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부갓네살: 두 판 사이의 차이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90번째 줄: 90번째 줄:
:While Babylon was engaged in dealing with Elam, [https://www.britannica.com/biography/Psamtik-II Psamtik II], the [[Pharaoh]] of Egypt, attended religious events in Judah. This move was politically and militarily significant for Judah, which was under Babylonian control. Around the same time, Nebuchadnezzar took a break from his western campaign. Zedekiah, the king of Judah, believing in potential Egyptian support and the distance from Babylon, stopped paying the annual tribute and rebelled.<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4장|제목=열왕기하 24:20|저널=|인용문=여호와께서 예루살렘과 유다를 진노하심이 저희를 그 앞에서 쫓아내실 때까지 이르렀더라 시드기야가 바벨론 왕을 배반하니라}}</ref> In 588 BC, Nebuchadnezzar marched toward Jerusalem with his army to suppress the rebellion. Meanwhile, Psamtik II, who had promised support to Judah, died, and Hophra<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44장|제목=예레미야 44:30|저널=|인용문=보라 내가 유다 왕 시드기야를 그 원수 곧 그 생명을 찾는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의 손에 붙인 것 같이 애굽 왕 바로 호브라를 그 원수들 곧 그 생명을 찾는 자들의 손에 붙이리라 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였느니라 하시니라}}</ref> (Wahibre, also known as Apries) succeeded him as Pharaoh. As the siege of Jerusalem began, Egypt sent an army to Palestine, but Babylon temporarily lifted the siege, causing Egypt to withdraw its forces. Taking advantage of this, Babylon resumed the siege,<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37장|제목=예레미야 37:7-11|저널=|인용문=이스라엘의 하나님 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노라 너희를 보내어 내게 구하게 한 유다 왕에게 이르라 너희를 도우려고 나왔던 바로의 군대는 자기 땅 애굽으로 돌아가겠고 갈대아인이 다시 와서 이 성을 쳐서 취하여 불사르리라}}</ref> and by 586 BC, Jerusalem fell, leading to the destruction of Judah. Zedekiah was captured and taken to Nebuchadnezzar in Riblah, while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was exiled in what became known as the '''third Babylonian exile'''.
:While Babylon was engaged in dealing with Elam, [https://www.britannica.com/biography/Psamtik-II Psamtik II], the [[Pharaoh]] of Egypt, attended religious events in Judah. This move was politically and militarily significant for Judah, which was under Babylonian control. Around the same time, Nebuchadnezzar took a break from his western campaign. Zedekiah, the king of Judah, believing in potential Egyptian support and the distance from Babylon, stopped paying the annual tribute and rebelled.<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하#24장|제목=열왕기하 24:20|저널=|인용문=여호와께서 예루살렘과 유다를 진노하심이 저희를 그 앞에서 쫓아내실 때까지 이르렀더라 시드기야가 바벨론 왕을 배반하니라}}</ref> In 588 BC, Nebuchadnezzar marched toward Jerusalem with his army to suppress the rebellion. Meanwhile, Psamtik II, who had promised support to Judah, died, and Hophra<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44장|제목=예레미야 44:30|저널=|인용문=보라 내가 유다 왕 시드기야를 그 원수 곧 그 생명을 찾는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의 손에 붙인 것 같이 애굽 왕 바로 호브라를 그 원수들 곧 그 생명을 찾는 자들의 손에 붙이리라 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였느니라 하시니라}}</ref> (Wahibre, also known as Apries) succeeded him as Pharaoh. As the siege of Jerusalem began, Egypt sent an army to Palestine, but Babylon temporarily lifted the siege, causing Egypt to withdraw its forces. Taking advantage of this, Babylon resumed the siege,<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37장|제목=예레미야 37:7-11|저널=|인용문=이스라엘의 하나님 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노라 너희를 보내어 내게 구하게 한 유다 왕에게 이르라 너희를 도우려고 나왔던 바로의 군대는 자기 땅 애굽으로 돌아가겠고 갈대아인이 다시 와서 이 성을 쳐서 취하여 불사르리라}}</ref> and by 586 BC, Jerusalem fell, leading to the destruction of Judah. Zedekiah was captured and taken to Nebuchadnezzar in Riblah, while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was exiled in what became known as the '''third Babylonian exile'''.
{{인용문5 |내용= This is how Jerusalem was taken: In the ninth year of Zedekiah king of Judah, in the tenth month, Nebuchadnezzar king of Babylon marched against Jerusalem with his whole army and laid siege to it. And on the ninth day of the fourth month of Zedekiah’s eleventh year, the city wall was broken through. . . . But the Babylonian army pursued them and overtook Zedekiah in the plains of Jericho. They captured him and took him to Nebuchadnezzar king of Babylon at Riblah in the land of Hamath, where he pronounced sentence on him. . . . The Babylonians set fire to the royal palace and the houses of the people and broke down the walls of Jerusalem.|출처= [https://www.biblegateway.com/passage/?search=Jeremiah%2039%3A1%E2%80%938&version=NIV Jeremiah 39:1–8]}}     
{{인용문5 |내용= This is how Jerusalem was taken: In the ninth year of Zedekiah king of Judah, in the tenth month, Nebuchadnezzar king of Babylon marched against Jerusalem with his whole army and laid siege to it. And on the ninth day of the fourth month of Zedekiah’s eleventh year, the city wall was broken through. . . . But the Babylonian army pursued them and overtook Zedekiah in the plains of Jericho. They captured him and took him to Nebuchadnezzar king of Babylon at Riblah in the land of Hamath, where he pronounced sentence on him. . . . The Babylonians set fire to the royal palace and the houses of the people and broke down the walls of Jerusalem.|출처= [https://www.biblegateway.com/passage/?search=Jeremiah%2039%3A1%E2%80%938&version=NIV Jeremiah 39:1–8]}}     
:이때 선지자 [[예레미야 (선지자)|예레미야]]는 남 유다 백성들에게 바벨론에 항복해야 한다고 권고하다가 어려움을 겪었는데, 느부갓네살이 이를 듣고 예레미야를 포로에서 풀어주며 유다 총독으로 임명된 그다랴와 함께 지내게 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39장 |제목=예레미야 39:11-14 |저널= |인용문=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이 예레미야에 대하여 시위대장 느부사라단에게 명하여 가로되 그를 데려다가 선대하고 해하지 말며 그가 네게 말하는대로 행하라 이에 시위대장 느부사라단과 환관장 느부사스반과 박사장 네르갈사레셀과 바벨론 왕의 모든 장관이 보내어 예레미야를 시위대 뜰에서 취하여 내어 사반의 손자 아히감의 아들 그다랴에게 붙여서 그를 집으로 데려가게 하매 그가 백성 중에 거하니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40장 |제목=예레미야 40:1-6 |저널= |인용문=시위대장이 예레미야를 불러다가 이르되 ... 보라 내가 오늘 네 손의 사슬을 풀어 너를 해방하노니 만일 네가 나와 함께 바벨론으로 가는 것을 선히 여기거든 오라 내가 너를 선대하리라 만일 나와 함께 바벨론으로 가는 것을 좋지 않게 여기거든 그만 두라 보라 온 땅이 네 앞에 있나니 네가 선히 여기는대로 가하게 여기는 곳으로 갈지니라 예레미야가 아직 돌이키기 전에 그가 다시 이르되 너는 바벨론 왕이 유다 성읍들의 총독으로 세우신 사반의 손자 아히감의 아들 그다랴에게로 돌아가서 그와 함께 백성 중에 거하거나 너의 가하게 여기는 곳으로 가거나 할지니라 하고 그 시위대장이 그에게 양식과 선물을 주어 보내매}}</ref>
:During this time, the prophet [[Jeremiah]] urged the people to surrender to Babylon, which eventually led to Nebuchadnezzar releasing him and allowing him to live with the newly appointed governor, Gedaliah.<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39장|제목=예레미야 39:11-14|저널=|인용문=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이 예레미야에 대하여 시위대장 느부사라단에게 명하여 가로되 그를 데려다가 선대하고 해하지 말며 그가 네게 말하는대로 행하라 이에 시위대장 느부사라단과 환관장 느부사스반과 박사장 네르갈사레셀과 바벨론 왕의 모든 장관이 보내어 예레미야를 시위대 뜰에서 취하여 내어 사반의 손자 아히감의 아들 그다랴에게 붙여서 그를 집으로 데려가게 하매 그가 백성 중에 거하니라}}</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40장|제목=예레미야 40:1-6|저널=|인용문=시위대장이 예레미야를 불러다가 이르되 ... 보라 내가 오늘 네 손의 사슬을 풀어 너를 해방하노니 만일 네가 나와 함께 바벨론으로 가는 것을 선히 여기거든 오라 내가 너를 선대하리라 만일 나와 함께 바벨론으로 가는 것을 좋지 않게 여기거든 그만 두라 보라 온 땅이 네 앞에 있나니 네가 선히 여기는대로 가하게 여기는 곳으로 갈지니라 예레미야가 아직 돌이키기 전에 그가 다시 이르되 너는 바벨론 왕이 유다 성읍들의 총독으로 세우신 사반의 손자 아히감의 아들 그다랴에게로 돌아가서 그와 함께 백성 중에 거하거나 너의 가하게 여기는 곳으로 가거나 할지니라 하고 그 시위대장이 그에게 양식과 선물을 주어 보내매}}</ref>


*'''팔레스타인 지역 평정, 애굽 원정'''<ref>[http://jewishencyclopedia.com/articles/11407-nebuchadnezzar "NEBUCHADNEZZAR,"] <i>Jewish Encyclopedia</i></ref>
*'''Pacification of Palestine and the Egypt Campaign'''<ref>[http://jewishencyclopedia.com/articles/11407-nebuchadnezzar "NEBUCHADNEZZAR,"] <i>Jewish Encyclopedia</i></ref>
:남 유다가 멸망하던 때, 바벨론은 두로(티레)를 13년간 포위하고 있었으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겔#29장 |제목=에스겔 29:18 |저널= |인용문=인자야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이 그 군대로 두로를 치게 할 때에 크게 수고하여 각 머리털이 무지러졌고 각 어깨가 벗어졌으나 그와 군대가 그 수고한 보수를 두로에서 얻지 못하였느니라 }}</ref> 기원전 582년에는 시리아, 모압,<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48장 |제목=예레미야 48:1-10 |저널= |인용문=모압에 대한 말씀이라 만군의 여호와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이같이 말씀하시되 슬프다 느보여 그것이 황폐되었도다 기랴다임이 수치를 당하여 점령되었고 미스갑이 수치를 당하여 파괴되었으니}}</ref> 암몬<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49장 |제목=예레미야 49:1-6 |저널= |인용문=암몬 자손에 대한 말씀이라 그러므로 나 여호와가 말하노라 보라 날이 이르리니 내가 전쟁 소리로 암몬 자손의 랍바에 들리게 할 것이라}}</ref>을 정복했다. 애굽은 남 유다를 비롯해 여러 유브라데 서역 국가들이 바벨론에 반역하도록 부추기며 견제했는데, 느부갓네살은 이것을 문제 삼아 두 차례 애굽 원정에 나섰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겔#29장 |제목=에스겔 29:19-20 |저널= |인용문=그러므로 나 주 여호와가 말하노라 내가 애굽 땅을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에게 붙이리니 그가 그 무리를 옮겨가며 물건을 노략하며 빼앗아 갈 것이라 이것이 그 군대의 보수가 되리라 그들의 수고는 나를 위하여 함인즉 그 보수로 내가 애굽 땅을 그에게 주었느니라 나 주 여호와의 말이니라 }}</ref> 이 일로 암몬이나 모압, 애굽에 피난해 있던 유대인 수백 명이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갔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52장 |제목=예레미야 52:30 |저널= |인용문=느부갓네살의 이십 삼년에 시위대장관 느부사라단이 사로잡아 옮긴 유다인이 칠백 사십 오인이니 그 총수가 사천 육백인이었더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44장 |제목=예레미야 44:12-14 |저널= |인용문=내가 또 애굽 땅에 우거하기로 고집하고 그리로 들어간 유다의 남은 자들을 취하리니 그들이 다 멸망하여 애굽 땅에서 엎드러질 것이라 ... 애굽 땅에 들어가서 거기 우거하는 유다의 남은 자 중에 피하거나 남아서 그 사모하여 돌아와서 거하려는 유다 땅에 돌아올 자가 없을 것이라 도피하는 자들 외에는 돌아올 자가 없으리라 하셨느니라}}</ref>
:As Judah was collapsing, Babylon laid siege to Tyre for 13 years<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겔#29장|제목=에스겔 29:18|저널=|인용문=인자야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이 그 군대로 두로를 치게 할 때에 크게 수고하여 각 머리털이 무지러졌고 각 어깨가 벗어졌으나 그와 군대가 그 수고한 보수를 두로에서 얻지 못하였느니라}}</ref> and, by 582 BC, subdued Syria, Moab,<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48장|제목=예레미야 48:1-10|저널=|인용문=모압에 대한 말씀이라 만군의 여호와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이같이 말씀하시되 슬프다 느보여 그것이 황폐되었도다 기랴다임이 수치를 당하여 점령되었고 미스갑이 수치를 당하여 파괴되었으니}}</ref> and Ammon.<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49장|제목=예레미야 49:1-6|저널=|인용문=암몬 자손에 대한 말씀이라 그러므로 나 여호와가 말하노라 보라 날이 이르리니 내가 전쟁 소리로 암몬 자손의 랍바에 들리게 할 것이라}}</ref> Egypt instigated a rebellion in southern Judah and many other countries along the western Euphrates against Babylon, which Nebuchadnezzar saw as a major issue. In response, he launched two campaigns in Egypt.<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겔#29장|제목=에스겔 29:19-20|저널=|인용문=그러므로 나 주 여호와가 말하노라 내가 애굽 땅을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에게 붙이리니 그가 그 무리를 옮겨가며 물건을 노략하며 빼앗아 갈 것이라 이것이 그 군대의 보수가 되리라 그들의 수고는 나를 위하여 함인즉 그 보수로 내가 애굽 땅을 그에게 주었느니라 나 주 여호와의 말이니라}}</ref> As a result, hundreds of Jews who had taken refuge in Ammon, Moab, and Egypt were taken captive to Babylon.<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52장|제목=예레미야 52:30|저널=|인용문=느부갓네살의 이십 삼년에 시위대장관 느부사라단이 사로잡아 옮긴 유다인이 칠백 사십 오인이니 그 총수가 사천 육백인이었더라}}</ref><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44장|제목=예레미야 44:12-14|저널=|인용문=내가 또 애굽 땅에 우거하기로 고집하고 그리로 들어간 유다의 남은 자들을 취하리니 그들이 다 멸망하여 애굽 땅에서 엎드러질 것이라 ... 애굽 땅에 들어가서 거기 우거하는 유다의 남은 자 중에 피하거나 남아서 그 사모하여 돌아와서 거하려는 유다 땅에 돌아올 자가 없을 것이라 도피하는 자들 외에는 돌아올 자가 없으리라 하셨느니라}}</ref>
<small>{{참고|바벨론 포로 (바빌론 유수)|설명=더 자세한 내용은}}</small>
<small>{{참고|Babylonian Captivity|설명=}}</small>


===건축 사업 ===
=== Architectural Achievements ===
[[파일: Baked brick fragment referring to Nebuchadnezzar II - Oriental Institute Museum, University of Chicago - DSC07043.JPG |섬네일|250px|느부갓네살의 비문이 적힌 벽돌. 미국 시카고대학 오리엔탈 인스티튜트 박물관 전시]]
[[파일: Baked brick fragment referring to Nebuchadnezzar II - Oriental Institute Museum, University of Chicago - DSC07043.JPG |섬네일|250px|Baked brick fragment referring to Nebuchadnezzar II: Exhibit in the Oriental Institute Museum, University of Chicago, IL, U.S.]]
[[파일:Processional Way, Babylon - Google Art Project.jpg|섬네일|250px|바벨론 행진로 양쪽 성벽을 장식한 사자 부조. 독일 베를린 페르가몬 박물관 전시]]
[[파일:Processional Way, Babylon - Google Art Project.jpg|섬네일|250px|The lion bas-reliefs that adorn the walls on both sides of the Babylonian procession route: Exhibit in the Pergamon Museum in Berlin, Germany]]
바벨론의 왕들은 주로 점토로 된 원통이나 건축물에 쓰이는 벽돌에다 대규모 건축 사업에 관한 공식 비문(碑文)을 남겼다. 바벨론 행진로에서도 느부갓네살의 대규모 건축 사업에 관해 기록된 점토 원통이 발굴됐다. 느부갓네살이 왕궁과 신전을 건축하는 데 사용한 벽돌에는 “느부갓네살, 바벨론의 왕, 에사길라와 에기다의 수호자, 바벨론의 왕 나보폴라사르의 아들”이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ref>C. W. Ceram, 《역사와 신화의 재발굴》, 안경숙 역, 대원사, 1990, 313쪽</ref><br>
Babylonian kings often left official inscriptions about their grand construction endeavors on clay cylinders or bricks used in buildings. Excavations along Babylon’s Processional Street have uncovered clay cylinders specifically detailing Nebuchadnezzar’s projects. The bricks used for building palaces and temples were inscribed with phrases like, “Nebuchadnezzar, king of Babylon, provider for Esagila and Ezida, eldest son of Nabopolassar, king of Babylon.<ref>C. W. Ceram, 《역사와 신화의 재발굴》, 안경숙 역, 대원사, 1990, 313쪽</ref>
느부갓네살 시대 건축의 특징은 건축물을 지을 때 구운 벽돌을 대량으로 사용했다는 점이다. 벽돌을 구우려면 가마와 연료가 필요하므로 비용이 많이 들어, 이전까지는 대개 햇볕에 말린 벽돌을 썼다.<ref>카렌 라드너, 《바빌론의 역사》, 서경의 역, 더숲, 2021, 190쪽</ref> 구운 벽돌을 대형 건축물에 사용한 사실에서 느부갓네살왕 시대 바벨론의 부유함을 짐작할 수 있다.<br>
 
느부갓네살은 서방 원정으로 얻은 전리품과 노예들을 동원해 크고 웅장한 건물을 지어올려서 위용을 자랑했다. 남쪽 성채의 계단식 궁전<ref>남쪽 성채의 궁전터에서 우물의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아치형 지붕의 지하실이 발견되었다. 바벨론 유적 발굴자인 콜데바이는 지하실 구조물을 통해 남쪽 성채에 공중정원이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ref>, 에테메난키(Etemenanki) 지구라트<ref>에테메난키란 하늘과 땅의 연결고리라는 뜻으로, 콜데바이는 이것이 함무라비 시대에 파괴되었다가 다시 재건된 바벨탑이라고 추측했다.</ref>, 바벨론 행진로(Procession Street) 등이 대표적인 예다. 이 밖에 에사길라(Esagila, 마르둑 신전)를 완성하고 니누르타(Ninurta) 신전, 이슈타르 신전 등을 재건했다. 이슈타르 성문(Ishtar Gate)과 바벨론 행진로에는 에나멜을 칠한 동물 양각들을 장식해서 예술성을 더했다.<br>
An architectural hallmark of Nebuchadnezzar’s time was the extensive use of fired bricks. Since baking bricks required a kiln and fuel, which were costly, sun-dried bricks were more commonly used in earlier periods.<ref>카렌 라드너, 《바빌론의 역사》, 서경의 역, 더숲, 2021, 190쪽</ref> Thus, the use of baked bricks in large buildings demonstrates Babylon’s wealth during his reign.
느부갓네살은 바벨론의 뛰어난 건축술을 활용해 바벨론성 보호에도 힘썼다. 유프라테스강 동쪽의 외성과 내성의 성벽을 재건하고 유프라테스 강둑에서 티그리스 강둑까지 방어벽을 쌓아 도시를 보호했다. 리빌헤갈라(Libil-hegalla) 운하 등 여러 개의 대운하를 건설해 성 안팎으로 유프라테스강의 물줄기를 끌어왔다. 성 바깥쪽으로 흐르는 물이 해자(垓字) 역할을 해 성을 더욱 안전하게 보호했다.<ref>카렌 라드너, 《바빌론의 역사》, 서경의 역, 더숲, 2021, 61쪽</ref> 이 외에도 유프라테스강에 최초의 돌다리를 놓았으며 리빌헤갈라 운하를 가로지르는 다리를 건설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ref>Jack R. Lundbom, "Builders of Ancient Babylon: Nabopolassar and Nebuchadnezzar II," ''Interpretation'', Vol. 72 no. 2,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2017, pp. 160-162</ref>
 
Nebuchadnezzar showcased his majesty by constructing a grand and magnificent city using the spoils and labor of slaves acquired during his western campaigns. Key constructions include the Southern Citadel’s terraced palace,<ref>남쪽 성채의 궁전터에서 우물의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아치형 지붕의 지하실이 발견되었다. 바벨론 유적 발굴자인 콜데바이는 지하실 구조물을 통해 남쪽 성채에 공중정원이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ref> the Etemenanki ziggurat,<ref>에테메난키란 하늘과 땅의 연결고리라는 뜻으로, 콜데바이는 이것이 함무라비 시대에 파괴되었다가 다시 재건된 바벨탑이라고 추측했다.</ref> and the Processional Street. Other notable projects involved the completion of the Esagila (the temple of Marduk) and the reconstruction of the Ninurta and Ishtar temples. The Ishtar Gate and Processional Street were adorned with enameled animal reliefs, showcasing exceptional artistry.
 
Nebuchadnezzar employed Babylon’s remarkable architectural skills to reinforce the city’s defenses. He rebuilt the walls on the eastern banks of the Euphrates River and constructed defensive barriers from the Euphrates to the Tigris. Additionally, grand canals like the Libil-hegalla were built to channel water into and around the city, enhancing both defense and irrigation. The water flowing out of the fortress served as a moat, making the city even safer.<ref>카렌 라드너, 《바빌론의 역사》, 서경의 역, 더숲, 2021, 61쪽</ref> Furthermore, he constructed the first stone bridge over the Euphrates, as well as other bridges across the Libil-hegalla canal, leaving a lasting architectural legacy.<ref>Jack R. Lundbom, "Builders of Ancient Babylon: Nabopolassar and Nebuchadnezzar II," ''Interpretation'', Vol. 72 no. 2,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2017, pp. 160-162</ref>


==성경 속 느부갓네살==
==성경 속 느부갓네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