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브리서: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3번째 줄: 13번째 줄:


==기록자 ==
==기록자 ==
히브리서는 기록자가 누구인지 분명하게 언급되어 있지 않다. 본문에 [[구약성경]]의 구절이나 율법, 제사 제도가 많이 언급된 것으로 볼 때 기록자는 ① [[모세의 율법|구약의 율법]]에 정통하고 ② 헬라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며(구약성경을 헬라어로 번역한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2935 70인역]을 인용함) ③ 성경 지식이 해박하고 ④ 사도들과 긴밀한 유대 관계를 가진 인물로 보인다. 이에 사도 [[바울]]로 추정하나<ref>유세비우스 팜필루스, 《교회사》, 엄성옥 역, 은성, 2003, 165쪽, "바울은 자신의 모국어로 히브리인들에게 편지를 썼기 때문에 전도자 누가가 그 서신을 번역하였다고 하며, 또 다른 사람은 클레멘트가 번역했다고도 한다."</ref> 바나바, 아볼로, 누가, 브리스길라 등 다른 인물로 보는 견해도 있다.
히브리서는 기록자가 누구인지 분명하게 언급되어 있지 않다. 본문에 [[구약성경]]의 구절이나 율법, 제사 제도가 많이 언급된 것으로 볼 때 기록자는 ① [[모세의 율법|구약의 율법]]에 정통하고 ② 헬라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며(구약성경을 헬라어로 번역한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2935 70인역]을 인용함) ③ [[성경]] 지식이 해박하고 ④ 사도들과 긴밀한 유대 관계를 가진 인물로 보인다. 이에 사도 [[바울]]로 추정하나<ref>유세비우스 팜필루스, 《교회사》, 엄성옥 역, 은성, 2003, 165쪽, "바울은 자신의 모국어로 히브리인들에게 편지를 썼기 때문에 전도자 누가가 그 서신을 번역하였다고 하며, 또 다른 사람은 클레멘트가 번역했다고도 한다."</ref> 바나바, 아볼로, 누가, 브리스길라 등 다른 인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작성 배경 ==
==작성 배경 ==
42번째 줄: 42번째 줄:


===아론의 반차와 멜기세덱의 반차, 옛 언약과 새 언약[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4장 (4장 14절-10장)]===
===아론의 반차와 멜기세덱의 반차, 옛 언약과 새 언약[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4장 (4장 14절-10장)]===
구약시대에는 레위 계통의 [[제사장 반차|제사 직분]](아론의 반차)에 따라 제사장들이 짐승의 피를 흘려 제사했다. 신약시대, 예수님께서 [[멜기세덱]]의 반차를 좇는 영원한 대제사장이 되어 이 땅에 오셨다. 아브라함 시대에 등장했던 멜기세덱은 당시 떡과 포도주로 제사한 유일한 제사장으로,<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4장 |제목=창세기 14:17-20 |저널= |인용문=아브람이 그돌라오멜과 그와 함께 한 왕들을 파하고 돌아올 때에 소돔 왕이 사웨 골짜기 곧 왕곡에 나와 그를 영접하였고 살렘 왕 멜기세덱이 떡과 포도주를 가지고 나왔으니 그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제사장이었더라 그가 아브람에게 축복하여 가로되 }}</ref> 장차 오실 [[그리스도]]를 미리 알려주는 인물이다. 예수님은 당신의 살과 피를 상징하는 [[유월절]] 떡과 포도주로 [[새 언약]]을 세우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제목=마태복음 26:17-28 |저널= |인용문=저희가 먹을 때에 예수께서 떡을 가지사 축복하시고 떼어 제자들을 주시며 가라사대 받아 먹으라 이것이 내 몸이니라 하시고 또 잔을 가지사 사례하시고 ... 이것은 죄 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 |제목=누가복음 22:15-20 |저널= |인용문=이르시되 내가 고난을 받기 전에 너희와 함께 이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 ... 이 잔은 내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니 곧 너희를 위하여 붓는 것이라 }}</ref> 불완전한 [[옛 언약]]을 새 언약으로 완성하시고, 아론의 반차를 따르는 제사장 직분을 멜기세덱의 반차를 따르는 [[제사장]] 직분으로 변역하신 것이다. 짐승의 피로는 우리의 죄가 사해질 수 없고 그리스도의 피를 힘입어야만 사해지기 때문이다.<br>  
구약시대에는 레위 계통의 [[제사장 반차|제사 직분]]([[아론]]의 반차)에 따라 제사장들이 짐승의 피를 흘려 제사했다. 신약시대, 예수님께서 [[멜기세덱]]의 반차를 좇는 영원한 대제사장이 되어 이 땅에 오셨다. 아브라함 시대에 등장했던 멜기세덱은 당시 떡과 포도주로 제사한 유일한 제사장으로,<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4장 |제목=창세기 14:17-20 |저널= |인용문=아브람이 그돌라오멜과 그와 함께 한 왕들을 파하고 돌아올 때에 소돔 왕이 사웨 골짜기 곧 왕곡에 나와 그를 영접하였고 살렘 왕 멜기세덱이 떡과 포도주를 가지고 나왔으니 그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제사장이었더라 그가 아브람에게 축복하여 가로되 }}</ref> 장차 오실 [[그리스도]]를 미리 알려주는 인물이다. 예수님은 당신의 살과 피를 상징하는 [[유월절]] 떡과 포도주로 [[새 언약]]을 세우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제목=마태복음 26:17-28 |저널= |인용문=저희가 먹을 때에 예수께서 떡을 가지사 축복하시고 떼어 제자들을 주시며 가라사대 받아 먹으라 이것이 내 몸이니라 하시고 또 잔을 가지사 사례하시고 ... 이것은 죄 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 |제목=누가복음 22:15-20 |저널= |인용문=이르시되 내가 고난을 받기 전에 너희와 함께 이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 ... 이 잔은 내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니 곧 너희를 위하여 붓는 것이라 }}</ref> 불완전한 [[옛 언약]]을 새 언약으로 완성하시고, 아론의 반차를 따르는 제사장 직분을 멜기세덱의 반차를 따르는 [[제사장]] 직분으로 변역하신 것이다. 짐승의 피로는 우리의 죄가 사해질 수 없고 그리스도의 피를 힘입어야만 사해지기 때문이다.<br>  
그리스도의 피를 힘입은 새 언약의 성도들은 그 희생을 깨닫고 [[천국]] 소망을 굳게 잡아 구원에 이르러야 한다.
그리스도의 피를 힘입은 새 언약의 성도들은 그 희생을 깨닫고 [[천국]] 소망을 굳게 잡아 구원에 이르러야 한다.


===믿음의 역사[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11장 (11-12장)]===
===믿음의 역사[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11장 (11-12장)]===
아벨, 에녹, 노아, [[아브라함]], [[사라 (아브라함의 아내)|사라]], [[이삭]], [[야곱]], [[요셉 (야곱의 아들)|요셉]], [[모세]]와 같은 믿음의 선진들은 믿음으로 하나님을 기쁘시게 해드렸고 저마다 상을 받았다. 어떤 이들은 희롱, 채찍질, 환난, 학대 등을 당하면서도 믿음을 지켰다. 하나님은 그들을 위해 하늘에 한 성을 예비하셨다. 오늘날 성도들에게도 큰 축복을 예비하셨다. 그러므로 성도들은 인내로써 믿음의 경주를 하고, 거룩하고 경건하게 살기를 힘써야 한다.
[[가인과 아벨|아벨]], [[에녹]], [[노아]], [[아브라함]], [[사라 (아브라함의 아내)|사라]], [[이삭]], [[야곱]], [[요셉 (야곱의 아들)|요셉]], [[모세]]와 같은 믿음의 선진들은 믿음으로 하나님을 기쁘시게 해드렸고 저마다 상을 받았다. 어떤 이들은 희롱, 채찍질, 환난, 학대 등을 당하면서도 믿음을 지켰다. 하나님은 그들을 위해 하늘에 한 성을 예비하셨다. 오늘날 성도들에게도 큰 축복을 예비하셨다. 그러므로 성도들은 인내로써 믿음의 경주를 하고, 거룩하고 경건하게 살기를 힘써야 한다.


===마지막 교훈[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13장 (13장)]===
===마지막 교훈[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13장 (13장)]===