라오 셰숑크 1세다. 성경에서는 시삭을 바로라는 호칭으로 부르지 않고 '애굽 왕'으로만 불렀다. 시삭의 재위 기간은 솔로몬 재위부터 이스라엘 왕국 분열 초기와 겹친다.
129번째 줄: 122번째 줄:
솔로몬의 아들 [[르호보암]]은 우상을 숭배하는 범죄에 빠졌다. 그 결과, 바로 시삭이 병거 1200승과 마병 6만을 비롯해 리비아와 에티오피아 등의 용병으로 이뤄진 막대한 군사를 이끌고 [[남 유다 왕국]]을 공격했다. 선지자 스마야는 유다 백성이 하나님께 죄를 지어 시삭의 침략을 받게 되었다고 말했다. 시삭은 남 유다의 여러 성읍을 정복하고 [[예루살렘]]을 공격해 [[성전]]과 왕궁의 보물을 약탈했다.
솔로몬의 아들 [[르호보암]]은 우상을 숭배하는 범죄에 빠졌다. 그 결과, 바로 시삭이 병거 1200승과 마병 6만을 비롯해 리비아와 에티오피아 등의 용병으로 이뤄진 막대한 군사를 이끌고 [[남 유다 왕국]]을 공격했다. 선지자 스마야는 유다 백성이 하나님께 죄를 지어 시삭의 침략을 받게 되었다고 말했다. 시삭은 남 유다의 여러 성읍을 정복하고 [[예루살렘]]을 공격해 [[성전]]과 왕궁의 보물을 약탈했다.
===북 이스라엘 말기===
===북 이스라엘 말기===
==== 바로 소====
====바로 소====
{{인용문5 |내용= 앗수르 왕 살만에셀이 올라와서 호세아를 친 고로 호세아가 신복하여 조공을 드리더니 저가 애굽 왕 소에게 사자들을 보내고 해마다 하던 대로 앗수르 왕에게 조공을 드리지 아니하매 앗수르 왕이 호세아의 배반함을 보고 저를 옥에 금고하여 두고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17장 열왕기하 17:3-4]}}
{{인용문5 |내용= 앗수르 왕 살만에셀이 올라와서 호세아를 친 고로 호세아가 신복하여 조공을 드리더니 저가 애굽 왕 소에게 사자들을 보내고 해마다 하던 대로 앗수르 왕에게 조공을 드리지 아니하매 앗수르 왕이 호세아의 배반함을 보고 저를 옥에 금고하여 두고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17장 열왕기하 17:3-4]}}
[[앗수르]]에 조공을 바치던 [[북 이스라엘 왕국]]의 호세아왕은 앗수르에 반기를 들며 애굽 왕 소에게 원군을 요청했다. 이에 앗수르 왕 살만에셀(샬마네세르 5세)이 북 이스라엘을 다시 침공해 3년 동안 포위했고, 호세아 9년(B.C. 721년경)에 [[사마리아]]가 함락됐다.<br>
[[앗수르]]에 조공을 바치던 [[북 이스라엘 왕국]]의 호세아왕은 앗수르에 반기를 들며 애굽 왕 소에게 원군을 요청했다. 이에 앗수르 왕 살만에셀(샬마네세르 5세)이 북 이스라엘을 다시 침공해 3년 동안 포위했고, 호세아 9년(B.C. 721년경)에 [[사마리아]]가 함락됐다.<br>
북 이스라엘 말기에 이집트는 여러 왕조가 난립하던 제3중간기였고,<ref>제21왕조, 제22왕조, 제23왕조, 제24왕조가 동시다발적으로 등장하며 이집트가 여러 소왕국과 도시들로 쪼개어 분열되었던 시기(B.C. 1069-B.C. 664년경)를 가리킨다.</ref> 실제로 '소'라는 이름을 사용한 파라오가 없었기 때문에 특정 파라오를 지목하기 어렵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소'는 파라오명이 아니고 제24왕조 파라오 테프나크트(Tefnakht)가 수도로 삼은 사이스(Sais, 현재 이집트 델타의 도시)를 말하며, 호세아는 소(사이스)에 있는 테프나크트에게 지원을 요청했다는 주장이 있다.<ref>Mavin Alan Sweeney, ''I & II Kings: A Commentar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7, p.393</ref> 혹은 호세아와 재위 기간이 겹치는 제22왕조의 마지막 파라오 오소르콘 4세(Osorkon IV, 재위: B.C. 730-B.C. 715)의 약어를 'So'로 보기도 한다.<ref>William F. Albright, “Further Synchronisms between Egypt and Asia in the Period 935-685 BC,” ''Bulletin of the American Schools of Oriental Research'', Vol. 44(1), University of Chicago, 1956, pp.23-27</ref>
북 이스라엘 말기에 이집트는 여러 왕조가 난립하던 제3중간기였고,<ref>제21왕조, 제22왕조, 제23왕조, 제24왕조가 동시다발적으로 등장하며 이집트가 여러 소왕국과 도시들로 쪼개어 분열되었던 시기(B.C. 1069-B.C. 664년경)를 가리킨다.</ref> 실제로 '소'라는 이름을 사용한 파라오가 없었기 때문에 특정 파라오를 지목하기 어렵다. 호세아와 재위 기간이 겹치는 제22왕조의 마지막 파라오 오소르콘 4세(Osorkon IV, 재위: B.C. 730-B.C. 715)의 약어를 'So'로 보기도 한다.<ref>William F. Albright, “Further Synchronisms between Egypt and Asia in the Period 935-685 BC,” ''Bulletin of the American Schools of Oriental Research'', Vol. 44(1), University of Chicago, 1956, pp.23-27</ref> 최근 연구에 따르면, '소'는 파라오명이 아니고 제24왕조 파라오 테프나크트(Tefnakht)가 수도로 삼은 사이스(Sais, 현재 이집트 델타의 도시)를 말하며, 호세아는 소(사이스)에 있는 테프나크트에게 지원을 요청했다는 주장도 있다.<ref>Mavin Alan Sweeney, ''I & II Kings: A Commentar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7, p.393</ref>
====히스기야 시기 바로====
====히스기야 시기 바로====
살만에셀이 북 이스라엘을 정복한 후, 앗수르의 새 왕 산헤립(센나케리브)은 남 유다와 애굽까지 공격하기 위해 남진했다. 당시 남 유다 왕은 [[히스기야]]였다. 히스기야가 산헤립에게 성전의 모든 금과 은을 바쳤으나, 산헤립은 앗수르로 돌아가지 않고 랍사게<ref>일부 학자들은 랍사게가 장수의 이름이 아니라,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왕실의 술을 담당하던 수석 책임자의 직위 혹은 칭호로 보기도 한다.</ref>를 남 유다에 보냈다. 랍사게는 예루살렘의 큰 길에 서서, 애굽에 원군을 요청하려는 히스기야에게 ‘상한 갈대와 지팡이 같은 애굽의 바로를 의지하면 망할 것’이라며 위협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18장 |제목=열왕기하 18:21 |저널= |인용문=이제 네가 저 상한 갈대 지팡이 애굽을 의뢰하도다 사람이 그것을 의지하면 그 손에 찔려 들어갈지라 애굽 왕 바로는 무릇 의뢰하는 자에게 이와 같으니라 }}</ref><br>
살만에셀이 북 이스라엘을 정복한 후, 앗수르의 새 왕 산헤립(센나케리브)은 남 유다와 애굽까지 공격하기 위해 남진했다. 당시 남 유다 왕은 [[히스기야]]였다. 히스기야가 산헤립에게 성전의 모든 금과 은을 바쳤으나, 산헤립은 앗수르로 돌아가지 않고 랍사게<ref>일부 학자들은 랍사게가 장수의 이름이 아니라,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왕실의 술을 담당하던 수석 책임자의 직위 혹은 칭호로 보기도 한다.</ref>를 남 유다에 보냈다. 랍사게는 예루살렘의 큰 길에 서서, 애굽에 원군을 요청하려는 히스기야에게 ‘상한 갈대와 지팡이 같은 애굽의 바로를 의지하면 망할 것’이라며 위협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18장 |제목=열왕기하 18:21 |저널= |인용문=이제 네가 저 상한 갈대 지팡이 애굽을 의뢰하도다 사람이 그것을 의지하면 그 손에 찔려 들어갈지라 애굽 왕 바로는 무릇 의뢰하는 자에게 이와 같으니라 }}</ref><br>
북 이스라엘이 멸망하고 히스기야가 남 유다를 통치하던 당시, 이집트는 제25왕조의 샤바카(Shabaka)가 다스리고 있었으므로 랍사게가 말한 바로는 샤바카로 추정된다.<ref name=":2" />
북 이스라엘이 멸망하고 히스기야가 남 유다를 통치하던 당시, 이집트는 제25왕조의 샤바카(Shabaka)가 다스리고 있었으므로 랍사게가 말한 바로는 샤바카로 추정된다.<ref name=":2">“바로”, 《새성경사전》, 기독교문서선교회, 2001, 570쪽</ref>
====바로 디르하가====
====바로 디르하가 ====
바로 디르하가는 누비아인들이 수립한 제25왕조의 타하르카(Taharqa)다. 성경에는 '구스 왕 디르하가'로 표현되었다. 오늘날의 에티오피아 일대에 위치했던 고대 누비안 왕국을 구스라고 한다. 디르하가가 앗수르와 전쟁할 때는 아직 파라오 즉위 전이었고 구스의 왕이었기 때문에 바로라는 호칭이 붙지 않았다.<ref>이성호, “디르하가”, 《성경대사전》, 성서연구원, 2000, 406쪽</ref> 디르하가는 바로 샤바카를 죽인 이후에 바로로 즉위했다.
바로 디르하가는 누비아인들이 수립한 제25왕조의 타하르카(Taharqa)다. 성경에는 '구스 왕 디르하가'로 표현되었다. 오늘날의 에티오피아 일대에 위치했던 고대 누비안 왕국을 구스라고 한다. 디르하가가 앗수르와 전쟁할 때는 아직 파라오 즉위 전이었고 구스의 왕이었기 때문에 바로라는 호칭이 붙지 않았다.<ref>이성호, “디르하가”, 《성경대사전》, 성서연구원, 2000, 406쪽</ref> 디르하가는 바로 샤바카를 죽인 이후에 바로로 즉위했다.
{{인용문5 |내용= 앗수르 왕이 구스 왕 디르하가가 나와서 더불어 싸우고자 한다 함을 듣고 다시 히스기야에게 사자를 보내며 가로되 너희는 유다 왕 히스기야에게 이같이 말하여 이르기를 너의 의뢰하는 네 하나님이 예루살렘을 앗수르 왕의 손에 붙이지 않겠다 하는 말에 속지 말라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19장 열왕기하 19:9-10]}}
{{인용문5 |내용= 앗수르 왕이 구스 왕 디르하가가 나와서 더불어 싸우고자 한다 함을 듣고 다시 히스기야에게 사자를 보내며 가로되 너희는 유다 왕 히스기야에게 이같이 말하여 이르기를 너의 의뢰하는 네 하나님이 예루살렘을 앗수르 왕의 손에 붙이지 않겠다 하는 말에 속지 말라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19장 열왕기하 19:9-10]}}
히스기야가 바로(샤바카 추정)에게 원군을 요청하자, 바로는 자신의 형제인 디르하가를 남 유다에 출병시켰다. 이 소식을 들은 앗수르의 산헤립은 예루살렘을 빨리 정복하고 애굽 군대에 대항하기 위해 히스기야에게 다시 랍사게를 보내 위협했다. 그러나 하나님이 사자를 보내 하룻밤 사이 앗수르 군사 18만 5000명을 멸하셨다. 산헤립은 예루살렘을 공격하지 못하고 수도 니느웨로 돌아갔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19장 |제목=열왕기하 19:35-36 |저널= |인용문=이 밤에 여호와의 사자가 나와서 앗수르 진에서 군사 십팔만 오천을 친지라 아침에 일찍이 일어나 보니 다 송장이 되었더라 앗수르 왕 산헤립이 떠나 돌아가서 니느웨에 거하더니}}</ref>
히스기야가 바로(샤바카 추정)에게 원군을 요청하자, 바로는 자신의 형제인 디르하가를 남 유다에 출병시켰다. 이 소식을 들은 앗수르의 산헤립은 예루살렘을 빨리 정복하고 애굽 군대에 대항하기 위해 히스기야에게 다시 랍사게를 보내 위협했다. 그러나 하나님이 사자를 보내 하룻밤 사이 앗수르 군사 18만 5000명을 멸하셨다. 산헤립은 예루살렘을 공격하지 못하고 수도 니느웨로 돌아갔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19장 |제목=열왕기하 19:35-36 |저널= |인용문=이 밤에 여호와의 사자가 나와서 앗수르 진에서 군사 십팔만 오천을 친지라 아침에 일찍이 일어나 보니 다 송장이 되었더라 앗수르 왕 산헤립이 떠나 돌아가서 니느웨에 거하더니}}</ref>
===남 유다 말기===
===남 유다 말기===
==== 바로 느고====
====바로 느고====
바로 느고는 제26왕조 2대 파라오 네코 2세(Necho II, 재위: B.C. 609-B.C. 594)다. 앗수르의 수도 [[니느웨]]가 무너지고 3년 후 기원전 609년경 바로에 즉위했다. 바로 느고는 [[바벨론]](신바빌로니아)의 나보폴라사르왕과 왕세자 [[느부갓네살]]의 세력이 커지기 전에 유프라테스강 지역의 패권을 장악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즉위 직후, 블레셋 성읍인 가사와 아스글론을 정복해 팔레스타인 지역을 점령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47장 |제목=예레미야 47:1-5|저널= |인용문= 바로가 가사를 치기 전에 블레셋 사람에 대하여 선지자 예레미야에게 임한 여호와의 말씀이라 ... 가사가 삭발되었고 아스글론과 그들에게 남아 있는 평지가 멸망되었나니 네가 네 몸 베기를 어느 때까지 하겠느냐 }}</ref>  
바로 느고는 제26왕조 2대 파라오 네코 2세(Necho II, 재위: B.C. 609-B.C. 594)다. 앗수르의 수도 [[니느웨]]가 무너지고 3년 후 기원전 609년경 바로에 즉위했다. 바로 느고는 [[바벨론]](신바빌로니아)의 나보폴라사르왕과 왕세자 [[느부갓네살]]의 세력이 커지기 전에 유프라테스강 지역의 패권을 장악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즉위 직후, 블레셋 성읍인 가사와 아스글론을 정복해 팔레스타인 지역을 점령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47장 |제목=예레미야 47:1-5|저널= |인용문= 바로가 가사를 치기 전에 블레셋 사람에 대하여 선지자 예레미야에게 임한 여호와의 말씀이라 ... 가사가 삭발되었고 아스글론과 그들에게 남아 있는 평지가 멸망되었나니 네가 네 몸 베기를 어느 때까지 하겠느냐 }}</ref>  
[[파일:Francesco Conti - Death of King Josiah.jpg|섬네일|225x225px|므깃도 전투에서 전사한 요시야왕]]
[[파일:Francesco Conti - Death of King Josiah.jpg|섬네일|225x225px|므깃도 전투에서 전사한 요시야왕]]
151번째 줄: 144번째 줄:


느부갓네살이 이끄는 바벨론 군대와 느고의 애굽 군대는 기원전 605년경 갈그미스 전투를 벌였다. 느고는 전투에서 패배한 후 하맛에서 다시 느부갓네살과 싸웠지만 패배해 팔레스타인 일대의 패권을 빼앗겼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4장 |제목=열왕기하 24:7 |저널= |인용문= 애굽 왕이 다시는 그 나라에서 나오지 못하였으니 이는 바벨론 왕이 애굽 하수에서부터 유브라데 하수까지 애굽 왕에게 속한 땅을 다 취하였음이더라}}</ref>  
느부갓네살이 이끄는 바벨론 군대와 느고의 애굽 군대는 기원전 605년경 갈그미스 전투를 벌였다. 느고는 전투에서 패배한 후 하맛에서 다시 느부갓네살과 싸웠지만 패배해 팔레스타인 일대의 패권을 빼앗겼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4장 |제목=열왕기하 24:7 |저널= |인용문= 애굽 왕이 다시는 그 나라에서 나오지 못하였으니 이는 바벨론 왕이 애굽 하수에서부터 유브라데 하수까지 애굽 왕에게 속한 땅을 다 취하였음이더라}}</ref>  
==== 바로 호브라====
====바로 호브라====
바로 호브라는 제26왕조 4대 파라오 와히브레(Wahibre, Apries, 재위: B.C. 589-B.C. 570)다. 호브라 이전부터 애굽은 남 유다를 포함한 팔레스타인 지역의 국가들이 바벨론에 반란을 일으키도록 부추기고 지원했다.<ref>유윤종, 〈느부갓네살 2세: 역사와 전승〉, 《서양고대사연구》 제23권,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08, 46-47쪽</ref> 애굽의 지원을 기대한 남 유다 왕 시드기야는 바벨론에 반기를 들고 애굽에 지원군을 요청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4장 |제목=열왕기하 24:20 |저널= |인용문=여호와께서 예루살렘과 유다를 진노하심이 저희를 그 앞에서 쫓아내실 때까지 이르렀더라 시드기야가 바벨론 왕을 배반하니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겔#17장 |제목=에스겔 17:15-17 |저널= |인용문= 그가 사자를 애굽에 보내어 말과 군대를 구함으로 바벨론 왕을 배반하였으니 형통하겠느냐 이런 일을 행한 자가 피하겠느냐 언약을 배반하고야 피하겠느냐 나 주 여호와가 말하노라 내가 나의 삶을 두고 맹세하노니 바벨론 왕이 그를 왕으로 세웠거늘 그가 맹세를 업신여겨 언약을 배반하였은즉 그 왕의 거하는 곳 바벨론 중에서 왕과 함께 있다가 죽을 것이라 대적이 토성을 쌓으며 운제를 세우고 많은 사람을 멸절하려 할 때에 바로가 그 큰 군대와 많은 무리로도 그 전쟁에 그를 도와주지 못하리라 }}</ref>   
바로 호브라는 제26왕조 4대 파라오 와히브레(Wahibre, Apries, 재위: B.C. 589-B.C. 570)다. 호브라 이전부터 애굽은 남 유다를 포함한 팔레스타인 지역의 국가들이 바벨론에 반란을 일으키도록 부추기고 지원했다.<ref>유윤종, 〈느부갓네살 2세: 역사와 전승〉, 《서양고대사연구》 제23권,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08, 46-47쪽</ref> 애굽의 지원을 기대한 남 유다 왕 시드기야는 바벨론에 반기를 들고 애굽에 지원군을 요청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4장 |제목=열왕기하 24:20 |저널= |인용문=여호와께서 예루살렘과 유다를 진노하심이 저희를 그 앞에서 쫓아내실 때까지 이르렀더라 시드기야가 바벨론 왕을 배반하니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겔#17장 |제목=에스겔 17:15-17 |저널= |인용문= 그가 사자를 애굽에 보내어 말과 군대를 구함으로 바벨론 왕을 배반하였으니 형통하겠느냐 이런 일을 행한 자가 피하겠느냐 언약을 배반하고야 피하겠느냐 나 주 여호와가 말하노라 내가 나의 삶을 두고 맹세하노니 바벨론 왕이 그를 왕으로 세웠거늘 그가 맹세를 업신여겨 언약을 배반하였은즉 그 왕의 거하는 곳 바벨론 중에서 왕과 함께 있다가 죽을 것이라 대적이 토성을 쌓으며 운제를 세우고 많은 사람을 멸절하려 할 때에 바로가 그 큰 군대와 많은 무리로도 그 전쟁에 그를 도와주지 못하리라 }}</ref>   
{{인용문5 |내용=바로의 군대가 애굽에서 나오매 예루살렘을 에워쌌던 갈대아인이 그 소문을 듣고 예루살렘에서 떠났더라 여호와의 말씀이 선지자 예레미야에게 임하여 이르시되 ... 유다 왕에게 이르라 너희를 도우려고 나왔던 바로의 군대는 자기 땅 애굽으로 돌아가겠고 갈대아인이 다시 와서 이 성을 쳐서 취하여 불사르리라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37장 예레미야 37:5-8]}}
{{인용문5 |내용=바로의 군대가 애굽에서 나오매 예루살렘을 에워쌌던 갈대아인이 그 소문을 듣고 예루살렘에서 떠났더라 여호와의 말씀이 선지자 예레미야에게 임하여 이르시되 ... 유다 왕에게 이르라 너희를 도우려고 나왔던 바로의 군대는 자기 땅 애굽으로 돌아가겠고 갈대아인이 다시 와서 이 성을 쳐서 취하여 불사르리라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37장 예레미야 37:5-8]}}
172번째 줄: 165번째 줄:
*Emil G. Hirsch et al., [https://www.jewishencyclopedia.com/articles/12086-pharaoh “Pharaoh,”] ''Jewish Encyclopedia''
*Emil G. Hirsch et al., [https://www.jewishencyclopedia.com/articles/12086-pharaoh “Pharaoh,”] ''Jewish Encyclopedia''


==각주==
== 각주==
<references />
<referenc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